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동주택의 도로구조형식과 다년도 범죄발생통계와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홍관선(Hong, Kwanseo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4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3 No.4

        본 연구는 다년도 범죄통계자료를 기본으로 하는 연구자의 지속연구이다. 이전 연구에서는 다년도 범죄발생통계, 공간구문론의 상관성, 거리의 활동성을 주제로 하였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도로구조형식에 따른 다년도 범죄발생통계와의 관계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갖는다. 국내 공동주택의 단지배치 구조에 따라 관통도로형구조와 막다른도로형구조의 두 가지로 구분하여 여기서 추출되어지는 결과를 이용하여 영역성과 거리의 활동성에 대한 중요도를 추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대상은 범죄발생빈도 다발 지역을 경찰청 자료에 의거해 선정한 후, 연구대상 지역의 53개 공동주택단지(연구대상지역 44개소, 인접생활영향권 9개소)로 한다. 연구 결과 관통도로형구조에 의해 거리의 활동성이 강조되어지는 공동주택이 영역성이 강조되어지는 막다른도로형구조의 공동주택에 비해 강·절도 범죄발생이 적게 발생하였으며 성범죄 발생은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의 부가원리인 활동성 강화가 강 절도와의 관계성을, 기본원리인 영역성은 성범죄와의 관계성을 밀접하게 갖는 것을 나타낸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s a series of study on multiyear crime data. The earlier work examined multiyear crime statistics, correlation of spatial syntax and activity of street as the theme.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multi-year crime statistics and road structure form of apartment house. The importance of activity of distance and territoriality can be inferred using the results extracted from separation of road structure into through road structure and dead-end road structure depending on the layout structure of apartment houses in Korea. With regard to subject of study, the areas of frequent crim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data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then 53 apartment house complexes in the area of study (44 places in areas of study and 9 places in neighborhood areas) were finally selected. As a result of study, robber and theft crime occurrence was lower in the apartment house where activity of street is emphasized with through road structure than in the apartment house where territoriality is emphasized with dead-end road structure, while the occurrence of sexual crime showed opposite results. Such result shows that additional principle of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reinforcement of activity is closely related to robber and theft, and the basic principle, territoriality is closely related to sexual crime.

      • KCI등재

        비정형' 공간에 따른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개념 적용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박상준(Park Sangjun),홍관선(Hong Kwanseo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3

        디지털 패러다임에서 출발하는 실내공간의 비정형 형태로의 변화는 사람들이 행위 하는 공간의 형태라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디지털 매체의 발전 인터넷 등 각종 정보기술의 활용 건축 및 실내 공간 디자인에 있어서의 비정형 형태로의 흐름은 현 시대의 패러다임과 관념들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의 실내 공간 디자인에 있어서 비정형적 공간으로의 변화는 디지털 패러다임의 한가운데 위치하고 현대건축 디자인의 변화 디지털매체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하고 있다. 비정형 건축으로의 변화와 함께 실내 공간은 디지털 매체를 기반으로 더욱더 비정형화라는 다자이너의 상상력을 현실화 하게 한다. 본 연구는 실내공간 변화에 따른 비정형 공간개념을 인지하고 BIM의 개념과 그 효율성을 통해 실내공간의 변화에 따른 BIM 적용의 필요성을 제안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하여 비정형에 대한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연구의 기본 틀을 마련하고 디지털패러다임과 디지털생성도구 파라메트릭 모델링 BIM의 분석을 바탕으로 실내건축에 BIM의 효율적 적용 가능성을 규명 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건축의 비정형화에 의해 기하학적 공간에서 비정형 실내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정형 형태 도출에서도 기존의 2D 시스템으로는 역부족이며 3D 모델링 시스템을 통하여 형태 도출이 필요 할 것이다. 3D 모델링 시스템과 파라메트릭 모델링 BIM은 디자이너의 상상력을 더욱 현실화 할 수 있으며 BIM의 효율성으로 자유로운 공간과 더욱 다양한 비정형적 공간 생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지만 아직은 BIM의 활용이 건설 건축에 국한되어 활용되고 실내건축에선 그 활용이 미비하였다. 따라서 실내공간에 있어서 BIM의 적용은 필수적인 것이며 실내공간의 변화에 따른 BIM 적용은 그 필요성과 더불어 효율성 측면에서 더욱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gnize the atypical space concept by the change of interior space and suggest the necessity of BIM application by the change of interior space through the concept of BIM and its effectiveness. For them this study intends to prepare the fundamental frame of studying by considering precedent studies for atypicality and investigate the effective applying possibility of BIM for interior architecture based on the analysis of digital paradigm digital creating tool parametric modeling and BIM. As the result of this study geometric space is changed to atypical interior space by architectural atypicality. For the deduction of atypical forms the existed 2D system is not sufficient and it has to be deducted by 3D modeling system. 3D modeling system parametric modeling and BIM can actualize the imagination of designer more and facilitate to create free spaces and more various atypical spaces with the effectiveness of BIM. But as the application of BIM is limited by construction and architecture and in the interior architecture its application is incomplete.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BIM is necessary for interior space. And the application of BIM by the change of interior space will contribute more to not only its necessity but also its effectiveness.

      • KCI등재후보

        전원주택의 건축구조유형에 따른 선호도에 관한 연구

        김곤수(Kim, Gonsoo),홍관선(Hong, Kwanseo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4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3 No.1

        현 시대의 주거 양식은 현대인의 욕망에 의해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해왔다. 근래에 들어 소득과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욕구에 의해 전원주택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단순히 주거 양식의 변화를 뜻하기보다 사회전반적인 삶의 질에 대한 욕구의 반증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전원주택의 수요는 무질서한 도시의 확장을 초래하고 있으며, 거주에 대한 부족한 준비 및 지식 등으로 전원주택 생활의 시작이 실패로 끝나고 있다. 이에 다양한 유형으로 개발되고 있는 전원주택의 개발 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에 앞서 거주만족의 개념 및 전원주택에 대한 이론적 고찰, 그리고 건축구조유형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문헌조사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연구모형을 제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전원주택 수요자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연계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설문조사와 통계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초통계량 및 빈도분석의 결과, 전원주택의 거주의향이 있는 대상이 거주의향이 없는 대상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적조’의 건축구조유형을 가장 선호했다. 또한 ‘초기건축비’, ‘건축외형’, ‘채광’, ‘단열성’, ‘자연 체감도’를 가장 선호한다고 응답했다. 교차분석의 결과에선 건축구조유형과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른 전원주택 수요자의 선호도는 전반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유의확률값이 0.05 미만이었던 경제적인 부분에 따른 선호도에 차이는 ‘최초건축비’와 ‘투자가치비용’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심미적인 부분에서는 ‘주변과의 조화’와 ‘건축외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 친환경적인 부분에서는 ‘자연체감도’와 ‘건축자재의 친환경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쾌적성 부분과 편의적인 부분에서는 유의확률값이 0.05보다 모두 높게 나타나 통계적인 관점에서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전원주택의 건축구조유형은 각 요인들에 따라 전원주택 수요자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각 영향요인의 선호도에 따른 전원주택의 건축구조유형의 효용성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된다면 전원주택 수요자의 거주만족도 향상에 높은 결과를 줄것이라 기대된다. Residence style of present era has been developed continually by desire of modern people. Recently, demand for suburban house has been increased due to improved level of income and life and desire to increase life quality. It means not only change of residence style but also reflection of desire for life quality through our society. However, this demand for suburban houses is causing disordered city expansion and starting suburban houses life is being failed due to lack of preparation and knowledge about residence. Thus, there needs a study for development method of suburban houses that is being developed to various types. Before analyzing,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concept of residence satisfaction and suburban house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construction structure type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Through this, study thesis was set up and study model was made. Thus, the study verified that which difference exist relating to demographic factors according to factors affecting preference of suburban house consumers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as collecting data with survey and statistic. The results are following; As a result, objects that have an intention to live in suburban houses were more than opposite, and ‘masonry’ construction structure type was most preferred. Also, they responded that they prefer ‘initial construction cost’ for economical part, ‘construction outward’ for an aesthetic part, ‘light’ for an comfort part, ‘insulation property’ for convenience part and ‘nature feeling’ for an echo-friendly part. In result of cross analysis, preference of suburban consumer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 has difference generally. Difference of preference for economic part that significance probability value was under 0.05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initial construction cost’ and ‘investment value cost’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aesthetic part according to ‘harmony with surround’ and ‘construction outward’. In echo-friendly par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nature feeling’ and ‘echo-friendly materials’. However, in comfort part and convenience part, so significance probability value was higher than 0.05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atistic view. As a result of this study, construction structure types of suburban hoses influences preference of suburban house consumers according to each factor. Thus, if guideline about efficiency of construction structure type of suburban house according to preference of each influence factor, it is expected that residence satisfaction of suburban house consumers will be significantly increased.

      • KCI등재후보

        비정형 건축디자인의 형태분류에 관한 연구

        박상준(Park, Sangjun),이경훈(Lee, Kyunghoon),홍관선(Hong, Kwanseo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1 No.4

        비정형의 개념은 디자인에 새로운 조형언어를 생성시키고 과거와는 다른 다양하고 역동적인 공간, 비기하학적인 형태 및 공간, 다양하고 독창적인 형태로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디자인에서의 비정형은 창조적인 조형 언어로 표현되며, 기존의 유클리드 기하학적 공간 해법과는 다르게 시도되는 새로운 디자인 표현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비정형의 복잡한 곡면과, 유동적 또는 유선형으로 대변되는 비정형 형태를 완성하기까지는 다양한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비정형 형태 생성 방법이 반드시 필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의 형태를 분류하고 비정형의 형태요소와 인자의 분석을 통하여 비정형 형태분류 체계를 구축하였다. 1990년 이후의 작품사례를 중심으로 분석된 본 연구는 비정형의 형태를 파악하고, 유형의 용도별 분포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비정형 형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비정형 형태요소와 형태인자를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류는 실제 비정형 형태를 적용시키기 위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형태 분류 결과, 비정형 형태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형태생성 요소 및 인자가 복합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복합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생성요소에 적절한 대응을 위하여 각각의 특성에 맞는 프로세스 및 형태 생성방법을 필요로 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본 연구는 디지털디자인도구의 기능 적용을 통해 비정형 형태를 도출하는 디자인 방법의 선행 연구와 디지털디자 인도구의 적용방법을 연구하는 선행 연구로서의 가치가 있다. 디지털디자인도구의 속성의 이해와 함께 비정형형태 분류에 의한 추론알고리즘에 관한 부분은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An atypical concept offers an infinite possibility in various, creative forms by forming new figurative language in design and creating various, dynamic spaces, non-geometric forms and spaces, and natural shapes in area. In design, the atypical concept is expressed in a creative figurative language, which is new way to express design. Expecially in completing an atypical complex curved surface and an atypical form representative of a flexible or streamline form, various methods are required, so to achieve this, a way to generate an atypical form will be an essential factor. In this study, the atypical form was classified and the system of atypical form classification was established through the analysis of atypical form element and factor. This study that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works after 1990 figured out the atypical form and analyzed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rm for each usage. And it classified them into atypical form element and form factor to analyze the atypical form. Such classification can be used as a database to apply the actual atypical form. As the result of classifying the form, it could be recognized that the element and factor of generating the form are used in complex way to produce the atypical form. So, it would be the reasonable result that the proces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form that is appropriate for each characteristic are required to correspond to form-producing-element that is used in complex way.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 previous study on design methods to produce atypical forms through the application of digital design tools and that on methods to apply those design tools. As for heuristic algorithm by the properties of classification of atypical form factors along with an understanding of properties of digital design tools, continuous studies are required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현대 기념 경관 디자인의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여문정(Yu, Wenting),김은정(Kim, Eunjung),홍관선(Hong, Kwanseo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4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3 No.2

        20세기 이후 기념경관은 도시 주민들에게 휴식과 정신적 긴장을 풀고, 소통의 공공장소의 공간으로 사용되면서 기념적 공간의 문화적, 시대적 특징을 넓혔다. 기념경관은 그 시대 이데올로기가 반영될 뿐 아니라 사회적 지향성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기념물의 형태와 표현방식은 그 시대의 문화를 대변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이후 국내외 기념공원, 광장, 기념관 외부 공간 등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기념적 경관의 역사성 및 특징, 발전과 사회문화, 기술 영역 등을 분석하여 현대디자인에 있어 지향해야 할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다양한 기념시설을 디자인해야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기념적 경관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고찰을 통해 기념경관의 정의와 발전형태, 공간 구성요소와 시퀀스 분석요소 및 경관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의 틀을 마련하여 이를 토대로 선행연구에서 대표적으로 나타난 사례인 기념적 경관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2000년 이후의 문헌연구를 통한 선행연구 사례들을 앞서 분석하여 중국과 한국을 대표하는 실제사례 4곳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기념공간의 내용은 인물, 사건에 대한 표현과 감정을 포함하며 시퀀스는 공간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형성한다. 기념공간의 조성은 공간형식의 형태, 비례와 척도의 처리, 인접공간의 비교와 변화, 공간 사이의 연결 등의 방면이 포함된다. 기념경관의 요소는 하드요소(조각, 건축물, 포장)와 소프트요소(식물, 수경), 기타요소(색채, 질감, 조명)들로 구성되면서 하나의 완전하고 통일적인 공간구조를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20th century memorial landscape in the city residents, rest and mental relaxation, communication, public places, expanding the time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memorial landscape. Memorial landscape not only reflects the ideology of the times, but also contains a social tendency, and the monuments of form and expression also reflects the culture of the times. The aim of the study abroad since the 20th century, Memorial Park, Square, Memorial outside space and case studies focusing on the history of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memorial, cultural and social development, and technology areas, and analysis should be oriented to a modern design a variety of creative and unique designs in the need to raise commemorative and memorial landscapes that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he method of the research literature through discussion of the definition and development of commemorative landscape form, space and landscape components, sequence analysis and the component elements of the center to provide a framework for analysis based on previous studies which typically appears in the case of memorial landscape cases were analyzed. The scope of the research literature since 2000, over the previous study,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cases before them in person on behalf of China and South Korea, who had five real cases analyzed in-depth. Therefore, the contents of the celebratory space character, and emotion expression event comprising a sequence of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space formed. Greeting space in the form of the composition of the spatial type, proportion and treatment of the measure, compare and change in the adjacent space, such as spa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fold and the like. The elements of the landscape commemorating the hard elements (sculpture, architecture, packaging) and soft elements (plants, hydroponics), and other elements (color, texture, lighting) consists of a complete and unified as a single spatial structure should be fo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