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다공성 촉매 분리막을 이용한 수증기 개질 반응 특성 연구

        홍성창 ( Sung Chang Hong ),이상문 ( Sang Moon Lee ) 한국공업화학회 2014 공업화학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Ni metal foam 플레이트의 수증기 개질반응 및 표면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처리를 통하여 Ni의 산화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었으며, 활성 site로서 표면에 노출된 metallic Ni 종은 수증기 개질 반응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Ni metal foam 플레이트의 기공제어 및 촉매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Ni metal foam 플레이트와 Ni-YSZ 촉매를 혼합하여 다공성 촉매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SEM 분석 결과 metal foam 플레이트의 기공을 제어할 수 있었으며, 표면에 Ni-YSZ 촉매는 고르게 잘 분포되어 있었다. Ni 기반 다공성 촉매 분리막은 공간속도에 상관없이 상용촉매와 유사한 수증기 개질 활성을 가진다. In this study, steam reforming reaction and surface characteristics of Ni metal foam plate were investigated. Valence state of Ni could be changed by pretreatment, and metallic Ni species exposed on surface as a active site play important role in steam reforming reaction. Porous catalytic membrane also was prepared by mixing of Ni metal foam plate and Ni-YSZ catalyst to control the pore size and assign the catalytic function in Ni metal foam plate. In SEM analysis results, Pore size of Ni metal foam plate could be controlled and Ni-YSZ catalyst well dispersed on surface. Ni based porous catalytic membrane had a similar steam reforming activity regardless of space velocity.

      • 무인항공사진측량을 이용한 농경지도 제작 품질 개선

        홍성창(Sung-Chang Hong),이병환(Byung-Hwan Lee),장세진(Se-Jin Jang),박영훈(Young-Hoon Park)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5

        본 논문은 무인항공사진측량을 이용하여 농경지도(Farm Map)의 최신성을 향상시키고 고품질 농업통계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무인항공기로부터 취득된 영상자료를 처리하여 고정밀 DSM(수치표면모델)과 정사영상을 제작하고 이를 기반으로 고품질 농경지도를 구축하였다. 실험 결과 DSM과 정사영상의 위치 정확도는 X방향 1.4㎝, Y방향 2.9㎝, Z방향 1.7㎝의 표준편차로 대축척 농경지도 제작에 활용 가능성을 보였으며, 고해상도 영상을 사용함으로서 농경지 분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향후 농지정보의 최신성, 경제성 등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전국 각지의 농업통계 표본지역을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제작 한다면 농업현황정보 및 경지면적 추출의 정확도를 개선하고 신속한 농경지도 갱신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구 논문 :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Pt계 촉매상 CO2 Methanation 전환반응 특성에 관한 연구

        홍성창 ( Sung Chang Hong ) 한국공업화학회 2012 공업화학 Vol.23 No.6

        온실가스인 CO2를 저감하기 위해 Pt계 촉매상 CO2 methanation 반응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Al2O3의 전구체인 AlO (OH)를 열처리하여 지지체로 사용하였으며, 활성금속으로서 Pt를 사용하였다. XRD 분석결과, 활성금속인 Pt가 고르게 잘 분산되었음이 관찰되었으며, 지지체는 gamma phase의 Al2O3로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활성실험을 통해 600 ℃로 열처리된 Pt/Al2O3 촉매가 가장 우수한 전환율 및 선택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presents the CO2 methanation reaction on Pt catalysts for reducing the amount of CO2, one of greenhouse gases. The AlO(OH) of Al2O3 precusor was used as a support via a thermal treatment and the Pt was used as an active metal. In XRD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Pt was well dispersed and the support existed as the gamma Al2O3 phase. The Pt/Al2O3 catalyst calcined at 600 ℃ showed the highest conversion efficiency and selectivity.

      • KCI등재

        연구단보 : 건조 및 저장조건에 따른 쌀 저장단백질의 변화양상

        신평균 ( Pyung Gyun Shin ),장안철 ( An Cheol Chang ),홍성창 ( Seong Chang Hong ),이기상 ( Ki Sang Lee ),이금희 ( Keum Hee Lee ),이용복 ( Yong Bok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08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7 No.4

        Quality of rice grain changes during dry storage with internal physiological changes and external injury by organism. Storage rice changes by condition with respiration via variable temperature, hydrolysis enzyme reaction, lipid peroxidation occurs with change of palatability. During dry storage, physiological change with protein variation pattern was examined by image analysis on proteomic technology. Analysis revealed that protein activity had no change store at room temperature and store at 40℃, but decreased store at 60℃. Analysis of variable hydrophobic protein pattern revealed that protein activity of beta-tubulin, protein disulfide isomerase, vacuolar ATPase b subunit, globulin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all dry and store condition. However, heat shock protein 70, and glutathione transferas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rice dried at 60℃ compared with room temperature and 40℃ dry condition.

      • 새만금 간척지 지역 미세먼지 특성

        홍성창 ( Hong Sung-chang ),김민욱 ( Kim Min-wook ),김진호 ( Kim Jin-ho ) 한국환경농학회 2021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1 No.-

        The Jeonbuk region is an area with high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with an area of 219 ㎢,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impact of the particulate matter in the Jeonbuk region. Particulate matter was measured from June in 2020, the Jangjado island the westernmost region, was set as the background concentration, and three measurement station were installed around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area.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and air pollutants were measured by installing an intensive air quality measurement station in the Kehwa rice experiment station nearby Saemangeum reclaimed land. The concentrations of PM10 and PM2.5 were highest in the order of Gimje, Buan, Gunsan, and Jangjado(background concentration) area in June. However, it has changed seasonally. The total suspended particle(TSP) was high in Gimje and Buan, where compartment and leveling work are actively underway. The concentration of PM10, PM2.5, NO<sub>2</sub>, SO<sub>4</sub>, O<sub>3</sub> were measured lower than that of the urban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 located in the nearby area. It was needed that longer-term air quality monitoring was necessary for accurate impact assessment.

      • 농업분야 암모니아 배출 인벤토리

        홍성창 ( Hong Sung-chang ),장은숙 ( Jang Eun-suk ),유선영 ( Yu Sun-young ),이규현 ( Lee Gyu-hyen ),김경식 ( Kim Kyeong-sik ),송새눈 ( Song Sae-nun ) 한국환경농학회 2019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9 No.-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는 고농도의 미세먼지로 시민들의 미세먼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세먼지는 다양한 공급원에서 배출되고 많은 대기중 화학물질로 부터 형성된다. 농업분야에서 대기질소를 이용한 인공적으로 합성된 질소비료의 사용으로 농작물의 높은 생산성을 이루어왔으나 주변 환경에 오염부하로 작용한 측면도 없지 않았다. 농업을 둘러싼 환경에서 비점오염물질은 물 뿐 아니라 대기 중으로도 배출될 수 있다. 농업은 넓은 경계를 가지고 있는 다양한 생물체를 포함하는 복잡한 시스템이다. 가축 사육과 농경지 작물재배 과정 중 배출되는 암모니아(NH3)는 초미세먼지 형성에 기여하는 대기 오염물질로 알려져 있다. 암모니아는 주로 가축사육, 분뇨처리 과정, 비료살포 및 산업공정에서 배출된다. 대기 중에 아황산가스(SO2)와 질소산화물(NOx)이 반응하여 황산암모늄과 질산암모늄이 함유된 초미세먼지를 생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대기중의 초미세먼지 중 72 % 가 2차 생성 초미세먼지 입자로 밝혀진 바 있다(2014, 환경부). 환경부는 청정대기정책지원시스템(CAPSS)를 통해 CO, NOx, SOx, TSP, PM10, PM2.5, VOC, NH3 등 8가지 물질을 대기오염물질로 정하여 매년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CAPSS의 산정량을 보면 우리나라 암모니아 배출량의 78 %는 농업분야에서 배출되고 있다. 한편, 주요국의 암모니아 배출량 중 농업 부문이 차지하는 비율을 살펴보면 유럽 94 %, 미국 86 %, 중국 82 % 이다. 우리나라의 농업분야 암모니아 배출량 산정 분류체계는 선진국 보다 단순하고 누락된 부분이 많다. 그러므로, 축산부문은 축사형태, 축종, 축분 보관방식, 축분 처리방식 및 가축 사육환경의 특성 등을 반영한 개선된 배출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다. 비료사용 농경지 부문도 작물의 종류, 재배 유형, 화학비료와 양분투입자재, 및 비료시용 시기 및 재배환경 특성을 반영한 향상된 배출계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에도 질소비료의 사용량은 줄어들고 있지만 가축분 퇴비의 사용량 증가로 질소수지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신뢰도 높은 국가 암모니아 배출 인벤토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세부분야별 정확한 배출계수를 개발뿐 만 아니라 가축 사육두수, 가축분 사용량, 비료 시용량, 작물별 재배면적 등의 활동자료(activity data)를 매년 갱신해야 한다. 이와 같은 활동자료들은 통계청, 농림축산식품부와 같은 정부기관과 다양한 협회들의 판매량 통계 등을 통해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누락되거나 새로이 추가할 필요성이 높은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다양한 농업자재 생산자 협회의 협조가 필수적이라 판단된다. 이와 같이, 정확도가 향상된 암모니아 배출계수와 배출 인벤토리가 구축되면 암모니아 배출 저감기술을 현장에서 실용적으로 적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백금 코팅 메탈필터소재의 Soot 산화반응에 대한 활성 연구

        홍성창 ( Sung Chang Hong ),김성수 ( Sung Su Kim ),이상문 ( Sang Moon Lee ),장두훈 ( Du Hun Jang ),배세현 ( Se Hyun Bae ) 한국공업화학회 2011 공업화학 Vol.22 No.4

        백금이 코팅된 메탈 필터 소재의 NOx, soot 산화반응의 안정성 및 활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NOx와 soot 산화실험은 독립 또는 동시에 반응시킨 조건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백금이 코팅된 소재는 20%의 NO의 NO2로의 전환반응, 약 10%의 NOx 분해반응 그리고 soot의 완전산화반응이 진행됨을 보였다. Soot 산화반응은 NO2의 생성으로 인하여 반응온도가 더 저온으로(약 30 ℃) 이동할 수 있었다. 코팅 소재는 Pt/Al2O3 또는 Pt/TiO2 촉매보다 표면구조의 안정성 으로 인하여 열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였다. The activity and stability of the metal filter material Pt coated on NOx and soot oxidation were examined. The catalytic reaction test for NOx and soot were also performed independently and simultaneously. As a result, it showed the NO to NO2 shift reaction with 20% conversion, NOx decomposition (about 10%) and perfect soot oxidation on the material Pt coated proceeded. Onset temperature of soot oxidation shift to lower temperature (about 30 ℃) by generated NO2. The material also was less affected by thermal shock than Pt/Al2O3 or Pt/TiO2 catalysts due to its stability of surface struct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