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활무용참여자의 공연경험이 무용몰입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홍미성 한국무용과학회 2013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rticipation motives of participants in dance for all and the effect of their performance experience on dance commitment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study, 315 adult women who are participating in dance for all or not participating were sampled. Queationnaire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one way ANOVA. Through the queationnaire analysis, following conclusion turned out. First, among dance commitment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 cognitive commitment and behavioral commitment mad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area of age, whether they have a occupation or not, whether they have a spouse or not, whether they do volunteer work or not, subjective health recognition; but among dance commitment according to participation period, only behavioral commitment mad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 past life satisfaction, present life satisfaction and future life satisfaction mad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area of age, whether they have a occupation or not, whether they have a spouse or not, whether they do volunteer work or not, subjective health recognition. Second, dance commit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participation in dance for all made meaningful differences in only behavioral commitment. Life satisfaction made meaningful differences in past life satisfaction, present life satisfaction and future life satisfaction. Dance commitment according to whether they have participated in dance performance or not, made meaningful differences in only behavioral commitment. Life satisfaction made higher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group that have performance experience than in the group that don't have performance experience. Third, he participation motives of participants in dance for all have appeared in the order of improvement of body health and physical fitness, to learn something new, pleasure during exercise, personal relations, striking figure, no motive. Fourth, performance experience of participants and dance commitment had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생활무용참여자의 참여동기를 알아보고 생활무용참여자의 공연경험이 무용몰입 및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생활무용참여자와 비참여자를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315명을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상관분석,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무용몰입은 연령, 직업유무, 배우자유무, 자원봉사유무, 주관적 건강인식에서 인지몰입과 행위몰입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참여기간에 따른 무용몰입은 행위몰입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연령, 직업유무, 배우자유무, 자원봉사유무, 주관적 건강인식에서 과거생활만족, 현재생활만족, 미래생활만족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생활무용 참여유형에 따른 무용몰입은 행위몰입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생활만족도는 과거생활만족, 현재생활만족, 미래생활만족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무용공연 참여유무에 따른 무용몰입은 행위몰입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생활만족도는 무용공연 참여경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모두 높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생활무용참여자의 참여동기는 신체적 건강과 체력단련, 새로운 것을 배우기 위해, 운동할 때의 즐거움, 대인관계, 멋진 몸매, 무동기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생활무용참여자의 공연경험과 무용몰입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무용전공생의 유튜브(YouTube) 이용 동기가 지각된 유용성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홍미성,김가은 한국무용과학회 2019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ance major student’s YouTube usage motivation on perceived usefulness and creativity. For the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by dividing the entire country into five provinces (Seoul, Gyeonggi, Chungnam, Gyeongnam, and Jeolla) and using an online "stacked cluster random sampling" with college, 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fter creating a media questionnaire on Google drive and sending a link to the surveyors via mobile (Kakao Talk), 324 people answered in 48 hours. With the collected data,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rough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venience, informativeness and interest among the sub-factors of dance majors' motivation to use YouTub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Second, conven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reative motiv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reativity, informativ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reative attitude, while interes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reative motivation and creative ability. Third, dance majors' perceived usefulness on YouTub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reative motivation, creative attitude and creative ability among the sub-factors of creativity.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생의 유튜브(YouTube) 이용 동기가 지각된 유용성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전국의 서울권, 경기권, 충남권, 경남권, 전라권 등 5권역으로 나누어 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과 졸업생, 대학원생을 온라인상에서 집락무선표집(stratified cluster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구글 드라이브에서 미디어 설문지를 제작한 후 설문대상자에게 링크 주소를 모바일로(카카오톡) 전송하여 응답한 324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였고, 요인분석, 빈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생의 유튜브 이용 동기의 하위 변인 중 편리성, 정보성, 흥미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생의 유튜브 이용 동기의 하위 변인 중 편리성은 창의성 하위 요인 중 창의적 동기에, 정보성은 창의적 태도에, 흥미성은 창의적 동기와 창의적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생의 유튜브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은 창의성 하위 요인인 창의적 동기, 창의적 태도, 창의적 능력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Z세대 무용전공생의 유튜브(YouTube) 이용실태 분석

        홍미성,김가은 한국무용과학회 202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e of YouTube of Generation Z(Gen Z.) dance majo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divided into five regions including Seoul, Gyeonggi, Chungnam, Gyeongnam, and Jeolla, nationwide. 495 dance majors born between 1995 and 2005 were selected from pre-art high school, art high school, university, university graduates, and graduate school. SPSS 25.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96.4% of Gen Z. dance majors use dance-related YouTube. The duration of use appears in following order: 2~3 years (31.7%), more than 5 years (21.0%), and 3~4 years (16%), less than 1 year (16.0%), 4~5 years (12.3%), The average daily use appears in following order: 2~3 times (46.5%), less than 1 time (31,5%), more than 4 times (22.0%). Second, the purposes of using dance-related videos are to study dance skills (39.6%), to analyze works (18.4%), to create creative works (17.0%), to be bored (13.3%), to perform other tasks (6.5%), and to perform assignments(3.2%), and to improve performance results (2.0%). Third, dance majors focus on dance movements and techniques (43.4%), dance contest works (29.1%), famous dancers (9.7%), communicability of works (8.5%), selection of dance music (5.5%), others (2.8%) and dance instruction method (1.0%). Fourth, dance subjects searched on YouTube by Gen Z. dance majors include dance practical skills (34.5%), repertory works (19.6%), improvisation of dance (18.0%), dance appreciation (14.5%), creation / choreography (10.3%), and dance music (2.2%) and others (1.0%). Fifth, 33.5% of Gen Z. dance majors participated in comment activities including “Likes” on YouTube, and only 10.1% of dance majors had uploaded dance-related videos on YouTube. Sixth, dance-related search keywords used in YouTube of Gen Z. dance majors are major related/ detailed majors (n = 422), contests/competitions (n ​​= 230). Common dance keywords of Korean dance, ballet, and modern dance majors are dance company/ performance (n = 43) and entrance examination (n = 56). Korean dance, modern dance majors and practical dance majors search 'others' (n = 52), ballet majors search teaching method (n = 7), practical dance majors search choreography (n = 7) and dancers (n = 5). Seventh, 31.3% of Gen Z. dance majors have regular subscription channels for dance activities on YouTube, and the most frequent subscription names are K ballet tv (n = 40) and Dancing Sunjin (n = 39). Channel names commonly subscribed in each major category were Dancing Sunjin, K ballet tv, Free Zia, LDP, ARTMP CREATIVE, and 1MILLION dance studio. 이 연구의 목적은 Z세대 무용전공생의 유튜브(YouTube) 이용실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국을 서울권, 경기권, 충남권, 경남권, 전라권 등 5권역으로 나누어 1995년~2005년에 출생하고 무용을 전공하는 예비 예술고 고등학생, 예술고 고등학생, 대학생, 대학졸업생, 대학원생 495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였고,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Z세대 무용전공생은 96.4%가 무용관련 유튜브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 기간은 2~3년(31.7%), 5년 이상(21.0%), 3~4년(16.0%), 1년 미만(16.0%), 4~5년(12.3%) 순으로 나타났으며 하루 평균 이용횟수는 2~3회(46.5%), 1회 이하(31.5%), 4회 이상(22.0%)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관련 동영상을 이용하는 목적으로는 무용 기능학습을 위해서(39.6%), 작품분석을 위해서(18.4%), 창작작품을 위해서(17.0%), 심심해서(13.3%), 기타(6.5%), 과제수행을 위해서(3.2%), 공연성과를 위해서(2.0%)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Z세대 무용전공생이 중점을 두는 항목은 무용동작 및 테크닉(43.4%), 무용콩쿨 작품(29.1%), 유명 무용수(9.7%), 작품 내용의 전달성(8.5%), 무용음악 선택(5.5%), 기타(2.8%), 무용 지도방법(1.0%)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Z세대 무용전공생의 유튜브에서 검색하는 무용교과목은 무용실기(34.5%), 레퍼토리 작품(19.6%), 무용즉흥(18.0%), 무용감상(14.5%), 창작/안무(10.3%), 무용음악(2.2%), 기타(1.0%)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Z세대 무용전공생의 33.5%가 유튜브에서 ‘좋아요’를 포함한 댓글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무용전공생의 10.1%만 유튜브에서 무용관련 동영상을 업로드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Z세대 무용전공생의 유튜브에서 사용하는 무용관련 검색 키워드는 전공 관련⋅세부전공(n=422), 콩쿨⋅대회(n=230) 영역이고,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 전공의 공통 검색 키워드는 무용단⋅공연(n=43), 입시(n=56) 영역이며, 한국무용, 현대무용, 실용무용은 기타(n=52) 영역, 발레는 교수법(n=7) 영역, 실용무용은 안무(n=7), 무용수(n=5) 영역의 키워드를 검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Z세대 무용전공생의 31.3%가 유튜브에서의 무용분야 채널을 구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독하고 있는 채널은 K ballet tv(n=40), 춤추는 선진이(n=39) 등이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였으며, 각 전공별 분류에서도 공통적으로 구독한 채널은 춤추는 선진이, K ballet tv, free지아, LDP, ARTMP CREATIVE, 1MILLION dance studio 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방문요양보호사를 활용한 재가 치매노인 대상 방문 맞춤형 움직임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홍미성 한국무용학회 2023 한국무용학회지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ustomized movement program developed for home visits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by caregivers applying it at the care site. Each 7 research participants was selected from visiting caregivers, an experimental group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and a control group using the nomadic sampling method, and conducted a total of 36 sessions for 20 to 30 minutes, 3 times a week for 12 weeks, and t-test was perform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Korean version of brief mental state. Second, physical fitness for daily living showed positive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factors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Third, there was a positive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in the experimental group. Fourth, in daily life performanc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positive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movement',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a negative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ashing, bathing, and eating.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발된 재가 치매노인 대상 방문 맞춤형 움직임프로그램을 실제로 요양보호사가 돌봄 현장에 나가 치매노인에게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방문요양사, 재가 치매노인 실험집단, 통제집단 각각 7명씩을 유목적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여 주 3회, 20분∼30분, 12주 총 36회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t-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국판 간이정신상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일상생활체력은 실험집단에서 하위요인 모두 긍정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통제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삶의 질은 실험집단에서 긍정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실험집단이 ‘이동’에서만 긍정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통제집단은 세수하기, 목욕하기, 식사하기에서 부정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KCI등재

        ‘라이브 스트리밍(live streaming)’ 무용공연의 서비스품질이 시청만족과 현장공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홍미성,김가은 한국무용학회 2020 한국무용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라이브 스트리밍(live streaming)’ 무용공연의 서비스품질이 시청만족과 현장공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20년 5월 25일부터 8월 24일까지 약 3개월동안 라이브 스트리 밍 공연을 시청한 사람을 대상으로 구글 폼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유목적 표집 방법으로 선정한 270명이다. 자 료 분석은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독립 t-test와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스트리밍 무용공연 서비스품질, 시청만족, 현장구매의도는 성별, 연령, 거주지역에 서만 일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라이브 스트리밍 무용공연 서비스품질 하위변인 중 ‘편리성’, ‘실시간성 및 상호작용성’과 ‘무용정보 및 기술성’이 시청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라이브 스트 리밍 무용공연 서비스품질 하위변인 중 ‘편리성, ‘실시간성 및 상호작용성’과 ‘무용정보 및 기술성’이 현장공연 구 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라이브 스트리밍 무용공연 시청만족이 현장공연 구매의 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유료 관객을 확보하기 위해서 수준 높은 라이브 스트리밍 무 용공연이 절실하며, 시공간을 초월한 최첨단 기술을 결합하여 새로운 언택트 무용공연을 면밀하게 준비한다면 스 트리밍 무용공연 구매의도 뿐만 아니라 현장 무용공연 구매의도에도 직접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f “live streaming” dance performances on viewing satisfaction and on-site performance purchase intention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from May 25 to August 24, 2020, among those who watched live streaming performances for about 3 months, using a Google form questionnaire, and 270 people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For data analysis,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ome meaningful differences in streaming dance performance service quality, viewing sat-isfaction, and on-site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only in gender, age, and residential area. Second, among the sub-variables of the service quality of live streaming dance performances, 'convenience', 'real-time and interactivity' and 'dance information and technolog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viewers’ satisfaction. Third, among the sub-variants of the service quality of live streaming dance performances, it was found that 'convenience’, 'real-time and interactivity' and 'dance information and technolog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on-site performance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viewing live streaming dance performanc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on-site performances. In order to secure a paid audience, high-quality live streaming dance performances are urgently needed, and if new untact dance performances are carefully prepared by combining state-of-the-art technologies that transcend time and space,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direct impact not only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streaming dance performances, but also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on-site performances.

      • KCI우수등재

        대학 무용⋅체육 관련 실기과목에서의 학습동기유발 인식 및 교수전략

        홍미성,송남정,조상혁 한국체육학회 2024 한국체육학회지 Vol.6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체육 관련 실기과목 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Keller의 ARCS 학습동기전략을 활용하여 교수전략을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유목적 표집방법으로 선정한, 전라북도에 위치한 W대학교에서 무용⋅체육 관련 실기과목을 수강한 270명이며, 자료분석은 빈도분석과 t검증, 귀납적 범주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77.1%가 실기과목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81.1%가 실기과목에 집중하는 것으로나타났고 실기과목 수업 50분 중 가장 집중하기 힘든 시점은 수업 후반부(35∼50분), 힘든 이유로는 수업내용, 수업환경으로 나타났다. 둘째, Keller의 ARCS 학습동기전략 중 ‘주의집중’에서는 ‘교수의 동작시범’과 ‘재미있는 이야기’의 순서로, ‘관련성’에서는 ‘알고 있는 동작’과 ‘미래에 활용될 수 있는 수업내용’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으며, ‘자신감’에서는 ‘어려운동작 수행’, ‘만족감’에서는 ‘교수의 칭찬’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효과적인 수업방법으로는 협력적 팀 학습, 주의집중 강화 수업 구성, 학습자 실기 중심교육, 학생⋅교수 참여(시범) 수업, 흥미⋅재미, 피드백을 통한 내적동기 제공, 보상을 통한외적동기 강화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e of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dance and sports-related practical subject classes, and to prepare teaching strategies using Keller’s ARCS learning motivation strateg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70 people who took practical dance and sports-related courses at W University in Jeollabuk-do, selected by nomadic sampling.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77.1% of college students liked practical subjects, 81.1% focused on practical subjects, and the most difficult time out of 50 minutes of practical subjects was the second half of the class (35-50 minutes), and the class content and class environment were the reasons for the difficulty. 2) Among Keller’s ARCS learning motivation strategies, ‘attention’ is ranked highly in the order of ‘professor’s movement demonstration’ and ‘interesting story’, and ‘relevance’ is ranked highly in the order of ‘known movements’ and ‘class content that can be used in the future’. In ‘confidence’, ‘performing difficult movement’ and ‘satisfaction’, ‘professor’s praise’ was high. 3) Effective teaching methods were cooperative team learning, attention-enhancing class composition, learner practical skills-oriented education, student/professor participation (demonstration) class, interest/fun, internal motivation through feedback, and external motivation through compens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60대 여성 유방암환자의 라인댄스 인생살이

        홍미성 한국무용학회 2017 한국무용학회지 Vol.17 No.3

        This study used single case study method and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se in depth on how line dance influences on cure of breast-cancer of breast-cancer woman patient in her sixties and how she approaches to happy life through line dance.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a research subject who is 63 years old and started line dance after leaving the hospital and used qualitative case study and collected data through daily record of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collection of docum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 First, breast-cancer woman patient in her sixties thought line dance as soul dance that eliminates inner stress from the body and the best of walking exercise for ten thousand steps that doctors recommend for relieving arm edema of breast-cancer woman patient. Second, breast-cancer woman patient in her sixties' participation in line dance physically helped her maintain the same amount of muscle and weight as before her cancer, socially provided her takeoff opportunity that secure social position again as leader and psychologically helped her feel a sense of closeness between family members. 본 연구는 단일 사례연구의 방법을 적용하며 60대 여성 유방암 환자에게 라인댄스가 유방암 치유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이를 통해 행복한 삶에 어떻게 다가서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는 63세로 유방암 2기로 진단을 받고 종합병원에서 부분절제수술과 6번의 항암치료, 30회의 방사선 치료를 마치고 병원에서 퇴원하고 바로 라인댄스를 처음 시작한 여성을 유목적 표집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관찰일지, 심층면담, 문서수집 등을 통한 자료를 수집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60세 여성 유방암환자에게서 라인댄스는 쉽고 파트너 없이도 혼자 할 수 있는 운동이라 참여하였으며, 내면의 스트레스를 온 몸으로 뿜어내게 하는 영혼의 춤으로 여성성을 상징하는 신체 부위이기에 더욱 민감하여 극도의 스트레스에 시달려 우울증을 겪게 되는데 이 때 우울증 치료에 가장 좋은 운동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유방암환자들에게 오는 팔 부종을 완화시키기 위해 의사들이 권하는 만보걷기를 위한 운동 중 단연 으뜸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60세 여성 유방암환자에게 라인댄스 참여로 인한 변화는 신체적으로는 암 발병 전과 같은 근육량과 체중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고, 사회적으로는 리더로서의 사회적 위치를 확보하는 재도약의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인간관계 변화로는 딸과 함께 참여할 수 있어 가족 간의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