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DESYNC: 무선 네트워크에서 노드 계수를 이용한 DESYNC기반 고속 수렴 TDMA기법

        현상현,이제율,양동민 大田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13 산업기술연구소 論文集 Vol.24 No.2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is a scheme that allows a user to be assigned to its own time slot, and transmits data for shared medium networks. Synchronous TDMA does not fit in a small scale network because it is complicat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TDMA, C-DESYNC, which is based on the firing method of DESYNC and uses GP (Global Packet) signal includ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starting time of a period. Since, after synchronization using GP signal, the total number of the participating nodes can be acquired by counting the number of firings within T, C-DESYNC can guarantees a upper bounded on the delay toward a stable state. 무선 네트워크에서 시분할 다중접속(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은 사용자에게 할당된 타임 슬롯에서만 정보를 전송하는 기법이다. TDMA은 동기화 방식이 복잡하여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적합하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DESYNC기반 TDMA 방식인 C-DESYNC는 DESYNC의 firing 방식과 주기의 시작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GP(Global Packet) 신호를 이용한다. 이 GP 신호를 이용하여 동기화한 후 참가 노드들의 개수를 파악함으로써 안정화 상태에 이르기까지 걸리는 시간에 최대 지연 시간을 보장한다.

      • 단일홉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단순 TDMA 시스템을 위한 DESYNC 알고리즘 개선 방안

        현상현 ( Sanghyun Hyun ),이제율 ( Jeyul Lee ),양동민 ( Dongmin Y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1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는 사용자에게 자신에게 할당된 시간구간에서 모든 대역폭을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할 수 있는 다중 접속기술이다. TDMA에서 동기화 방식은 동기화를 이루는 방법이 어렵기 때문에 소규모 네트워크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DESYNC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한 동기화 방식의 TDMA 기법인 C-DESYNC를 제안하고자 한다. C-DESYNC는 DESYNC의 firing 방식을 이용하고, 주기의 시작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Global Packet을 이용하여 안정화상태까지 걸리는 최대 지연시간을 보장한다.

      • KCI등재

        유비쿼터스 및 모바일 컴퓨팅 : 단일홉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단순 TDMA 시스템을 위한 DESYNC 알고리즘 개선 방안

        현상현 ( Sang Hyun Hyun ),이제율 ( Je Yul Lee ),양동민 ( Dong Min Y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3 No.9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한정된 주파수 대역을 일정한 크기의 시간 단위인 슬롯으로 분할하고 사용자가 할당된 슬롯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채널 접속 기술이다. TDMA에 사용되는 기술에 따라 동기와 비동기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TDMA의 동기화 과정은 복잡하고, 추가 장비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하지 않다. 반면, 비동기 방식의 DESYNC에서는 전역 클록(global clock)이나 기반 시설 도움 없이 동기화를 이룰 수 있다. 하지만 DESYNC는 동기화 완료하는 데 제법 시간이 걸리고, 소요되는 최대 지연 시간이 얼마인지 보장하지 못한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한 경량 동기화 기법인 C-DESYNC를 제안한다. C-DESYNC는 참가 하는 노드의 주기 시작 정보를 가지고 있는 GP(Global Packet) 신호와 노드들의 firing 개수를 이용하여 노드의 개수를 파악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화를 이룬다. 제시하는 알고리즘은 기존의 동기화 방식의 TDMA 기법에 비해 간단하여 비용 측면에서도 효율적이며, 동기화 완료시까지 걸리는 최대 지연시간을 보장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서 C-DESYNC는 참가 노드 개수에 관계없이 오직 3 주기 내에 동기화 완료를 보장하는 것을 보여준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is a channel access scheme for shared medium networks. The shared frequency is divided into multiple time slots, some of which are assigned to a user for communication. Techniques for TDMA can be categorized into two classes: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Synchronization is not suitable for small scale networks because it is complicated and requires additional equipments. In contrast, in DESYNC, a biologically-inspired algorithm, the synchronization can be easily achieved without a global clock or other infrastructure overhead. However, DESYNC spends a great deal of time to complete synchronization and does not guarantee the maximum time to synch comple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lightweight synchronization scheme, C-DESYNC, which counts the number of participating nodes with (Global Packet) signal includ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starting time of a period. The proposed algorithm is mush simpler than the existing synchronization TDMA techniques in terms of cost-effective method and guarantees the maximum time to synch completion. Ou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C-DESYNC guarantees the completion of the synchronization process within only 3 periods regardless of the number of nodes.

      • KCI등재

        소규모 무선 네트워크에 적합한 중앙제어 방식의 DESYNC 개선 방안

        이남권,현상현,이제율,이규원,양동민,Lee, Nam-Kwon,Hyun, Sang-Hyun,Lee, Je-Yul,Lee, Ku-Won,Yang, Dong-Mi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9 No.3

        In the recent days, interests in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schemes in small-scale networks has been increasing with growing demand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an be used as a multiple access method in small-scale networks. However, time synchronization for TDMA is complicated or needs additional equipments. Such a large cost is not suitable for small-scale networks. We propose, BC-DESYNC, a efficient time synchronization for small-scale networks by extending DESYNC(DESYNChronization). DESYNC takes a long time to complete synchronization and doesn't guarantee the synchronization delay. BC-DESYNC uses CU(Central Unit) that performs a centralized control to achieve the 2-hop communication and guarantees the synchronization completion time by using Mimic firing and C-DESYNC scheme. 최근 기기간 통신에 따른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한 통신 방법들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소규모 네트워크의 기본적 시스템은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TDMA는 동기화 방식이 복잡하고 추가 장비가 필요하며 비용적인 측면에서 비효율 적이다.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DESYNC(DESYNChronization)를 이용하여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한 동기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DESYNC는 동기화 완료까지의 시간이 걸리고 지연시간을 보장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DESYNC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BC(Bridge Count)-DESYNC를 제안한다. BC-DESYNC는 통신 범위를 초과한 노드들 사이에 CU(Central Unit)을 배치하여 중앙제어장치 기능을 통해 노드들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며, Mimic DESYNC와 C-DESYNC를 이용하여 동기화 상태 완료 시간을 보장한다.

      • 골근격계 질환에 대한 한방 관리 안드로이드 앱에 관한 연구

        이민호,이제율,현상현,이남권,양동민 大田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14 산업기술연구소 論文集 Vol.25 No.1

        Due to the advanced IT technology, the advent of the remote medical diagnosis era has come; Therefore a lot of services have derived from the remote medical diagnosis technology such as a Tele-Health, E-Health and U-Health. U-Health, based on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aims at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 it is provided to many patients in varying forms. In a modern society, there are a lot of musculoskeletal patients because of the work overload and repeated pattern in life over and over. In this paper, we develop an application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musculoskeletal patients which operates over the android platform. As long as the patients hav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like smart phones, they can use the application and get the results of diagnosis anywhere. The patients can get diagnosis simply with a medical examination by text and pictures. Not only the diagnosis service, but any services that are provides in hospitals such as reservation, medical information, etc. are available. IT 기술의 발전으로 원격진료가 가능해 졌으며, 이와 관련하여 ‘Tele-Health’, ‘E-Health’, ‘S-Health’, ‘U-Health’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들이 생겨나고 있다. 그 중 ‘U-Health’는 무선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원격진료 서비스로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현대인들은 과중한 업무와 반복된 생활패턴 등으로 인하여 근골격계 질환 환자의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활용하여 근골격계 환자가 의사의 도움 없이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의사의 진단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고 텍스트 문진, 이미지 문진을 이용한 단계별 진단이 가능 한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 또한 예약 및 진료 정보 등 병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스마트기기 상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병원 시스템과 연동하였다.

      • 무선 네트워크에서 DESYNC기반 비동기 TDMA 기법

        이제율 ( Jeyul Lee ),현상현 ( Sanghyun Hyun ),양동민 ( Dongmin Y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2

        TDMA(Time-Division Multiple Access)는 한정된 채널을 시간상에서 여러 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자신에게 할당된 시간 구간에서 정보를 전송하는 기법이다. 본 논문은 TDMA 알고리즘의 한 종류인 DESYNC 알고리즘을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별도의 동기화 작업 없이 간단한 규칙으로 동기화를 유지하는 기법을 소개 한다. 기존의 DESYNC 알고리즘은 모든 노드들이 전송 영역 안에 있어야 하고, 전부 연결되어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중앙제어장치인 CU(Central Unit)을 네트워크에 배치하여 2-홉 형태의 중앙 집중방식 네트워크가 운영되도록 하였다. 제시하는 알고리즘은 기존의 DESYNC 알고리즘과 마찬가지로 복잡한 동기화 과정 없이 단순한 방식으로 TDMA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전송 범위는 기존의 DESYNC 알고리즘의 성능에 비해 우수하다.

      •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한방 관리 안드로이드 앱 개발

        이민호 ( Min-ho Lee ),이제율 ( Je-yul Lee ),현상현 ( Smg-hyun Hyun ),이남권 ( Nam-kwon Lee ),양동민 ( Dongmin-min Y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2

        IT 기술의 발전으로 U-Health’를 기반으로 하는 건강관리 앱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U-Health’는 무선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원격진료 서비스로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 들에게 제공된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활용하여 근골격계 환자가 의사의 도움 없이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텍스트 문진과 이미지 문진을 통해 의사의 진단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건강관리 엠을 소개한다. 그리고 예약 및 진료 정보 등 병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스마트기기 상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병원 시스템과 연동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