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가족을 위한 가족통합교육 프로그램개발과 평가

        홍달아기(Hong, Dalahgi),채옥희(Chae, Ock Hi),이남주(Lee, Nam Ju) 한국생활과학회 2010 한국생활과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tegrate multi-cultural families with special needs and situations into family living and Korean social groups. Nowaday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s. According to these changes, there are a variety of social problems such as cultural conflicts, domestic violenc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and bad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members because of misunderstandings. These social problems can be alleviated by a family integration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ies. This program was developed in order to help immigrant women in their initial settlement and to provide them with information on mutual culture of family living. The contents of the program consist of how to live a harmonious, understanding and hopeful family life. The method of evaluation is to survey the immigrant women’s self esteem and conduct an interview.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re to promote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mbers. Also the family agreed to promote favorable sentiments toward each other. The program also had meaningful consequenc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immigrants’ realistic expectation of marriage and conflict resolution skills. I am hopeful that more elaborate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will be developed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with appropriate education and support systems.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부모역할자신감이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안숙영(An, Suk Young),홍달아기(Hong, Dalahgi ),김태희(Kim, Tae Hee) 한국생활과학회 2017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6 No.1

        Objectives: This research aimed to promote parenting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via exploring the variations of the social supports, their parenting confidence, and parenting satisfaction. Method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s, a total of 198 married immigrant women in Jeonbuk province were survey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SPSS 22.0 Program” Resul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parenting satisfaction scored higher than the social supports and parenting confidence. This suggest that parenting satisfaction important. most of often become pregnant before being fluent in speaking Korean and prepared to be a parent motional support highly recognized by them other social support followed by material support, informative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Married immigrant women felt intimacy when there was help from the surrounding supportive system. arenting confidence showd significant difference age, countr of origin, , employment status, and family relationships youth. arenting satisfaction determined by five sub-factors, i.e., general satisfaction, parentchild relationship, spouse supports, parenting conflicts. Conclusions:Child raising parenting satisfaction than empathic supports positive evaluations, or even economic aids. Moreover, parenting confidence effect on parenting satisfaction than social support. Married immigrant womens parenting confidence is a major factor parenting satisfaction it is important to encourage them to promote their confidence by providing various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relevant information to them.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송인숙 ( In Sook Song ),홍달아기 ( Dalahgi Hong ),박현성 ( Hyun Sung Park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3 한국가족복지학 Vol.18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대학생들의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한 가족건강성변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가족건강성의 하위변인은 가족원 존중, 유대의식, 감사ㆍ애정, 긍정적 의사소통, 가치관ㆍ목표 공유, 역할 충실, 문제해결 능력, 경제적 안정, 사회와의 유대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배경변인에 따른 가족건강성은 성별, 가족형태, 부모의 결혼상태, 주관적 경제수준 등의 변인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첫째, 일반배경변인에 따른 가족건강성을 살펴보면 성별에 따른 가족건강성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가족건강성을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학생이 가족건강성을 높게 지각한다는 다른 연구결과[11, 40, 43]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따라서 성별에 따라 가족건강성의 차이는 일관된 결과를 보이고 있지 않다. 이는 조사대상과 연령집단 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다. 가족형태에 따른 가족건강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핵가족과 별거가족의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가족건강성의 지각점수는 핵가족, 확대가족 순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핵가족이 가장 높고 별거가족이 가족건강성을 가장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족건강성은 가족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유의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특히 별거가족 집단이 가족건강성을 낮게 지각하는 것에 대한 더 세분화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주관적 경제수준도 높은 유의수준을 보였으며, 상집단과 중·상, 중집단, 중·하집단 등 세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가족건강성을 높게 지각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하집단과 상집단간 차이가 있으리라는 예상과는 다르게 하집단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하집단이 오히려 주관적 경제수준이 높은 집단에 대해 가족건강성을 상대적으로 낮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관적 경제수준은 자신이 자신의 상황을 어떻게 받아 들이는가의 주관적 인식이 중요함을 말해주며 상집단에 가까울수록 상대적 빈곤감을 더 느끼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일반 배경변인에 따른 행복감을 살펴보면 성별과 주관적 경제수준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행복감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남학생이 가족 건강성도 높았고 행복감도 더 높게 나타난 결과를 보면 남학생이 보다 긍정적인 사고를 갖는 것으로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여학생이 상대적으로 행복감을 덜 느끼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한편 외국의 선행연구[1, 2, 34]에서는 부정적 정서와 긍정적 정서 모두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반적인 행복 또는 만족도에는 성차가 없었다는 연구와는 비교되는 결과이다. Kim[12]은 연령자체가 심리적 적응을 좌우하는 변인은 아니지만, 개인이 처해있는 발달단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어서 대학생 시기의 진로에 대한 많은 갈등을 고려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주관적 경제수준은 대학생의 행복감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 Park[37]에서도 사회ㆍ경제적 지위는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영역 중 긍정적인 정서인 행복감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 본 연구결과, 대학생이 지각하는 주관적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행복감을 높게 지각하는 경향성을 보이고 있으나, 주관적 경제수준을 가장 낮게 지각한 하집단은 중·상집단의 수준과 유사한 점수를 보여 행복감을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집단 간 차이를 보면 중집단과 중·하집단 보다 행복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하집단은 경제수준에 대한 기대치를 높게 갖지 않지만 중이나 중·하집단은 상 집단을 향한 기대치와 상대적 빈곤감을 더 많이 느끼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가족건강성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가족소득수준이 높은 여성가장들의 심리적 안녕이 높다고 한 연구Simons[42]와 Umberson[46]의 결과도 있어서 소득수준은 심리적 안녕과 긍정적으로 관련되는데 이는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가족건강성과 행복감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가족건강성과 행복감의 상관관계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가족건강성은 행복감과 관계가 깊은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가족건강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가족건강성이 행복감을 설명한 총 설명력은 33.5%로 파악되었다. 가족건강성(β=.579, t=13.177, p<.001)이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말해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본 연구의 제안 및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에게 행복감을 주는 중요한 가족건강성의 요소는 사회와의 유대, 가치관과 목표공유, 긍정적 의사소통임을 감안하여 교육해야 한다. 둘째, 대학생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 성별에 따라 느끼는 행복감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주관적 경제수준에 의한 결과를 볼 때 행복이란 상대성을 갖고 있으므로 스스로 긍정적인 가치관과 기대를 갖게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조사대상자를 전라북도지역의 4년제 대학생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우리나라 전체 대학생에 대한 내용으로 일반화하여 해석하기는 어렵다. 다섯째, 가족건강성은 다양한 변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개인의 인성특성을 포함한 사회 심리적 변인, 다양한 가족생활변인 등을 포함한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Although many people in modern society are living with different lifestyles and have different priorities, their ultimate life goal is to pursue ‘happiness’. Hence, this research surveyed the level of happiness caused by family strength as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with the demographical variable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Jeollabuk-do reg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family strength with a general background, it was found that male students perceive family strength more positively than female students. Second, happiness caused by a general background value shows that male students perceived both family strength and happiness more than female students. Third, family strength and happin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in all areas, meaning that high scores in family strength are related with high scores in happiness. In addition, especially when the sub-factors of family strength, view of value, object-sharing, and social solidarity had high scores, the happiness scores were high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