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졍양가록>과<복선화음록>의 대비적 고찰

        허희수 ( Heo Hee-su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5 문학치료연구 Vol.37 No.-

        본고는 조선후기 장편 규방가사인 <이정양가록〉과 <복선화음록〉을 대비적으로 살펴 그 공통점과 차서점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두 작품은 그 분량이 방대한 장편이라는 점이 주목되고, 문학 앙식의 측면에서도 잡다한 혼종성을 보이고 있어서 좀 더 섬세한 고찰을 요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정양가록〉은 `부인성행록` 계열의 확장적인 변주라 할 수 있고, <복선 화음록〉은 전기형(傳記型) `복선화음가` 유형의 서사적인 확대가 극대화된 형태라 할 수 있다. 이들은 앞서 검토한 바와 같이 서사의 양태, 진술의 시점, 인물의 설정 및 인물 형상의 측면에서 다양한 편차가 있었다 그러나 그 공통의 주제적 관심은 `시집살이의 곤경과 그 극복`의 문제라 할 수 있다. 이에 필자는 이러한 점을 뚜렷이 하기 위하여 시집살이 대목을 공통적인 본 사 대목으로 설정하여 초점을 분명히 하였으며, 두 작품이 일반 규방가사와 달리 허구적이고 환상적인 설정을 통하여 이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을 공통의 특징으로 발견하였다. 자전적 진술의 틀을 유지하고 있는 <이정앙가록〉은 가문소설의 일종으로 볼 수 도 있겠으나 `1인칭 자기술회`를 끝까지 유지하고 있다는 점과 서사의 내용이 친정과 시가라는 양쪽 가문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으면서 개인의 소회와 심경을 일관되게 드러내는데 초점을 둔다는 점을 통해 규방가사의 기본적인 틀이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복선화음록〉역시 양적 팽창 측면에서는 장편에 가까운 서사다. 그러나 일반적인 규방가사의 틀을 유지하려 하고 있지만 작품 초반부는 이씨 부인의 자기술회로 시작해서 후반부로 넘어갈수록 자기 진술에서 바탕하여 남편의 성공담으로 초점화시켜 가고 있다. 이는 장면의 극대화 통한 장편규방가사의 서사적 확대 양상을 잘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렇듯 서로 계열이 다른 두 규방가사가 `시집살이 서사`를 바탕으로 공통적으로 서사적 확대를 보인다는 것에 주목하여 두 작품을 상호 대비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조선후기 장편화된 규방가사는 이외에도 <덴동어미화전가〉가 있는데 이 두 작품과 <덴동어미화전가〉사이의 대비적 고찰을 후속과제로 남겼다 This paper explores a contrastive analysis of <Yi-Jeong-Yang-Ga-Rok〉and <Bok―Seon―Hwa―Eum―Rok〉,which are two full length Gubang-Gasa during the late Cho-Sun period. < Yi-Jeong-Yang-Ga-Rok > is considered the expansive variation of the series of <Buin_SungHang ―Rock〉, whereas <Bok―Seon―Hwa―Eum―Rok〉is considered the maxi mized style of expansion of epic in < Jeongi Type Bok―Seon―Hwa―Ehm -Ga >. In terms of modalities of the narrative, point of view of the stat ement, the setting of characters, and features of the characters, both works have different deviations. However, the common interest of both works is the e question of `get over and the plight of the patrilocality, In order to clarify this theme, I am focused on the story of patrilocality by studying the setting of the common main-story. In contrast to other general Gubang-Gasa, both works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fictional and fantastic setup that deals with this issue. Even though < Yi-Jeong-Yang-Ga-Rok > is considered as part of a family novel as it has the framework of an autobiographical statement, this is also considered as a part of Gubang-Gasa by keeping the two frameworks, in which the first is continuously describing the `epic of self`,as the first-pers on narrator, and the second is focusing on the story about the personal emotions and comments based on both pro-government families. In terms of the maximization of scene, < Bok-Seon-Hwa-Eum-Rok > is also full length Gubang-Gasa. However, this work figures the expansion of the epic towards the `epic of husband` based on the `epic of self.` It is cl ear that the expansion of epic of the full length Gubang-Gasa is through the maximization of scen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arious ways of the expansion of epic in both works, which reveal aspects of adescrip tive expansion based on the epic of patrilocality in the different series of Gubang-Gasa. The other full length Gubang-Gasa, <Tendong-Eumi W hajeonga〉, also existed in the late Cho-Sun period. The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the two works and < Tendong-Eumi Whajeonga > will be investigated through a further study.

      • KCI등재

        『덴동어미화전가』의 구조와 그 의미

        허희수 ( Heo Hee-su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3

        본 논문은 『덴동어미화전가』의 구조와 그 의미를 작품 실상에 입각하여 다시 고찰한 것이다. 이 작품은 『복선화음가』와 더불어 가장 많이 거론된 규방가사이지만, 구조적 실상에 입각한 작품론은 의외로 드문 편이다. 『복선화음가』가 그 다양한 이본군의 존재로 인하여 규방가사의 변이폭을 극대화한 작품으로 주목받았다면, 『덴동어미화전가』는 덴동어미라는 여성의 기구한 인생역정을 다룬 서사물로서 주목을 받았다. 그 결과 ‘덴동어미의 일생’은 전통시대 여성현실의 리얼리티와 그 함의는 충분히 조명을 받을 수 있었지만, 상대적으로 <화전가>로서의 작품성은 제대로 조명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필자는 『덴동어미화전가』도 <화전가>의 한 유형으로 하나의 전형성을 구현한 작품으로 보고, 작품의 구조와 인물구도, 서정-서사의 결합 양상, 그 대위법적(對位法的)인 맞섬의 양상에 주목하여 작품구조론(作品構造論)을 펴 보았다. 『덴동어미화전가』가 여타 <화전가>와 변별되는 지점은 우선 그 인물 구도의 설정에 있다. 여타의 <화전가>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대개 파노라마적인 훑어보기 식으로 다뤄지는데 비해 『덴동어미화전가』에는 ‘덴동어미’와 ‘청춘과부’라는 두 인물이 뚜렷이 부조되어 있고, 그 작품 내적 기능 또한 뚜렷한 대비를 이루며 대위법적인 효과를 구현하고 있다. 이는 화전놀이와 <화전가>의 전형성을 특수한 방식으로 극화하기 위한 구조로 볼 수 있는데, 덴동어미가 인생살이 설움의 깊이를 극대화한 것인 반면, 청춘과부는 화전놀이의 신명과 그 흥취의 높이를 구현해 내고 있다. 판소리를 위시한 한국 서사 문학의 특질이 ‘웃음으로 눈물닦기’라면, <화전가>의 경우는 그 역상(逆像)으로 ‘눈물딛고 신명풀기’의 구도를 전형화하고 있다. 『덴동어미화전가』의 경우는 이러한 전형성을 인물구도와 인물의 역할을 통해 좀 더 극적으로 극대화하고 구체화한 경우라 할 수 있다. 그동안 덴동어미에 가려 청춘과부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는데, 청춘과부야말로 화전놀이와 <화전가>의 전형성을 구현하기 위한 독특한 설정으로 새롭게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덴동어미가 자신의 기구한 인생을 서사적 진술로 풀어내고 있는데 반해, 청춘과 부는 덴동어미의 서사를 디딤돌 삼아 화전놀이의 흥취와 신명을 노래와 춤을 통해 율동적 서정으로 고양시키고 있다. 이러한 독특한 인물구도와 진술방식은 화전놀이의 ‘축제적 성격’과도 부합되는 바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figure out a new point of view about structure and the meaning of ‘Tendong-Eumi Whajeonga’. ‘Tendong-Eumi Whajeonga’ and ‘Bok-Seon-Hwa-Eum-Ga’ are literary landmarks of Gubang-Gasa that are frequently studied. Due to the presence of various hetero works, ‘Bok-Seon-Hwa-Eum-Ga’ is received attention as a literary work maximizing the variation width of Gubang-Gasa. ‘Tendong-Eumi Whajeonga’ is attracted attention as a descriptive epic depicting the Tendong-Eumi’s journey through unfortunate life. As a results, the Tendong-Eumi’s life has fully received the spotlight about the devast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realities of women in the late Cho-Sun period. Relatively, the literary value of ‘Tendong-Eumi Whajeonga’ as ‘Whajeonga’ has not properly been addressed. The aspect of discrimination between ‘Tendong-Eumi Whajeonga’ and other ‘Whajeonga’ is firstly the setting of the composition of the person. In other ‘Whajeonga’, the characters are usually treated with the panoptic ways, whereas the Tendong-Eumi and young widow are clearly distinguished, and the internal functions of work also are implemented with some contrapuntal effects in ‘Tendong-Eumi Whajeonga’. Tendong-Eumi maximizes the depths of sorrow about the living life, whereas young widow implements the Shinmyeong of Whajeonnori and the height of excitemen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pic literature including the Pansori are unified with the ‘from wiping tears’, whereas the characteristic of ‘Whajeonga’ is personified with the composition of the ‘after tears with laughter’ as its negative phase. In particular, the archetypal character of composition of the ‘after tears with laughter’ in ‘Tendong-Eumi Whajeonga’ is more dramatically over-expressed and materialized through the role of character and character composition. Meanwhile, young widow did not receive attention because of mentioning Tendong-Eumi’s story, but young widow is noteworthy new unique setting for implementing the archetypal character of ‘Whajeonga’ and Whajeonnori. Tendong-Eumi has released the her unfortunate life as a narrative statement, whereas young widow is lyrically and rhythmically exalted through song and dance about the Shinmyeong and excitement of Whajeonnori stepping on the Tendong-Eumi’s epic. The meaning which implemented through unique character composition and the way of a statement is likely to be interpreted in implementing aspects of the festival nature described by Baheuch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