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근대 중기 문헌자료의 구어 실현과 문어 실현의 언어 비교 연구 -『계튝일기 서궁녹(권1,2,3)』과 『서궁일기』비교-

        황국정 ( Hwang Kukjeong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건지인문학 Vol.- No.30

        This study can b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eogung ilgi was written later than the Kyech`uk- ilgi in the grammatical realization. Second, the Kyech`uk- ilgi was written in he spoken lanugages, the Seogung ilgi was written in the written languages. Third, the the Seogung ilgi was scripped for readers. Thhe sentences on the Seogung ilgi was more grammatical than the Kyech`uk- ilgi. Thus, the meaning of sentences of the Kyech`uk- ilgi was clear. The sentences of the Kyech`uk- ilgi was longer than the Seogung ilgi. Moreover, we observed the there are many eliipsis of the sentence components and the grammatical forms th the Seogung ilgi.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es, we presumed that the Kyech`uk- ilgi was scripped earlier than the Seogung Ilgi

      • KCI등재

        개화전환기 선어말어미의 문법화에 대하여

        황국정 ( Kukjeong Hw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선어말어미의 형태나 기능변화는 어말어미 가운데에서 형태와 기능변화와 관련시켜 고찰하지 않을 수 없다. 한 개의 선어말어미라고 하더라도 그것이 공시적으로 나타나는 환경은 제약적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그 형태가 변화를 겪는 과정에서도 변화가 시작되는 일정한 제약이 있을 것이고, 이를 통하여 변하는 과정을 통해 서상법 체계 내에서 유기적으로 살필 수 있을 것이다. 본 논의에서는 선어말어미의 형태나 통합양상의 사적 고찰에 있어 어말어미와의 연계성 속에서 변화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아래의 세 경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한 개의 선어말어미가 어떤 종류의 문장종결법과 결합하느냐에 따라 형태나 기능의 변화하는 양상이 다를 수가 있다. 둘째, 선어말어미(서실법) ‘-니-’의 기능이 약해지면서 ‘-니-’의 실현은 대부분은 ‘-는 법이다’로 대체되는데 ‘-었-, -더-’ 등 다른 선어말어미와 통합한 경우는 ‘-니-’가 실현되지 않고, ‘-ㄴ다/-는다’로 변하는 경우는 복문구성에서 선행절이 가정의 연결어미 ‘-면’일 경우만 가능하다. 셋째, ‘-느니라’의 원칙법의 성격은 서실법과 함께 어울려, 시상법 체계를 이루어 당시의 서법 체계의 변화를 일으켰다. This study aimed at checking the grammar changes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era in Korean pre-final end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grammar changes which is four results. At first, one pre-final endings would change the systems in moods. Second, ‘-ni (니)-’ could be ‘-nɨn bəbida (-는 법이다).’ The thilrd, both moods and tense final-endings would can respectively. For examples, ‘-ətt- (었)’, ‘-tə- (더)’, etc. On finally, the tense systems can be change the prefinal endings. controlling the effects interchange of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era in to the 1930’ materials in writte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