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 및 기억과제를 통한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지체 평가

        홍성미(Sungmi Hong),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지체의 유무를 확인하는데 유용한 평가과제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언어능력과 인지능력(학습능력, 기억능력) 과제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능력을 평가할 때, 모국어와 제 2언어를 모두 평가하는 것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ㆍ경기 지역에 사는 만 5-7세의 이중언어아동 4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과제는 표준화 검사와 함께 부모의 보고, 학습능력 과제(빠른우연학습 과제, 새로운 의존형태소학습 과제), 기억능력 과제(작업기억 과제, 단기기억 과제) 등을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지체를 확인하기 위한 과제들로 선정하였다. 두 집단의 언어능력 및 학습능력, 기억능력의 수행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과제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해 Pearson의 편상관계수(partial correlation)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언어발달지체 이중언어아동은 언어능력, 학습능력, 작업 및 단기기억 능력에서 정상언어발달아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나타냈다. 둘째, 정상언어발달 이중언어아동은 언어능력과 작업기억 능력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언어발달지체 이중언어아동은 언어능력과 단기기억능력 과제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모국어와 제 2언어의 평가를 포함한 언어능력과 함께 학습 및 기억능력 그리고 부모보고에 의한 아동의 언어정보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ich measurement tasks best discriminate bilingual children who have language impairment from typical bilingual ones. Methods: Forty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ho were between 5 to 7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study. Tasks used in the study were standardized vocabulary tests, the parental report, the tasks of learning ability (Quick Incidental Learning of Words, Novel Bound-Morpheme Generalization), the tasks of memory ability (working memory test, short-term memory test). The study conducted two-way ANOVA to examine the group difference on language ability, learning ability, and memory ability and used partial correlations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bilingual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were statistically lower on all language tests, learning and memory tasks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econd, typical bilingual childre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anguage ability and working memory ability, yet bilingual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hort-term memory and language ability. Conclusion: Results indicated that it is important to assess both children's mother tongue and the second language, learning and memory ability, and reports of parents in order to measure the language ability of bilingual children.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for identifying language impairment in bilingual children.

      • KCI등재

        Discriminant Analysis of Assessment Tools in Identifying Language Impairment i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홍성미(Sungmi Hong),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이중언어 아동의 언어발달지체를 판별하기 위한 평가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5-7세 사이의 40명의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아동(정상언어발달 이중언어아동 21명, 언어발달지체 이중언어아동 19명)이었다. 연구과제는 표준화된 언어검사, 부모 보고서, 학습-기억능력의 과제이다. 학습능력 과제(빠른우연학습 과제, 새로운 의존형태소학습 과제), 기억능력 과제(작업기억 과제, 단기기억 과제)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확인하고자 일원 혹은 이원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언어발달지체 이중언어아동을 판별하기 위하여 어떤 과제가 효과적인지 확인하고자 단계별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언어발달지체 이중언어아동은 언어 능력과 학습 및 기억 능력 등의 측면에서 정상언어발달 이중언어아동에게서 통계적으로 낮은 수행을 보였다. 둘째, 단계적 판별분석의 결과, 언어장애를 판별하는 민감도가 89.5%, 정상언어발달을 판별하는 특이성이 100%를 나타냈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는 부모보고와 함께 학습 및 기억과제를 평가하여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지체를 과잉 진단하는 위험을 줄이고자 하였다. 이중 언어 아동의 언어 평가에는 표준화된 도구뿐만 아니라 부모 보고와 함께 다양한 학습 및 기억 과제를 평가하는 것이 포함되어야 한다. Objectives: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easurement tasks for discriminating bilingual children who have language impairment from bilingual children who have a normal language ability. Methods: Forty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ho were between 5 to 7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study. Tasks used in the study were standardized vocabulary tests, a parental report, learning ability tasks, and memory ability tasks. The study conducted one way and Two-way ANOVAs to examine the group difference on language ability, learning ability, and memory ability and used partial correlations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bilingual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were statistically lower on all language tests, learning and memory tasks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econdly; the result of phased discrimination analysis to identify an effective measurement task, which discriminates between language impairment and language development of bilingual children, orderly illustrated K-ALDeQ, parental report and the task of memory ability. The result which analyzed the groups of bilingual children by using discriminating equation illustrated 89.5% sensitivity and 100% specificity (y=-104.94+(0.31*K-ALDeQ)+(0.79*Parental report)+(0.23*NWR_E)+(-0.18*NWR_K). Conclusion: Results indicated that it is important to assess both children’s mother tongue and the second language, learning and memory ability, and reports of parents in order to measure the language ability of bilingual children.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for identifying language impairment in bilingual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