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형실험을 통한 식생형 방음벽의 소음저감 효과 분석

        한찬훈,홍성신,Haan, Chan-Hoon,Hong, Seong-Shin 한국음향학회 2016 韓國音響學會誌 Vol.35 No.3

        공동주택단지 및 학교 및 근린시설의 경계방음벽으로 제시한 식생형 방음벽을 설계하고 소음감쇠성능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식생형 방음벽은 일정한 형태의 유닛을 방음벽 형태의 구조물에 걸이식으로 적층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유닛내부에는 식재 및 토양을 포함하고 있다. 이 방음벽의 음향적인 장점은 토양 및 식재를 이용한 흡음뿐만 아니라 확산형상의 방음벽에서 표면 확산으로 인해 음에너지가 분산되어 소음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먼저 1/10 축소모형 실험을 통해 소음감쇠성능에 가장 적합한 방음벽 유닛의 크기를 조사하였으며, 설계된 도면에 따라 1/2축척의 식생형 방음벽을 실제높이 2 m, 길이 5 m로 제작하여 소음감쇠실험을 진행하였다. 식물을 담을 수 있는 총 1,137개의 식생블록은 약 $10{\times}10{\times}9cm$ 크기로 합성목재를 활용해 제작하였으며 이 블록들을 방음벽에 설치하여 자립형 구조를 가진 식생형 방음벽을 완성하였다. 연구결과, 평면형 방음벽보다 블록식 방음벽이 약 7 dB 더 높은 삽입손실을 나타냈으며, 식생블록의 크기는 삽입손실효과가 큰 $20{\times}20cm$의 크기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Design of a vegetation type sound barrier was presented as a noise barrier on the boundary of neighborhood facilities including schools, and apartments. The suggested noise barrier is made of unit blocks that are to be formed by stacking over the wall structure containing the plant and soils in the blocks. The advantage of the vegetation noise barrier is to acquire not only sound absorptive effects of plants and soils, but also sound diffusive effect caused by the irregular surface of the barrier which could eventually mitigate the noise. First, the optimum size of the units to obtain the highest noise reduction was investigated using 1/10 scaled model experiment, and sound attenua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a 1/2 mock-up model which is 2 m high and 5 m long. Total 1,137 unit blocks were made of synthetic woods with the size of $10{\times}10{\times}9cm$. These unit blocks were installed on the both side of the 1/2 mock-up steel framed noise barrier.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block typed vegetation noise barrier has 7 dB higher insertion loss in comparison with the general plane noise barrier. Also, it was found that the appropriate size of unit blocks is $20{\times}20cm$ which has large effect of sound insertion loss.

      • KCI등재

        성덕대왕 신종의 음향적 특성을 고려한 종각복원의 고찰

        한찬훈,Haan, Chan-Hoon 한국음향학회 2018 韓國音響學會誌 Vol.37 No.5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귀중한 문회유산인 성덕대왕 신종의 종각 복원을 위하여 신종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문헌을 통한 자료조사와 더불어 음향적 특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하였다. 전통적인 한국종과 신종의 음향적 특성을 고려할 때 성덕대왕 신종을 위한 종각의 모형은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종각은 종의 아래 움통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둘째, 종의 고유진동수가 64 Hz대와 168 Hz에 분포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저주파수대역의 흡음이 많은 판재보다는 기둥과 보와 같은 각재 및 선재로 종각의 구조가 이루어 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동시대의 종각구조를 감안할 때, 직달일광과 해풍의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상방과 중방사이의 공간을 판재로 마감하는 형태도 제안되었으며 넷째, 종의 무게와 크기를 고려하여 전통적으로 종각에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3칸이나 5칸의 홀수칸으로 된 정사각형 형태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섯째, 지붕은 팔작지붕의 형태가 가장 원형에 근접하리라 판단된다. The present paper suggests the original form of the bell pavilion for the King Song-Dok bell which is one of the precious national treasure of Korea. In order to this, many literatures were reviewed including both historical and acoustical references. As the results, the model of the bell pavilion for the King Song-Dok bell is suggested as follows considering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King Song-Dok bell and the traditional Korean bells ; 1) The bell pavilion has the rumbling puddle beneath the bell on the ground floor for resonance of sound 2) Many lumbers are used for columns and beams rather than boards since natural frequencies of the bell are 64 Hz and 168 Hz so that the sound absorption of the low frequency sound may not be occurred. 3) Only some boards may be used for the area between upper and middle molding of lintel in order to prevent of direct sunlight and sea breeze since this type of structure were used for bell pavilion of the same age. 4) Square form with the odd number of 3 or 5 Kans is adopted for bell pavilion considering the weight and the size of the bell which had been used traditionally 5) Finally, half-hipped structure is used for the roof of the bell pavilion which was the predominant form of the age.

      • 실표면의 확산성이 실내음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찬훈,박계균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2000 建設技術論文集 Vol.19 No.1

        Many acoustical criteria have been developed and presen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coustic quality. Among acoustical criteria diffusion has been regarded to be very useful to evaluate overall acoustic quality of halls. It is a general fact that diffusion is needed for good acoustics of a room however, investigation on the diffusion has been inadequate due to the technical difficulties in measurements.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step to quantify the sound diffusion in rooms by a series of experiments. The present work is a pilot study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diffusivity of interior surface on the room acoust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puter simulation, the influence of surface diffusivity on real halls was investigated. Two halls which have different diffusivities with similar volume and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were selected and used for field measurements. Sound pressure level and reverberation time were measured at the eight receiver points in each proposed hall. Also, the same acoustical parameters at each point in the two measured halls were calculated using computer simulation as a pilot survey. As the results, it were found that the more a hall have diffused surface, the more reverberation time was acquired. Especially it was shown that higher RT and SPL were measured in the area near lateral wall rather than the central area of halls. This means that the amounts of early reflection which makes good acoustics is increased based on the states of surface diffusivity. Also, it was found that higher sound preassure levels were acquired when more diffusion were applied to room surfaces. It is because diffusion causes the long stay of sound in rooms.

      • KCI등재

        청감실험에 의한 국악당의 음향설계조건 설정

        한찬훈,신직수,Haan, Chan-Hoon,Shin, Jic-Su 한국음향학회 2007 韓國音響學會誌 Vol.26 No.7

        본 연구의 목적은 국악당의 설계에 있어서 기존의 서양음악을 기준한 실내음향설계의 한계를 벗어나서 국악기의 음향특성에 맞는 실내음향의 설계기준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악시재를 이용한 청감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국악합주를 무향실내에서 녹음하여 국악기의 지향음향특성을 이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설계중인 국악공연장의 3차원 공간을 설정하여 국악음원을 방사시킨 후 실내에서 충격응답을 얻었으며 추출된 충격응답 시료를 가지고 무향실에서 녹음된 음원과 콘볼루션시켜 가청화(auralization)시재를 제작하였다. 가청화작업을 통하여 조사한 실내음향인자는 잔향시간(RT), 저주파 잔향비(BR), 고주파 초기감쇠시간비(Brilliance), 음의세기(G), 음악명료도(C80), 초기시간지연차(ITDG), 양이효과지표(IACC)등 총 7가지이며 무향녹음된 음원은 기악합주곡으로 구성하되 가청화 데이터를 각 지표안의 서로 다른 시료들과 짝을 지어 총 80쌍의 시료쌍을 제작하였다. 가청화 작업을 통하여 만든 시재를 국악연주자와 서양음악연주자를 대상으로 청감실험을 실시하였다. 청감실험결과 국악당에 대한 실내음향의 조건은 서양음악의 경우와 비교하여 매우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잔향시간은 0.8-1.0초의 매우 낮고 명료한 소리를 선호하였으며 잔향시간의 주파수특성도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한 잔향특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악기의 소리특성을 인지하기 위한 고음의 명료도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악당 및 국악음원을 사용하는 공간의 설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나타내었으며, 고농도로 갈수록 심화되었고 benzoic acid, salicylic acid, trans -cinnamic acid에서 매우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의 수와 균체의 량은 0.81 $\times$ $10^{8}$ cfu/$m\ell$와 12g-DCW/$\ell$, 항진균 활성은 8.6mm로 나타나 5$\ell$ jar fermenter 배양에 배해 균의 수는 1/10로 줄었으며 항진균 활성도 64%로 낮게 나타났다.다. 것으로 생각한다.후 30분간 재관류하며 결과를 측정하였다(제3, 4군: 상온 심정지군). 결과: 저온 심근 보호액 군에서는 허혈전처치를 시행 후 심근 보호액을 주입한 군(제1군)과 허혈 전처치 없이 심근 보호액을 주입한 대조군(제2군)의 비교에서 관상동맥 관류량, 심박동수, 좌심실내압, 좌심실압과 맥박수를 곱한 값, 좌심실압 순간 변화율 및 CPK, LDH의 비교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p=NS). 상온 심정지 군에서는 허혈 전처치 후 $37^{\circ}C$에서 허혈을 유지한 군(제3군)과 허혈 전처치 없이 허혈을 유지한 대조군(제4군)의 비교에서 허혈 전처치를 시행한 군이 좌심실 수축기압, 좌심실압과 맥박수를 곱한값, 좌심실 이완기압, 좌심실압 순간 변화율 등이 허혈 전처치를 시행치 않은 군보다 유의하게 호전되었고 CPK, LDH의 변화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 허혈 전처치가 심근의 기능적 회복 및 심근 보호에 효과가 있음을 보았다(p<0.05).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sign standard for acoustic criteria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hich could be used for the desig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lls. In order to do this, subjective listening tests were undertaken to musicians using auralized sounds which were convolved with the impulse response of traditional instruments recorded in an anechoic chamber. 94 pairs of sound were made which have different value of acoustic parameters including RT, BR, Brilliance, G, C80, ITDG, IACC. A paired comparison method(PC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from the subjective listening test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eference of acoustic criteria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s far different from those of western music. As a result, specific range of acoustic criteria were suggested for the appropriate acoustic condi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lso, a guideline of the acoustic design of halls for perform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suggested which could be used as a basic reference in the future works.

      • KCI등재

        리모델링 공연장의 음향설계 및 음향성능평가

        한찬훈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3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42

        Remodeling works have been conducted to multi-purpose halls in many domestic areas which have been built almost 20 years ago. The major reasons for remodeling works are inconvenience of chairs and poor acoustic performances. The present paper dealt with a case study of a remodeling work of Main Hall of Cheongju Arts Center. The acoustic measurement was carried out before the remodeling work in order to check the acoustic defects and the both acoustic and architectural designs were undertaken which can satisfy with the acoustic goal of the hall. Room acoustic parameters were also measured after remodeling works for evaluating the acoustic performance. Also, subjective listening test was accomplished to estimate the individual acoustic preference. As a result, The acoustic conditions are improved following the acoustic goal of designs, It was also shown that acoustic preference was enhanced by the subjective evaluations. The total process of current works could be a model of the future remodeling of auditoriu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