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이스피싱 전달책의 가담경로에 관한 연구

        홍동규(Hong, Dong Gyu),홍순민(Hong, Sun Min),김한결(Kim, Han Kyul)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0 경찰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보이스피싱 전달책의 특성을 분석하고, 가담경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전달책으로 연루되는 범죄자와 피해자를 동시에 억제 및 예방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보이스피싱 전달책을 대상으로 하여 서울지방경찰청 관할 지역의 최근 2년간 보이스피싱 전달책 검거 사건 기록 235건을 분석하였다. 보이스피싱 범죄의 가담경로가 특정한 경로에 편중되어 있을 것이며, 이 가담경로는 개인적 특성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연령, 성별, 직업유무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전과횟수, 범행수법, 범행에 사용한 메신저 등 범죄 관련 특성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이들 특성에 따른 분포에 있어서 가담경로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구직사이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등의 인터넷매체를 통한 가담이 가담경로 전체의 77%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분포에 있어서 가담경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반면, 전과횟수, 범행수법, 범행에 사용된 메신저에 따른 분포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이스피싱 범죄의 가담경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이며 대부분의 가담이 인터넷매체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이스피싱 범죄의 억제를 위해서 범죄의 기회가 되는 주된 가담경로인 인터넷매체를 통한 가담의 차단을 중심으로 선택적 예방 활동을 진행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imultaneously suppress and prevent criminals who are involved as the Voice Phishing Delivery and victims b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ice Phishing Delivery and empirically verifying their participation route. 235 cases of the arrest of Voice Phishing Delivery in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s jurisdiction over the past two years had been analyzed. Assuming that the participation route in voice phishing crimes will be biased towards a particular route, this route would be affected by personal characteristics, it was analyzed by collect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gender and occupational status, and crime-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the number of criminal records, M.O., and messenger application used in the crime, and cross-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differences in the participation route in th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se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showed that participation through Internet media accounts for 77% of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tion routes, and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contrast, distribution based on the number of criminal records, the M.O., and the messenger application used in the crime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Thus, analysis suggests that the participation route is independent, unaffect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ost of the participation is through the Internet media. Therefore, in order to deterrent Voice Phishing crimes, it is proposed that selective prevention activities should be carried out centering on blocking participation through Internet media, which is the main participation route in Voice Phishing crime.

      • KCI등재

        보육시설에서의 아동학대 반복 피해 영향 요인

        이이나(Lee, Ena),홍동규(Hong, Dong Gyu),홍성범(Hong, Sung Bum),이창배(Lee, Chang Bae) 한국범죄심리학회 2021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7 No.3

        이 연구는 보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아동학대의 반복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여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의 자료는 아동학대의 피해 경험이 있는 아동 177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아동학대 범죄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표적 적합성 개념과 보호 요인을 활용하였다. 표적 적합성은 표적 취약성, 표적 충족성, 표적 반작용으로 측정하였다. 표적 취약성은 피해아동의 정신적·신체적 장애 유무, 표적 충족성은 피해아동의 연령, 표적 반작용은 피해아동의 가족유형으로 설정하였다. 보호요인으로는 보육교사의 자격증 보유 유무, 보육시설 내 감시카메라(CCTV) 설치 유무로 설정하여 보육시설 내 아동학대 반복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피해아동의 정신적·신체적 장애 유무와 연령은 보육시설 내 아동학대 반복피해 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연령이 낮을수록, 그리고 정신적·신체적 장애가 없는 것으로 파악된 아동이 보육시설 내 반복학대를 경험할 확률이 높았다. 반면 보육교사 자격증 보유 유무, 시설 내 감시카메라(CCTV) 설치 유무는 아동의 반복 학대 피해 경험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즉 보호 요인은 피해아동의 반복피해 경험 유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구 결과와 관련하여 이 연구의 함의와 향후 보완해야 할 부분,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repeated child abuse by childcare teacher. A sample of 177 child abuse victim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target congruence theory’s concep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victims, the concept of target vulnerability was added. Factors related to ‘target vulnerability’ and ‘target gratifiability’ showed significant impacts on childcare teachers’ repeated abuse. Childrens’ age and their mental/pshysical disability status showed significant impact on the repeated victimization. The younger the age, the more likely it was to experience repeated child abuse by childcare teacher. Contrary to expectations, children without mental/physical disabilities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repeated child abuse. Childrens’ family type and their gender, teacher license and surveillance cameras showe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repeated child abuse.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ideas were suggest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Lastly, th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 programs, childcare teachers, and par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인관계 종결 후 스토킹 행위를 하는 일반 성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강혜지(Hye ji Kang),이지혜(Ji Hae Lee),성나경(Na kyung Seong),성현준(Hyun Jun Sung),강지은(Ji eun Kang),홍동규(Dong gyu Hong)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2024 미래사회 Vol.15 No.1

        본 연구는 일반 성인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스토킹 행위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인관계 종결 후 스토킹 시도 경험, 개인의 성별, 상대와의 첫 만남 특성에 따라 스토킹 위험요인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헤어진 연인과 재회를 희망하는 대상자(남성 51명, 여성 68명)의 질문지와 접수 상담일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남성의 경우 상대방에게 실제적 위협을 가할 수 있는 미행, 자해 및 자살 위협과 같은 스토킹 범죄 특성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고, 여성의 경우 가해자 위험요인 중 정신건강 문제가 남성에 비해 높았다. 둘째, 온라인으로 첫 만남을 가진 남성의 경우 고용 및 재정문제와관련된 가해자 위험요인을 더 많이 보였으며, 여성은 오프라인 만남으로 관계를 시작한 경우스토킹 행위의 지속성과 점진적 심각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범죄자가아니더라도 일반인 간의 교제에서 스토킹 행위가 충분히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인 대상으로 스토킹의 위험성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시한다. 나아가서 재회상담 장면에서 내담자의 성별, 첫 만남 경위 등을 고려하여 사례를 구조화 시키고, 개입방법을 모색하는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재회상담 현장에서 스토킹 위험성 예측및 사전 예방을 위한 대상자 교육의 기틀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This study identified risk factors of stalking among general adults. For this reason, we examined whether previous stalking offenses, gender, and initial encounter characteristics cause differences in stalking risk factors. For the study, questionnaires and intake counseling records from individuals (51 males and 68 females who ended their romantic relationships but desired to reunit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les exhibited more threatening behaviors such as pursuit, self-harm, and making suicidal threats, while females were highly prevelent of mental health issues. Second, males who initially met their partners online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employment and financial issues. Females who initially met their partners offline, showed higher levels of persistent and severe stalking behavior.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raise awareness among the general public regarding the danger of stalking behavior, as it can frequently occur in relationships involving individuals who are not criminals. Furthermore, it is vital to consider the client’s gender and initial encounter characteristics with their partners for reunion counseling case formulation, and intervention planning. The results also suggest the importance of stalking risk assessment and stalking prevention programs for clients in reunion counseling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