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지역거주민 머리뼈의 체질인류학적 특징

        허동진(Dong-Jin Hur),김흥업(Heung-Up Kim),강현욱(Hyun-Wook Kang) 대한체질인류학회 2008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1 No.3

        제주지역거주민 머리뼈의 형태학적 특징을 파악하고, 한국 및 동북아시아 인접국가와 비교분석하여 체질 인류학적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제주지역거주민으로 2005년 7월부터 2007년 8월까지 뇌혈관조영 및 머리뼈 부위를 대학병원에서 다중검출전산화단층촬영기로 촬영된 20세 이상 정상성인 200명의 3차원 영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머리뼈 계측항목에서 아래턱뼈가지 최소너비와 바닥점-위이틀앞점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여자보다 남자의 평균값이 더 컸다(p<0.05) 최대머리뼈길이, 최대머리뼈너비, 최대머리뼈높이, 얼굴너비, 위얼굴높이, 코높이, 코너비, 코지수, 머리뼈길이너비지수, 머리뼈걸이높이지수, 머리뼈너비높이지수의 11항목을 이용하여 비교항목이 유사성을 기초로 비슷한 것끼리 그룹으로 분할하는 군집분석한 결과 3개의 그룹(중국인과 일본인 그룹, 한국인과 제주지역거주민 그룹, 몽골인 그룹)으로 분류하였다(p<0.05). 머리뼈길이너비지수를 이용하여 제주지역거주민의 머리모양 분포는 긴머리형 (1.0%), 중간머리형 (13.5%), 짧은머리형 (42.0%), 아주짧은머리형 (43.5%)의 결과로 나타났고 남녀의 빈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머리뼈의 크기는 인구집단 및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제주지역거주민의 체질인류학적 특징은 한국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Jeju population's skulls and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several samples from the Northeast Asia and Korea. Data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on the skull and angiographic of two hundred normal adults that had been taken with the multidetector-row computed tomography at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uly, 2005 and August, 200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Out of the 30 criteria of the skull metric traits, 28 show measurement differential between male and female. The mean of man was greater than that of woman (p<0.05). The group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Chinese and Japanese group, Korean and Jeju population group, Mongol group as the result of the group analysis using eleven data (maximum cranial length, maximum cranial breadth, maximum cranial height, facial width, upper facial height, nasal height, nasal breadth, nasal index, cranial length breadth index, cranial length height index, and cranial breadth height index). There were four types dolichocrany (1.0%), mesocrany (13.5%), brachycrany (42.0%), hyperbrachycrany (43.5%) of skull in Jeju populations using the cranial length breadth index (p<0.05) and sex of skull types were not significant. We confirmed the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skull according to the human community by race, nationality, region and sex. There was close correlation between Korean and Jeju population of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