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SCIEKCI등재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계측학적 특징

        정송우(Song-Woo Chong),홍성규(Sung-Gyu Hong),김정기(Jong-Ghee Kim)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3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정확한 진단과 분석에 있어서 삼차원적인 골격부조화의 양상이나 안면부조화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사진 상에서 나타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계측학적 특성을 파알하기 위하여, 양호한 안모와 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정상교합자 60명과 전후방적 부조화가 심한 III급 부정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측모와정모 두구규격방사선 사진의 투사도를 작성하여 안면폭경, 고경, 각각의 비율, 측모계측치에 대응되는 정모계측치의 비율을 구하였고, 각각의 계측치와 비율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골격의 전후방적 부조화는 정상군보다 상악골길이(Cd-A)가 짧은 것보다는 하악골길이(Cd-Gn)가 긴 것에 기인하였다. 2.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는 정상교합자보다 긴 안모를 가지는데, 이는 상안면고졍(Cg-ANS)보다는 하안면 고경(ANS-Me), 특히 하악골 고경 (Cd-Me)의 증가로 인한 것이었다. 3.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폭경은 단지 여자의 상•하악 대구치간 폭경(U6-U6, L6-L6)과, 하악폭경(Ag-Ag)만 정상교합자보다 컷을 뿐, 이외 어떤 폭경항목도 정상과 차이가 없었다. 4.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이 하악골 길이의 증가는 안모의 고경 특히 하안면 고경의 증가로 나타나지만, 하악골 폭경에서는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In proper diagnosis of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it was important to know the pattern of three dimensional skeletal & facial disharmon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P-A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in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comparing with normal occlusion. The samples were consisted of 120 subjects, divided into four groups : Male normal occlusion, Female normal occlusion, Male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Female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Posteroanterior and lateral cephalogram were taken from the subjects with a x-ray apparatus (ASHAI CX90SP, Japan) and traced on acetate pater with routine manner. The transverse and vertical values from posteroanterior cephalometry, the sagittal values from lateral cephalmetry and their ratio were obta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anteroposterior discrepancy in skeletal ClassⅢ group was not due to short maxillary length(Cd-A), but to longer mandibular length(Cd-Gn) than normal occlusion group. 2. The faces of skeletal ClassⅢ group were longer than normal occlusion group. It was not due to increase of upper face height (Cg-ANS) but to increase of the lower face height(ANS-NE) especially mandibular height(Cd-Me). 3.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acial width values between normal occlusion group and skeletal ClassⅢ group, except upper molar width(U6-U6), lower molar width(L6-L6) and mandibular width(Ag-Ag) of female skeletal ClassⅢ group which were larger than normal occlusion group. 4. The increase of mandibular length of skeletal ClassⅢ group was reflected in the increase of lower facial height but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mandibular width.

      • SCOPUSSCIEKCI등재

        난소적출과 에스트로젠 투여가 백서의 하악골 고조에 미치는 영향

        이형순(Hyung-Soon Lee),홍성규(Sung-Gyu Hong),김정기(Jong-Ghee Kim)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1

        본 실험은 폐경기 골다골증 여성의 교정치료에서 일어날 수 있는 하악골의 구조의 변화와 에스트로젠 투여 효과를 추정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난소를 적출한 군과 에스트로젠 투 여 및 비투여군으로 분류하고 미세방사선사진으로 하악골을 촬영하여 이의 골 면적을 측정 하고 조직 변화를 관찰하였다. 생후 4개월된 Sprauge-Dawley계 백서 50마리를 난소적출 (OVE)군, 난소적출후 에스트로젠 투여(OVE-EST)군, sham operation 시행후 에스트로젠 투여(EST)군으로 분류하여 각군을 수술후 5주, 6주, 7주째 희생시켜 하악골을 적출한 후 좌 측 하악골은 비탈회표본으로 제작하여 미세방사선사진을 통해 해면골을 관찰하고 면적을 측 정하였으며 우측 하악골은 탈회표본으로 제작하여 병리조직학적인 소견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하악골의 전체골면적에 대한 피질골의 비율분석에서 OVE군, OVE-EST군, EST군 모두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2. OVE군은 대조군에 비해 5,6,7주째로 갈수록 골수강의 비율이 증가하였는데(P<0.05), 백 서의 난소제거가 하악골에서도 골소주를 소실시켜 골수강을 확장시켰다. 3. OVE-EST군은 5주째는 골수강의 비율이 약간 증가되어 있었으나 점차 감소하여서 7주 째에 유의하게 적었고(P<0.05), EST군은 6주째부터 골수강의 비율이 현저히 감소되었는데 (P<0.05), 에스트로젠이 골수강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미세방사선사진과 병리조직학적 소견상 OVE군에서 골수강들의 크기가 확장되었고, 파골 세포들이 불규칙한 변연부에서 다수 관찰된 반면, OVE-EST군은 점점 치밀해지는 골소주 들로 골수강이 작아지는 양상을 나타냈고, EST군에서는 풍부하고 치밀한 골소주들로 골수 강들의 크기가 작아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of cancellous and cortical bone and the effect of estrogen in ovariectomized rats. Fifty female rats, 250gm in body weight,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ovariectomized group(OVE), ovariectomized and estrogen-injected group(OVE-EST), and sham operated and estrogen-injected group(EST), Bilateral ovariectomy was performed at the onset of the experiment. In OVE-EST group and EST group, estrogen was injected 50µg/kg B.W. every other days from 3 weeks after surgery to sacrifice Each five rats were sacrificed after 5, 6, 7 weeks. One side of mandibular body was radiographed with a soft x-ray apparatus (Hitex Co., Ltd., Japan). Thereafter the obtained microradiographs were used for the morphometric analysis using a Image analyzer. The morphometric analysis was performed for parameters such as total bone area, cortex bone area and medullary one area. The other side of the mandibular bone was decalcified and embedded in paraffin as using a general method. The specimens were sectioned and stained with Mallory´s anilline blue and observed light microscop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all groups, the proportion of cortex to total bone are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2. In ovarietomized(OVE) group, the proportion of marrow cavity to medullary bone area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5 to 7 weeks(p<0.05). In ovariectomized and estrogen-injected (OVE-EST) group, it decreased significantly at 7 weeks, and in estrogen-injected(EST) group, it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6 week(p<0.05). 3. Microradiogram and histopathologic findings revealed that marrow cavity was enlarged and osteoclasts were observed around irregular bone surface in OVE group. In OVE-EST group, the size of marrow cavity at 7 weeks was similar to that of control group, as dense trabecular bone increased from 5 to 7 weeks, marrow cavity decrea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