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성인의 이름매력도가 자기효능감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김기승 ( Ki-seung Kim ),함혜수 ( Hae-soo Ham ),나혁진 ( Hyeok-jin Na ) 산업진흥원 2020 산업진흥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성인 남녀의 이름매력도가 자기효능감과 정서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10대부터 30대까지 남녀 300명을 모집단으로 하였다. 수집과정에서 누락된 설문지와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25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변인에 따른 이름매력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대와 학력이 낮을수록 자기 이름에 대해서 불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름매력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한 회귀분석의 결과, 모형의 적합도는 R<sup>2</sup>=.382로 모형의 설명력은 다소 떨어지지만, β =.322, t값이 9.276, p<.001로 나타나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름의 매력도는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름매력도가 정서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한 회귀분석의 결과 R<sup>2</sup>=.412로 나타나 모형의 설명력은 41.2%를 보였다. 성별, 연령, 학력 등 인구 통계적 변인을 통제하고 실시한 회귀분석의 결과 β=.326, t값이 6.408, p<.001로 나타나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름의 매력도는 정서인식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름의 매력도가 행복이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실증연구는 아직 없다. 그러나 개명을 통해서 과거보다 좋아졌다는 이야기는 운동선수들 사이에서는 자주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name attractiveness on self-efficacy and emotional awareness in adult men and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males and females in their 10s and 30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However, 250 copies, excluding missing questionnaires during the collection process and incomplet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name attractiveness according to factors, the lower the age group and the lower the academic level, the more dissatisfied they were with their names. Besides, th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name attractiveness on self-efficacy showed that the model's fitness was R<sup>2</sup>=.382 and the model's explanatory power was somewhat inferior, but β =.322, t-value 9.276, p<.001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o name attraction directly affects self-efficacy. An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name attractiveness on emotionality turned out to be R<sup>2</sup>=.412. The regression analysis, which controls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and academic lev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β =.326, t-value 6.408, p<.001. In other words, the name attractiveness affects emotional awareness. There is no empirical study that the name attractiveness can improve happiness or the quality of life, but it seems often among athletes that names are enhanced by the past.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기승(Ki Seung Kim),함혜수(Hae-Soo Ha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9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등 220명을 대상으로 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답변이 불성실하거나 응답이 누락된 설문지 22부를 제외하고 총 18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 아동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test와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배경에 다른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는 아버지에 비하여 어머니의가 더 높은 관계로 나타났다. 아동의 학년에 따라서 부모양육태도, 자아존중감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버지의 양육태도 중 애정적 태도가 높을수록 어머니의 거부적 과잉보호적 태도가 낮게 나타나며 애정적 태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그리고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 중에서 애정적 태도와 과보호적 태도가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아버지양육태도의 애정적 태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attitude on self-esteem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220 students, including 5th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7th graders in middle schools in the Gyeonggi area. A total of 188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after excluding 22 responses that insincere responses or missing item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a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arental attitude and self-esteem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stronger relationship for mothers between parental attitude and self-esteem perceived by children than for fath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rental attitude and self-esteem according to the grade of the children. Among the subfactors of parental attitude, affectionate attitude and overprotective attitud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In particular, an affectionate attitude among fat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steem of children.

      • KCI등재

        중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김기승(Ki Seung Kim),함혜수(Hae-Soo Ha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3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충남 공주시에 있는 2개 중학교 1, 2,3 학년 학생 2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기간은 2019년 9월8일부터 10월 17일 까지 약 1개월 동안 실시하였다. 심리적 안정감의 측정도구는 Ryff(1995)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하위요인은 자아수용(6문항), 긍정적 대인관계(5문항), 자율성(6문항), 환경에 대한 통제력(5문항), 삶의 목적(5문항), 개인적 성장 (5문항) 등 총 32개 문항으로 Likert 5점 척도로 구성하였으며 본 연구의 내적합치도(Cronbach’s α는 .76-.83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학생 중 52.1%인 146명이 방과 후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유무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참여집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녕감의 6개 하위변위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력,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 등 모든 변인이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중학생의 스포츠 활동은 정서의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강명화(2011), 김판수(2012), 등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방과 후 스포츠 활동의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 문제아동을 적극 참여시키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방과후 스포츠 활동의 참여는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사회의 정화 차원에서 검토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spor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 survey was conducted on 280 students in 7th, 8th, and 9th grades attending two middle schools in Gongju-si, Chungnam, for one month from September 8 to October 17, 2019. The scale developed by Ryff (1995) was used to measure psychological stability. Subfactors including self-acceptance (6 questions),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5 questions), autonomy (6 questions), environmental control (5 questions), purpose of life (5 questions), and personal growth (5 questions) comprised a total of 32 questions measured on the Likert 5-point scale. The internal fit score (Cronbach"s alpha) was .76-.83, with 146 students (52.1%)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The effect was high in the participant group. All variables, including the six subfactors, were verified statistically.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studies of Kang Myung-hwa (2011) and Kim Pan-su (2012), which reported that the sports activ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directly affect the development of emotions. This study verified the need to strengthen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and to engage problem children.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should be reviewed in the context of social issues that are becoming increasingly serious.

      • KCI등재

        감정노동종사자의 명리선천적 직업체질이 직업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함혜수 · 김기승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 선도문화 Vol.23 No.-

        본 연구에서는 감정노동종사자의 명리선천적 직업체질과 직업안녕감의 관계에서 감정노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직장형 및 사업형 체질특성이 직업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장형 체질특성에 비해 사업형 체질특성이 직업안녕감에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더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업형 체질특성이 감정노동의 하위변인인 표면행위에 정(+)의 영향을, 직장형 체질특성이 표면행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유형 체질특성은 내면행위와 부(-)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 다. 본격적인 매개효과에 관한 가설 검증에 들어가서, 표면행위는 사업형 체질특성과 직업안녕감의 관계에 대해 긍정적인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변인간의 관계에서는 표면행위가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결국 사업형 체질특성은 외적인 표면행위에 적응적인 태도를 나타내어, 직업안녕감을 높인다는 점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감정노동에 따른 직무상 심리문제를 이해하여 효과적인 직업선택 및 심리적 중재를 할 수 있는 시사점을 얻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