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팩트’의 형식적 구성 요건에 대한 탐색적 연구

        오세욱(Se-Uk Oh),황구현(Gu Hyun Hwa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언론정보연구 Vol.55 No.4

        뉴스 형식의 허위정보가 확산되면서 ‘팩트체크’가 유력한 대응 방안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방대한 양의 정보를 사람이 일일이 확인하는 것은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 이에 따라, 자동 사실 확인 기술(automated factchecking technology)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자동 사실 확인 기술들은 아직까지 사실 여부를 최종적으로 확인하기보다는 사실 여부 확인이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찾아주는 수준이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팩트를 구성하는 기술적인 형식 요건을 정립하고 이의 충족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사실을 확인하려는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구글 뉴스의 ‘팩트 체크’에 사용되는 ‘클레임리뷰 마크업(ClaimReview Markup)’, BBC의 ‘스토리라인 온톨로지(Storyline Ontology)’, ‘투명성 선언(Transparency Initiative)’의 ‘hnews’ 마이크로 포맷 등 이러한 형식적 요건과 관련한 세 가지 사례를 검토했다. 이후 한국 ‘팩트체크’ 정보의 데이터베이스라고 할 수 있는 ‘SNU 팩트체크’ 등록정보의 메타데이터 분석을 실시했다. 총 740개의 정보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기사에서 팩트를 뒷받침하는 근거자료, 원문 출처 URL 등 표기를 제대로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SNU 팩트체크 정보들이 절차적 투명성에 대해 상당히 무관심하다는 점을 의미하며,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 상황에 맞는 팩트의 형식적 요건과 이의 실현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As the misinformation spreads, `fact check` is attracting attention as one of the possible countermeasures. However, it is difficult and time-consuming for a person to confirm a vast amount of information. According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solve these problems through automated factchecking technology. But, Automated factchecking technologies are at the level of quickly finding the facts that need to be confirmed, rather than ultimately confirming the fact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ttempts have been made to establish the technically formal requirements for the facts and to confirm the facts automatically according to whether they meet the requirements. The study analyzed the ClainmReview Markup, which is used in the fact check on Google News, the Storyline Ontoltogy on the BBC, and the ‘hnews’ microformat on the Transparency Initiative. And We analyzed the metadata of the `SNU fact check` information, which can be called the database of `fact check` information in Korea. As a result of analyzing a total of 740 pieces of information, most of the articles showed that the facts supporting the facts and the URLs of the original texts are not properly displayed. These figures indicate that the SNU fact-check information is quite indifferent to procedural transparency, and this study suggests the formal requirements of the facts that fit the Korean context and the realization of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