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사증후군 환자 및 위험군의 식사 내 총 항산화능과 산화스트레스 및 대사 지표의 연관성

        함동우(Ham, Dongwoo),전신영(Jun, Shinyoung),강민지(Kang, Minji),신상아(Shin, Sangah),위경애(Wie, Gyung-Ah),백현욱(Baik, Hyun Wook),정효지(Joung, Hyojee) 한국영양학회 2017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0 No.3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위치한 일개 종합병원의 건강검진 수검자 중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두 가지 이상 보유한 346명을 대상으로 건강검진과 설문조사 자료, 한국인 상용식품의 총 항산화능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한 식사 자료를 분석하여 성별에 따라 대사증후군 환자 및 위험군의 식사 내 총 항산화능과 그에 따른 산화스트레스 및 대사 지표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대상자들의 식사 내 평균 총 항산화능은 여성이 196.4 mg VCE/d/1,000 kcal, 남성이 132.0mg VCE/d/1,000 kcal로 남성은 총 항산화능 수준이 높을수록 GGT로 추정한 산화스트레스 수준과 수축기·이완기혈압, 혈중 중성지질 농도의 이상자 비율이 유의하게 낮았던 반면 여성은 그렇지 않았다. 또한 남성은 플라바논, 안토시아니딘을 비롯한 플라보노이드의 섭취밀도가 GGT와, α-카로틴, β-카로틴, 루테인/제아잔틴을 비롯한 카로티노이드의 섭취밀도가 d-ROMs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여성에서는 α-토코페롤과 γ-토코페롤만이 BAP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식사 내 총 항산화능 수준에 따른 높은 산화스트레스 수준과 대사 지표 이상자의 유병률 차이는 남녀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추후 식사 내 총 항산화능과 대사증후군을 비롯한 만성질환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대규모의 표본으로 전향적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total dietary antioxidant capacity (TAC) with oxidative stress and metabolic markers among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gender. Methods: A total of 346 subjects aged 30~59 years with two or more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were recruited from a general hospital near Seoul in South Korea between 2010 and 2012 based on data from the medical checkup. Biochemical indices for oxidative stress and metabolic markers were measured. Food consumption data from 3-day food records were linked with the antioxidant capacity database for commonly consumed Korean foods to estimate individual"s TAC. Results: Average dietary TAC of the study subjects was 132.0 mg VCE/d/1,000 kcal in men and 196.4 mg VCE/d/1,000 kcal in women. Levels of γ-glutamyltransferase (GGT),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blood triglycerides were reduc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increasing TAC in me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trend in women. Intakes of total flavonoids and carotenoid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GGT (p < 0.05) and d-ROMs (p < 0.01) in men, whereas those of α-tocopherol (p < 0.05) and γ-tocopherol (p < 0.05)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iological antioxidant potential (BAP) in women. The odds ratio of high oxidative stress indices and abnormal metabolic markers according to TAC level were not significant in either men or women.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dietary TAC was partially associated with oxidative stress and metabolic markers among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for elucid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TAC and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chronic diseases within a large population in prospective studies.

      • KCI등재

        우리나라 성인 여성의 항산화비타민 섭취량과 비만의 연관성

        함동우(Ham, Dongwoo),김성아(Kim, Seong-Ah),전신영(Jun, Shinyoung),강민숙(Kang, Min-Sook),정효지(Joung, Hyojee) 한국영양학회 201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1 No.5

        본 연구에서는 2007 ~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검진조사와 식품섭취조사를 완료한 만 19세 이상의 성인 여성 30,425명을 대상으로 항산화비타민 섭취량과 비만 및 복부비만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체질량지수가 25 ㎏/㎡ 이상이거나 허리둘레가 85 ㎝ 이상인 대상자를 각각 비만과 복부비만으로 판정하였고, 개인별 일일 항산화비타민 섭취량은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한 식사자료와 한국인 상용식품의 항산화비타민 함량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하여 추정하였다. 항산화비타민에는 카로티노이드 6종, 레티놀, 비타민 A (레티놀 활성 당량), 비타민 C, 토코페롤 4종, 비타민 E (α-토코페롤 당량)이 포함되었다. 정상군과 비만군의 열량 1,000 ㎉당 일일 항산화비타민 섭취량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비만군은 α-카로틴, 레티놀, 비타민 E, α-토코페롤, γ-토코페롤을 정상군보다 적게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비타민 섭취수준에 따라 대상자를 삼분위로 구분했을 때, 라이코펜을 가장 많이 섭취하는 군은 가장 적게 섭취하는 군에 비해 비만 (OR = 0.89, 95% CI: 0.83-0.96)과 복부비만 (OR = 0.88, 95% CI: 0.81-0.95) 유병률이 유의하게 낮았다. 총 카로티노이드, α-카로틴, 비타민 A, γ-토코페롤 섭취량 또한 복부비만의 오즈비와 음의 연관성을 나타냈다. 식품군별 항산화비타민 섭취량을 비교했을 때, 비만군은 정상군에 비해 난류, 우유류, 조미료류, 곡류를 통한 항산화비타민 섭취량이 적었다. 추후 전향적 설계를 이용한 후속연구를 수행하여 항산화비타민 섭취량과 비만 간의 인과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antioxidant vitamin intake and obesity in Korean women. Methods: Adult women aged ≥19 years who completed a health examination and nutrition survey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between 2007 ~ 2016 were selected for the study (n = 30,425). A BMI ≥25 kg/㎡ and waist circumference ≥85 cm were defined as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respectively. The individual antioxidant vitamin intake was estimated by linking the antioxidant vitamin composition database of commonly consumed foods and the subjects’ 24-hour recall food consumption data. Carotenoids, retinol, vitamin A (retinol activity equivalent), vitamin C, tocopherols, and vitamin E (α-tocopherol equivalent)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Each vitamin intake was converted to the nutrient density per 1,000 kcal. Odds ratio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for obesity according to each tertile of the nutrient density was obtained from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djusted for age, household income, education level, smoking, alcohol consumption, and physical activity. Results: The mean intake of α-carotene, retinol, vitamin E, α-tocopherol, and γ -tocopherol per 1,000 ㎉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obese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A higher intake of lycopene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obesity (highest vs. lowest; OR = 0.89, 95% CI: 0.83-0.96) and abdominal obesity (highest vs. lowest; OR = 0.88, 95% CI: 0.81-0.95). Higher intakes of α-carotene, total carotenoids, vitamin A, and γ-tocopherol also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bdominal obesity. The antioxidant vitamin intakes from eggs, milk and dairy products, seasoning, and grain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bese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dietary intake of antioxidant vitamins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among Korean women.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antioxidant vitamin and obesity.

      • 대형 가스터빈 냉각 블레이드의 구조 건전성 평가

        임용현(Yonghyun Lim),이무형(Muhyoung Lee),양영찬(Youngchan Yang),함동우(Dongwoo Ham),윤태준(Taejun Yun) 한국추진공학회 2016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5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은 효율 증대의 목적으로 TIT(Turbine Inlet Temperature)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고온, 고압의 환경에서 터빈 블레이드의 구조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혹한 운전환경에서도 적절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설계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고온, 고압의 환경에서 구동되는 부품들은 온도 증가에 따른 재료 강도저하로 파손의 우려가 높으며, 기계적, 열적 하중에 의한 손상 메커니즘 이해를 통한 구조적 건전성 확보가 요구된다. 특히, 가스터빈 터빈 블레이드는 높은 TIT로 인한 재료 강도 저하로 구조 건전성 및 내구성 저하가 많이 우려가 되는 구성품 중 하나로, 구조적 불안정성을 유발하는 원인을 개선하여 구조적 안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개발중인 대형 가스터빈의 핵심 구성품인 냉각 블레이드에 대한 설계 결과를 바탕으로 구조 건전성을 평가함으로써 구동 중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설계 개선안을 제시하여 추후 블레이드 설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