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Historical Geographical Snapshots of Salt-Making Industry in the State of Louisiana

        홍금수(Keumsoo Ho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5 문화 역사 지리 Vol.17 No.1

        Salt has been a dietary mainstay, the making of which displays a long history comparable to that of human civilization. Given that the mineral resource is buried at limited number of sites and needs to be transported where it deems necessary to sustain the physiological requirement of people, salt connotes various geohistorical implications. The salt making in the State of Louisiana up until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had experienced a dramatic transformation. At the outset, Native Americans and the Spanish and French pioneers procured salt through boiling up the brine from salines. Then the salt industry got at the turning point during the Civil War with the discovery of the rock salt at Avery Island and nearby four other sites. Driven by the development of explosives and electric trains the mass production of salt was made possible. Salt mining has endured for an extracted period of time and now prospers in association with Louisiana's chemical industry. 소금은 인류의 출현과 역사를 함께 한 식품으로서 원료가 일부 지역에 국한된 상태로 존재하며, 일반인이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라면 일정량 이상을 반드시 섭취해야 하는 특성상 내륙 깊은 곳까지 운반되어야 했기 때문에 지리적인 양상을 다분 함축하고 있다. 미국 남부에 자리한 루이지애나주의 제염업은 시기별로 다양한 역사지리적 측면을 반영하며 역동적으로 전개되었다. 원주민은 서리소금을 획득해 사용하였고, 강렬한 태양열에 농축된 염수를 노출시키거나 스페인과 프랑스에서 건너간 초기 개척민이 그러했듯이 지역 북서부 레드강 유역에 분포하는 염정에서 확보한 염수를 가열해 소금을 생산하였다. 흥미롭게도 가열 할 때 사용한 토부는 굴껍질과 흙을 배합해 제작하였다. 남북전쟁을 거치면서 에이버리섬에 매장된 일부를 포함해 내륙과 연해에 산재한 암염의 존재가 밝혀지는 한편 디젤궤도차량 및 폭약을 위시한 새로운 장비가 개발되면서 대량생산의 시대가 열린다. 현재 소금은 루이지애나주 화학공업의 중요한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 KCI등재

        安城地方 地域正체性과 分裂과 그 原因

        홍금수(Keumsoo Ho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4 문화 역사 지리 Vol.16 No.1

        Ansung is the southern gateway Municipal County of Kyonggi Province with, as of year 2000, about one hundred and forty thousand rural and urban populations within its territory of 554.3 square kilometers. The predecessor of the region is Ansung County which came into being with the annexation of the neighboring counties of Jooksan and Yang sung 111 1914. On the surface the integration of county boundaries seemed to be an expected spatial strategy to cope with the changing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s which confronted the region with the systemdisrupting logic of colonialism, modernism and geometry. The rearrangement of administrative districts, however, raised regionalism on the surface that had remained mute until that time owing to the semi-autonomous status secured by the counties in question. Traditional wisdom identifies regionalism with strong sense of place, attachment to intimate environment, distinct genre de vie and topophilia. Connoting a communal identity, regionalism at the same time signifies a geographical consciousness -- ideology tightly embedded in territory. County boundaries before the nation-wide reorganization in 1914 challenges the simple characterization of parceling a certain extent of land surface by geometric lines. Instead the territorialization was designed to include realms of shared way of life and exclude those rooted In different traditions. One interesting fact is that most counties settled deep into small and large river valleys which have been generally recognized as ideal units of culture area. Put differently, prevIous county boundaries seemed like containers of distinct regional ways of life. That is what made the readjustment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the early 20th century disturbing and hard to bear, especially, for Yangsung and Jooksan on the losing side. Unlike Ansung which took most as a winner, the two counties felt humiliated to the extent that their cultural heritage and collective identities deemed insignificant with the annexation. Frustration was especially strong among local elite and bureaucrats who as opinion leaders helped shape the Confucian view of the region and communalism. Equally disappointed were ordinary people who consolidated local identity in the course of sharing labor in paddy and dry fields and rebelling against excessive taxation of the court. Given that most office holders resided in or in the neighborhood of county seats, the reawakening of regionalism right after the county integration was, In a sense, an expression of rivalry between major towns of the counties under consideration. Metaphorically speaking the identity politics seems like a head-on confrontation between space and place. At various times space has wielded its power with the help of capital,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and rationalism. On its part, place laden with history, tradition, culture and aesthetics has resisted tenaciously which IS reflected In the continuing symbolic view of sacred mountains, initiative to reclaim former county names, historic tourism district planned according to former county areas, and county names on shop signboards. The future of regionalism in Ansung is hard to tell, to say the least. Considering that traditions are constantly invented and socially-constituted, the mental maps of the ordinary people about their pays and heimat will not be the same as before in the face of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globalization. However, one thing clear is that attachment to place and utopian vision of communalism will provide us with the single most comforting solution to the self-defeating modernism.

      • KCI등재

        오대호안 경관의 수행적 소비에 의한 미시간 장소성의 감응과 강화

        홍금수(Keumsoo Ho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7 문화 역사 지리 Vol.29 No.2

        미시간은 빙하지형, 청량한 기후, 모레인 토양, 솔송나무·단풍나무·참피나무 혼합림의 자연환경을 구비한 미국 중서부의 대표지역으로서 이리, 세인트클레어, 휴런, 미시간, 슈피리어 등의 호수에 연하여 ‘오대호의 주’라는 별칭을 가진다. 숭고함과 장엄함의 경관미학을 구현한 오대호가 미시간의 장소정체성을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는 경관을 매개로 미시간 사람들과 그들 본원의 장소인 오대호 사이의 상호작용을 수행과 감응의 관점에서 파악하였다. 오대호의 파노라마와 스펙터클에 기초한 미시간 숭엄미학의 구현체인 호안경관은 신화·원시자연·축적·과학·성찰 등의 중층적 맥락에서 조망자의 인식·태도·취향에 따라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호안경관의 실천적 소비를 통한 주체와 장소 상호간의 감응은 장소감을 규정하며, 그런 수행이 일상적으로 반복될 때 장소성의 강화로 귀결된다는 논제의 확인을 목표로 한다. 연구를 통해 코헨의 유희, 레크리에이션, 경험, 실험, 실존 등의 의미를 담은 호안경관 소비의 수행은 미시간 장소애의 감응을 촉발하고 장소성을 강화하는 것으로 해 석되었다. Michigan, a representative place in American Midwest, has been known as the Great Lakes State as it has prominent lakes of Erie, St. Clair, Huron, Michigan and Superior on the shore. I try to interpret the meaningful interaction between Michiganders and their cosmic center of the Great Lakes from the non-representational perspectives of performance and affect. Given that the sublime and grandeur landscape aesthetics of Michigan builds on the symbolic meaning and spectacles of the Lakes, I assume that Michigan’s sense of place has been socially constructed in the context of myth, pristine nature, accumulation, science and reflection embedded upon the lakeshore. Based on the evidence from fieldwork I argue that the corporeal routines of performative consumption of lakescape with Cohenean multiple implications of diversion, recreation, experience, experiment and existence propel the affect of sense of place and topophilia and consolidates the place identity of the State of Water Wonderland

      • KCI등재후보

        朝鮮後期~日帝時代 嶺南地方 地域體系의 變動

        홍금수(Keumsoo Ho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5 문화 역사 지리 Vol.17 No.2

        조선후기 영남지방의 전통 지역체계는 왕도와 외방의 관계에 초점을 둔다면 수직적 연계가 두드러지지만 지역 내부로는 생활권 중심의 수평성이 뚜렷하였다. 공간의 차별이 강조된 근대형 지역구조는 도시화, 상업화, 공업화, 교통발달이 일체로 진행된 일제시대에 구현되었다. 크리스탈러의 행정, 상업, 교통 3대 중심 기능에 입각해 영남지방 지역체계의 변천을 분석한 결과, 행정중심지로 기능하던 관아도회는 성장, 지속, 신생, 재기, 쇠퇴의 다양한 과정을 거쳐 행정도시로 거듭나거나 신흥도시에 밀려 구읍으로 쇠퇴하였고, 시장거래액의 표준편차와 최근린지수의 시기별 변동에 드러나듯 상업기능의 계층분화와 시장의 균등분포를 유도하는 공간원리의 작용이 두드러졌으며, 중앙집권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하향성이 강조된 전산업시대의 교통체계는 내륙의 전략거점과 해안의 수출항을 잇는 도로, 철도, 수로, 해로의 연결망으로 재편되어 식민지 경영의 기간설비로 활용된 사실을 확인하였다. 행정, 상업, 교통의 중추기능지역으로 성장한 부산은 지리적 중심으로서 내륙을 관리한 대구와 함께 영남지방의 다극체계를 양극체계로 바꾸어 놓았다. The regional systems of Gyeongsang Province from the late 18th century through the Japanese Rule had experienced a sea change from the traditional type characterized by horizontality and Confucianism-driven moral economy to the modern capitalist one featuring hierarchical patterns and spatial differentiation. Urbanization, commercialization and transportation development gained a momentu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dding a modern tint to the traditional systems of Yeongnam vernacular region. Administrative centers were either integrated into layered systems of cities or receded into the remnant of heritage towns. A statistical calculation of standard deviation and nearest neighborhood index testified the consolidation of hierarchical gradation among periodic markets and the tendency toward a regular distribution. The network of roads which used to supplement centralizing efforts of the Court was rearranged to facilitate the unequal exchanges between Japan and Colonial Korea. The reconfiguration of socioeconomic situation added up to the shaping of modern regional systems of Gyeongsang Province centering on the pivots of Busan and Daegu.

      • KCI등재

        堤川郡 近左面 <耕地配列一覽圖>의 제작 배경과 사료적 가치

        홍금수(Keumsoo Ho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5 문화 역사 지리 Vol.27 No.3

        을사늑약으로 대한제국의 주권을 실질적으로 탈취한 일제는 식민화를 염두에 두고 재정정리에 착수한다. 양안과 깃기에 입각한 종래의 토지·지세제도를 근대화한다는 명목아래 대한제국의 재원 일체를 파악하여 지세수취를 안정적으로 가져가고자 結數連名簿와 課稅地見取圖를 제작한다. 圖簿로 구성된 지적체계를 완비하여 토지지배를 필지단위까지 철저하게 관철시킨 것이다. 과세지견취도를 전국으로 확대·시행하기에 앞서 1911년에 충청북도 전역과 충청남도 6개 군을 대상으로 시험하였고 당시 제작된 도면 가운데 청주군 北江內二面 花上里와 花中里를 담은 1매와 제천군 近左面의 耕地配列一覽圖 13매가 현존한다. 나침반·측판·보측·도선법 등 간이측량 기기와 기법에 의거해 제작된 지적도로서 지주·지목·결수·두락 등 광무양안의 내용을 수록하고 제목·방향표시·범례·축척개념 등 근대 주제도의 일반형식을 갖추었다. 舊本新參의 전환기적 시대상이 투영된 경지배열일람도는1909년의 土地調査 시범사업으로 작성된 부평군 일부 지역의 지적원도보다 시기는 뒤지나 유사 이래 근좌면 소재 동리의 행정경계가 표시된 최초의 도면이라는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원박리의 경지배열일람도는 박달재 영취락의 역사경관을 복원하는 자료로 유효하였다. With the ratification of the 1905 Protectorate Treaty the Japanese regime restructures the financial system of the Greater Korean Empire with the initiation of Land Tax Assessment Rolls and Estate Maps. It turned out that the Government General of Chosun could control the Korean land by the parcel with the help of this cadastral system. In 1911 the colonial government conducted the pilot project of the estate maps of North Choongchung Province and six counties of South Choongchung Province before applying it to the nation as a whole. Shaped out of an unsophisticated surveying technique, the cadastral map sheets displayed the traditional contents of landlord names, land uses and seed acres, along with the modern addition of legend, direction and scale symbols. The single most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maps, however, would be the first ever demarcation of the administration units of dong and ri villages. Thirteen sheets of the estate map of Geunjwa-myon, Jecheon County afford an essential perspective for the reconstruction of past landscapes, which is tested in this paper at Wonbark-ri village of the Parkdal Pass.

      • KCI우수등재

        쌍자취락 장호원의 형성과 변천

        홍금수(Keumsoo Hong) 대한지리학회 2018 대한지리학회지 Vol.53 No.6

        조선시대 음죽현은 영남대로, 충주·단양·풍기를 경유해 봉화에 이르는 죽령대로, 가흥·목계·내창을 거치는 제천로, 보발통신의 참로 등이 교차한 교통·통신의 요충으로서 공무수행자, 일반 행려, 상인에게 숙식의 편의를 제공할 목적으로 장호원을 운영하였다. 인근 흑석원의 상황을 전한 12세기 금석문이 존재하고 지역 내외의 교통에서 청미천변이 차지한 전략적 중요성을 감안할 때 장호원의 기원은 시기에서 그보다 앞설 것으로 추정된다. 교통과 함께 장호원의 성장을 이끈 것은 김자점이 청미천을 가로질러 잡석으로 막은 ‘자재미보’와 정기시장의 발달이었다. 안정적 관개수원이 창출한 잉여산물은 교환경제를 선도하고 농우의 거래를 활성화하여 상업 취락의 성립을 유도하였으며, 청미천 양안의 ‘장호원나루’에 기원을 둔 쌍자촌의 자생적 성장을 촉진하였다. 18세기 전반 민영주막에 기능을 양도한 장호원은 평촌과 석교촌을 아우르는 토착지명으로 흔적을 남긴다. 상업경제에 추동된 지역잠재력이 음죽장호원에서 섶다리 건너 대안의 충주장호원으로 파급되어 쌍자도회의 토대를 확고히 다지는 가운데 일제의 1914년 행정구역 조정은 도·군·면 경계에 의한 분열을 조장하고 전통장소의 식민공간으로의 파행적 전환을 재촉한다. 지방자치 국면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상호경쟁과 그로 인한 쌍방의 성장은 장소애의 희생을 강요하지만 쌍자취락의 기억은 강고한 통합의 치유책이 되어준다. Janghowon, a wayside inn at the crossroad of transportation-cum-communication lines in the interior Gyeonggi Province, accommodated high-ranking emissaries, merchants and other travelling people on their way to Seoul and midway places with lodging. Established in Pyongchon, Eumjuk County prior to the 12th century, the chartered facility gave way to taverns and a periodic market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leaving behind a vernacular toponym of Janghowon given to the riverine villages of Pyongchon and Seockyochon. In addition to transportation, the fortune of Janghowon was driven by growing agrarian productivity aided by Jajom diversion dam on Chungmicheon River and by just as booming market economies as well. Janghowon’s peculiarity was that it made, at the outset, a twin village sharing the rhythm of everyday life with Joongdong, Jangdae and Masanri on the other side of the river. Even though the nation-wide rearrangement of counties and myons in 1914 - a colonial tactics to institute a spatial order in lieu of placeness - turned out to instigate regional growth through town rivalry at the cost of topophilia, the lingering collective memory of twin town has served as a single most significant therapeutic reliance for local fraternity, companionship and consolidation.

      • KCI등재

        구룡포 신사터의 탈식민 혼성경관 텍스트에 내재된 다중의미

        홍금수(Keumsoo Ho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3 문화 역사 지리 Vol.25 No.3

        구룡포는 일본 세토나이카이 어민의 도래를 계기로 초국적 장소의 위치성을 부여받는다. 이주민 유지들은 방파제를 축조하고 공유수면을 매립하여 전통어촌을 어업 타운으로 성장시키며, 탈장소에 기인한 노스탤지어를 달래고 심상지리의 교란을 치유하기 위해 神社를 건립해 우주적 중심으로 삼는 한편, 이념적 국가기구로서 사상침탈의 전위로 삼는다. 국권회복을 계기로 구룡포는 기대된 탈식민의 시대적 요청, 즉 지배경관의 완전한 해체와 민족주의 경관으로의 대체에 부응하지 못하고 신전만을 철거한 채 부속경관을 재활용하는 특유의 방식으로 식민지 과거를 기억한다. 미완의 과업은 한국전쟁의 상흔을 치유할 목적으로 건립한 충혼탑과 충혼각이 덧씌워진 혼성경관으로 귀결된다. 선택적으로 기억된 국가와 지역의 과거가 몰정체의 경관으로 재현된 가운데 포항시의 遺産産業은 식민지 시대의 문화적 유물을 자산으로 신화만들기에 나서 관광객의 시선을 충동한다. 국가, 포항시, 구룡포의 현재적 요구가 충돌하는 가운데 기억의 장소 신사터는 반공이념의 성지, 유산관광지, 로컬의 대항기억과 디아스포라 메타포에 의거한 간문화적 정체성의 상징 등 상호 경합하는 해석을 낳고 혼성경관에서 타협점을 찾는다. Guryongpo came to claim a transnational positionality with the arrival of Setonaikai fishermen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Japanese constructed breakwaters and reclaimed the inlet area making the quiet fishing village a booming port town. They established a major Shinto shrine on the hilltop to assuage homesickness, transforming it into a symbolic center of their cosmos and an ideological state apparatus for the control of natives' mentality. Despite the hoped-for independence, however, Guryongpo people failed to replace the dominant colonial landscape for the nationalist post-colonial one, opting instead to remember the past on their own way by selectively deleting, replacing, and relocating landscape features of the shrine site. The hybrid landscape thus shaped was later joined by the monument of Korean War. The heritage industry in the meantime sets out to myth-making in an attempt to entice tourist gaze. At present, the conflicting demands of the nation, Pohang City and Guryongpo lead up to mutually contrasting interpretations of the former Shinto shrine site, i.e., as a sacred place of anti-communism, as a heritage tourist site and as a symbol of diasporic intercultural identity.

      • 일제강점기 전통 계획도시 수원의 지역구조 재편 - 식민통치를 위한 공간의 생성(生成)과 장소의 전용(轉用) -

        홍금수(Hong, Keumsoo)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8 기전문화연구 Vol.39 No.1

        정조에 의해 조영된 팔달산 아래 행궁과 화성은 수원시의 역사·문화적 중심이다. 비극적 가정사에서 피어난 효의 표상지역인 동시에 왕도 호위의 막중한 역할을 수행한 기보(畿輔)의 수위도회로서 수원은 전통 계획도시의 전범이지만, 대륙침탈을 염두에 둔 경부선 철도의 부설 및 식민행정의 출범과 함께 지역구조의 기형적 재편을 경험한다. 불가침의 성역이자 수도를 보장하기 위한 유수부의 거점으로서 행궁은 본연의 기능을 탈취당한 채 식민통치를 위한 통제중심으로 세속화되고 성벽은 지배권력의 권위공간과 피지배의 수탈 영역을 가르는 경계로 변모한다. 서울, 부산, 인천, 여주를 연결하는 경부·수려·수인선 교차점의 수원역은 자원 및 식량수탈의 결절로서 전방에 이식자본의 신 경제공간을 창출하며, 둔전을 관개하기 위해 축조한 축만제와 서호 일대의 경우 농사시험장으로 전용되어 생태제국주의의 전위로 기능한다. 화성, 수원역, 서호의 삼원체제를 특징으로 하는 식민도시 수원의 지역구조는 타자의 지배권력에 의한 다중 스케일의 수탈적 저의를 함의하며 수원면의 읍 승격과 읍역 확장 및 왜색 짙은 혼성경관의 형성은 식민권력의 영역화를 상징한다. Planned by King Jungjo as a bastide for the defense of the Capital of Chosun Korea the fortress town of Hwasung at the foot of Mt. Paldal played a critical role for the additive and transformative development of present-day Suwon City. The traditional town was forced to restructure itself with the onset of the Seoul-Busan railroad in 1905 as an artery for the imperial foray into the continental Asia. Foremost, the forbidden area of Suwon royal palace was divested of sacredness to be a secular-cum-colonial county seat. Suwon station on the Gyeongbu line was joined by two additional railroad lines of Suryo and Suin to have functioned as a node for the exploitation of interior Gyeonggi region. Lake Seoho designed as a reservoir for the irrigation of agrarian land improved by garrison troops came to host the Institute of Agriculture affiliated with Government-General of Chosun and served as an agent of ecological imperialism in the peninsula. The tripartite structure of Hwasung fortress, Suwon station and Lake Seoho conspired the exploitation of the colonized subaltern by the ruling Other. The scalar adjustment of Suwon-myon into Suwon-eup in 1931 and the extension of the bound of Suwon-eup in 1936 signified the regionalization of Japanese imperial power in colonial Suwon.

      • KCI우수등재

        고려시대 흥원창과 법천·거돈·흥법 원주 3대 강변사찰

        홍금수(Keumsoo Hong) 대한지리학회 2019 대한지리학회지 Vol.54 No.6

        원주의 법천사, 거돈사, 흥법사는 신라하대에 중창된 江寺로서 고려창업과 왕권강화에 조력하며 국가공인의 비보사찰로 지정, 경제적 지원 아래 흥성한다. 지광국사 혜린, 원공국사 지종, 진공대사 충담 등이 주석하거나 왕사와 국사의 책무를 완수하고 하산해 입적한 대찰이며 고승의 승탑과 승탑비는 3사의 정치·사상적 영향력을 알리는 상징경관으로 남아 있다. 남한강과 섬강이 합류하는 원주 서부지역의 취락과 경제중심으로서 세 사찰은 수로를 통해 지역 간 문물교류를 매개하고, 개경의 선진문화를 중부내륙으로 전파하여 중원문화지역 형성에 일조하는 한편, 지역사회에 다양한 시혜를 펼치고 흥원창을 호위하였다. 고려 초 과도기적 세곡운송체제로 운영된 60포제의 은섬포를 계승한 흥원창은 중앙집권적 수취체제의 확립을 반영하는 13조창의 하나로 설립되어 국가재정을 지탱하였다. 개경과 경주, 영동과 내포를 잇는 간선교통로의 교차점에 해당하는 지정학적 위치에서 흥원창은 원주 3사의 직·간접 지원 아래 재정, 정치, 군사, 사회, 문화 기능을 수행하였다. 고려시대 흥원창의 성장과 쇠퇴는 남한강수로변 법천·거돈·흥법사의 역사지리적 변천을 압축적으로 재현한다. Chartered as ideological outposts by the court of Goryo Kingdom the Buddhist temples of Bupcheon, Geodon and Heungbup in Wonju enjoyed a privileged status of royal institution throughout the monarchical regime. The landscape of stupa and monuments sponsor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accrued to such highly respected mentors as Haerin, Jijong and Choongdam represented the spiritual centrality of the temples in the interior mid-Korea, or Joongwon. These religious institutions on the Han River served as central places of regional economy and communal life and facilitated implantation of aristocratic culture of the Royal capital upon the soils of hinterland as well. Although hindered by the presence of the rapids, the Han River modulated the shaping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of Wonju Region. The transformation of the sacred temples proceeded in tandem with Heungwonchang, a granary storehouse which transported tax in kind to Gaesung. The rise and fall of Heungwon storehouse at a geopolitical crossroad recapitulated the political, economic, religious and cultural trajectory trodden by the present-day deserted three temples in Wonju.

      • KCI등재

        도시 공간 속의 촌락

        홍금수(Keumsoo Hong),김수진(Soo-Jin Kim),김태형(Tae-Hyeong K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2 문화 역사 지리 Vol.24 No.1

        경관은 문화현상의 재현인 동시에 독자적인 생활양식의 괴멸을 초래하는 사회병리의 일단을 투영한다. 신자유주의 가치가 팽배한 도시에서 공간의 침탈에 의해 장소가 위협받는 양상은 해체되는 서민경관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자본과 권력으로 무장한 공간은 애착이라는 감성적 토대로서 서민들의 일상이 전개되는 터전인 장소를 공략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며 종국에는 추구하는 새로운 가치와 질서를 주입하는 데 성공한다. 본 논문은 1960년대 말의 재개발사업으로 시내에서 변두리로 강제이주한 철거민의 정착촌‘중계동 104마을’을 사례로 서민경관이 해체를 맞게 되는 과정을 탐문한 것이다. 발전주의적 신자유주의 가치가 40년 넘게 다져온 공동체를 와해시키려 내부자를 분열시키고 경계 만들기에 나서는 상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다수의 주민을 고려한 임대주택 건설안을 파기하고 주택재개발 정비사업 최종안으로 관철시킨 공공부문의「일부주거지 보존방안」이 도시인의 노스탤지어를 자극해 서민들의 삶이 배어 있는 생활양식과 경관을 보존해야 한다는 명분을 앞세워 주택시장에서 실익을 챙기려는 고도의 문화전략임을 간파하였다. 주민을 우선하는 전향적인 재개발 패러다임이 요망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shaping and dereliction of the ordinary landscape of 104 urban village in Joonggye-Dong, Nowon-Gu. After looking into the transformation of the local geography during the past 40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104 district at the end of the 1960s with Seoul’s inner-city renewal and ensuing clearance of the housing of the working people, the authors take issue with the ruthless foray of neo-liberalism into the place of the urban subaltern in recent years. A critical interpretation is made from a cultural political point of view as to the public sector’s renewal plan of the district. The authors argue that the plan, which replaces the original one to construct apartment buildings for rent at an affordable price and lays instead stress on the preservation of parts of worn-out housing, is nothing less than a highly politicized cultural strategy. Although it makes an appeal to Seoulite’s deep-seated nostalgia for the foregone era and age-old vernacular landscape, the revised plan is propelled by the market’s instinct for the monetary returns. The derelict landscape of the 104 urban village reflects this deplorable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