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이비부머의 희망 은퇴 연령 분석: 미래 시간 관점과 직무 몰입을 중심으로

        호정화(Ho, Jeong-Hwa) 한국인구학회 2020 한국인구학 Vol.43 No.3

        미래 시간의 길이와 성격에 대한 예상은 삶의 방향과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생각의 틀을 제공한다. 산업사회에서 은퇴는 노년기의 시작점을 의미하며, 중년기 근로자는 은퇴 시기에 대한 희망을 형성하며 노년기를 준비한다. 본 연구는 취업 중인 50대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미래 시간 관점(주관적 기대여명과 노화 불안)과 희망 은퇴 연령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 관계가 직무 몰입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관적 기대여명이 길수록 남성과 여성 모두 늦은 은퇴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앞으로 남아 있는 시간이 길다고 예측하는 경우, 은퇴의 시점을 늦추기를 원하였다. 남성의 경우 노화 불안이 높을수록 늦은 은퇴를 희망하여, 미래 시간의 길이뿐만 아니라 그 성격에 대한 예측 역시 희망 은퇴 연령 형성에 중요한 요인임을 제시하였다. 여성의 경우 직무 몰입이 높을수록 주관적 기대여명과 희망 은퇴 연령의 관계는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수명 증가와 인구 고령화를 배경으로 미래 시간 관점과 현재의 직무 몰입이 희망 은퇴 연령의 형성에 기여하는 역할을 밝히며, 은퇴 관련 변인의 시간적 차원을 미래로 확장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Perspectives on the length and quality of future time provide references to evaluate priorities of life choices. This study examined associations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i.e. subjective life expectancy and aging anxiety) and hoped retirement ag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involvement for Korean baby boomers in their 50s. Results suggested that the subjective life expectancy was positively related to hope for later retirement. Both men and women who expected to live longer hoped to retire at later ages. For men, aging anxiety was positively related to hope for later retirement. The association between subjective life expectancy and hoped retirement age was stronger for women with greater job involvement. This study raised the importance of future time perspective on retirement expectations in the context of population aging.

      • KCI등재

        탈북여성의 트라우마와 치유 - 황석영의 『바리데기』를 중심으로 -

        호정화(Ho, Jeong Hwa) 한국독서치료학회 2022 독서치료연구 Vol.14 No.1

        본 논문은 탈북여성의 삶을 재현한 문학 텍스트를 통해서 탈북 여성의 트라우마 양상을 드러내어 논하고 치유에 대한 부분들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탈북여성은 탈북과정에서 극심한 스트레스 상황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들이 경험한 복합적인 외상은 한국사회에서의 적응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황석영 작가의 󰡔바리데기󰡕는 탈북 트라우마, 연대와 소통, 희망과 치유에 대한 인문학적 상상이 재구성된 소설이다. 황석영 작가는 탈북소녀 바리를 통해서 전 지구적 경계를 넘는 탈북여성의 고통과 수난을 대상화하고 있다. 작품에 나타난 트라우마 양상은 딸이라는 이유로 태어나서 부모로부터 버려지는 출생 트라우마와 외삼촌으로 인해서 하루아침에 해체되는 가족해체 트라우마, 탈북과정에서 경험하는 죽음 트라우마, 불안과 공포 트라우마, 성폭력 트라우마로 나타났다. 바리가 겪는 이러한 트라우마 양상은 탈북과정에서 다양한 정신적 외상들을 경험하는 탈북여성들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탈북소녀 바리는 이러한 고통과 아픔을 타인에 대한 연민과 사랑, 연대와 소통, 희망으로 치유하고 극복해간다. 본 논문은 지구촌 곳곳에서 인간의 욕망으로 인해 벌어지고 있는 끊임없는 분쟁과 갈등, 연대와 소통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소설을 통해서 전 세계를 떠다니는 탈북여성들의 아픔과 트라우마 치유가 중요함을 말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veal and discuss the traumatic aspects of North Korean refugee women through literary texts and to look at the point of healing from their perspective. North Korean refugee women experience extreme stress in the process of defecting, and the complex trauma they experience has several effects on their 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Baridegi, written by Hwang Seok-young, is a novel that reconstructs the humanistic imagin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s solidarity, communication, hope and healing. Through the character Bari, a North Korean defector, Writer Hwang Seok-young examines the suffering and strife that North Korean refugee women experience who cross national boundaries. The traumatic aspects of her past include the following: a birth trauma, being abandoned by her parents after being born as a daughter, the trauma of family disintegration in one day due to her maternal uncle, a trauma of Death trauma experienced during the North Korean defection process, the trauma of anxiety and fear, and the trauma of sexual violence. These traumatic aspects of Bari s experience reveals how North Korean refugee women undergo various psychological traumas. Many traumas are due to anxiety and fear caused by their status as illegal immigrants in a third country, human trafficking, and fear of deportation to North Korean. Bari finds healing and hope by overcoming all these pains and sufferings through compassion, love, solidarity, and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others. This thesis intend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healing trauma that the North Korean refugee women experience an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amid disputes and conflicts caused by human greed.

      • KCI등재

        비혼과 1인 가구 시대의 청년층 결혼 가치관 연구

        호정화(Jeong-Hwa Ho) 한국인구학회 2014 한국인구학 Vol.37 No.4

        비혼 및 1인 가구의 증가는 보편적 결혼과 비혼자의 가족 동거라는 전통적인 가족 규범을 벗어난다는 점에서 종종 가치관의 변화와 관련되어 논의되지만 실제로 이를 검증하는 연구는 부족하다. 이 논문은 2008년과 2012년 통계청 사회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25~39세 청년층의 결혼 가치관은 혼인 및 거주형태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결혼 가치관은 2008년과 2012년 사이에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그리고 그 정도와 방향은 혼인 및 거주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혼인 및 거주형태는 비혼이며 1인 가구를 형성하는 경우(비혼-1인가구원), 비혼이며 가족과 같이 사는 경우(비혼-가족가구원), 그리고 기혼이며 가족과 같이 사는 경우(기혼-가족가구원)로 구분하였다. 결혼 가치관은 결혼과 이혼에 대한 태도와 결혼 문화에 대한 태도(결혼 관계에서의 가족 우선성, 비혼 상태의 동거와 자녀 양육에 대한 동의 정도)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비혼-1인가구원은 비혼-가족가구원과 기혼-가족가구원에 비해 탈전통적인 결혼 가치관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결혼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지닐 확률과 이혼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지닐 확률이 모두 낮았으며, 결혼생활에서 당사자보다 가족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한 동의 정도가 낮았다. 반면 남녀가 결혼하지 않고 함께 살거나 자녀를 가질 수 있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높은 동의 정도를 보였다. 2012년의 응답자는 2008년의 응답자보다 더욱 탈전통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변화의 크기는 전통적인 결혼 및 거주규범을 따르는 기혼-가족가구원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 가치관의 탈전통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게 한다. The increase of the unmarried and one-person households among young adults characterizes family changes in Korea since 2000. This study examines how these changes relate to marriage values system. Three types of marital status and living arrangements were compared: unmarried solo residents, unmarried family coresidents, and married family coresidents. Marriage values system was measured in five domains: attitudes toward marriage, attitudes toward divorce, priority of family over individual in marriage, attitudes toward cohabitation, and attitude towards non-marital childrearing. This study relied on two waves of repeated cross-sectional data from the Korean Social Survey (2008 and 2012). Results suggest that, the unmarried solo residents tend to have less traditional values system: they were less likely to see marriage as a positive norm to follow and less likely to view divorce as a negative event. They were less likely to agree that family has priority over individuals in marriage but were more likely to agree that marriage is not a necessary condition for cohabitation and childrearing. The married family coresidents, however, have experienced greater magnitude of changes in marriage values system between 2008 and 2012. Implications on future family changes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여성 미취업자의 취업의사와 실업탈출과정

        장지연(Chang Jiyeun),호정화(Ho Jeong-Hwa) 한국사회학회 2001 韓國社會學 Vol.35 No.4

        본 연구는 경기가 회복되고 실업률이 떨어지는 과정에서 여성이 노동시장에서 경험한 변화를 사건사분석과 다항로짓의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미취업상태를 탈출하여 재취업할 가능성이라는 면에서 여성은 남성에 비해서 성공적이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경향은 상대적으로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빠르게 증가하고 실업률이 감소하는 시점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특히 여성은 남성에 비하여 정규직 임금근로자나 비임금근로자의 형태로 미취업기간을 탈출할 가능성은 현저히 낮았다. 그러나 비정규 임금근로자의 형태로 탈출할 가능성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다. 1998년과 1999년을 비교해볼 때, 여성의 구직활동은 취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남성보다 낮으며, 구직활동을 포기할 가능성도 높았다. 그러나 비경제활동인구로 포착된 여성이라고 하더라도 1년 후 취업한 상태로 발견될 가능성은 남성보다 높았다. 이것은 실업 또는 비경제활동상태의 구분이 남성과 여성에게 있어서 반드시 같은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 We analyse women's labor market experiences in the period of economic recovery, using data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ies" and analytical techniques of event history and multinomial logit models. Previous researches have reported that unemployed women tends to be less successful than men in terms of the possibility of reemployment in Korea. This study finds similar results even in the period when female labor market participation rate was increased fast and unemployment rate was getting decreased. In particular, the possibility of women exiting non-employment status as regular employees or the self-employed was quite lower than those possibility of men counterparts, while the exit rates of non-employed women as temporary and daily workers were even higher than those of men counterpart. By reviewing the changes of individual's employment status in 1998 and in 1999, the study finds that unemployed women tend to withdraw their job search efforts with higher rates then men counterparts. However, a woman who was out of labor force a year ago, has higher possibility to be found as a worker then a 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