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학교 장단 지도 내용의 연계성과 지도 위계에 관한 연구

        한윤이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0 국악교육연구 Vol.14 No.2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nnectivity of the jangdan instruction presented in 62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based on the analysis, set a universal teaching hierarchy of the jangdan instruction content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o this end, the study classified all the contents related to jangdan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into types of jangdan, teaching elements, performing techniques, notations, and musical pieces for in-class use and analyzed them by grade cluster. The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a continuity corresponding to simple repetition in the instructional contents for all the jangdan types and a sequence of extended repetition between grade clusters. There was also a sequence of intensified repetition in performing techniques, notations, and teaching elements and integrated instruction in teaching elements. This shows that the teaching contents for jangdan presented in the textbooks are well linked throughout the grades in general. However, there are some areas for improvement. First, there is sufficient connectivity between the grade clusters in elementary schools while insufficient connectivity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us, considering the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is needed when developing middle school textbooks. Second, the gueum notation and signals of some jangdan for the janggu and the drum were not standardized. For better learning effects, the standardization of the gueum notation and signals is needed. Third, there was a risk of confusion due to differences in terminology used in the same concept as in ‘byeonhyeong (변형)’ and ‘daneunhyeong(다는형).’ For a clear understanding,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it as ‘daneunhyeong.’ This study focused on improving the unsatisfactory connectivity of the jangdan instruction and selecting the teaching contents of jangdan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o secure the linkage between school levels. When setting the teaching hierarchy, it reflected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to a substantial extent but considered the difficulty of learning contents, the possibility of interlinked learning, and learning effects for the areas in which varied opinions occur among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teaching system of the jangdan instruction by examining the connectivity in learning activities and setting the teaching hierarchy for other jangdan types that were not covered in this study. 본 연구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음악 교과서 총 62종을 중심으로 교과서에 제시된 장단 지도 내용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초・중학교 장단 지도 내용의 지도 위계를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초・중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장단 관련 내용을 장단의 종류, 지도 내용 요소, 연주법, 기보법, 제재곡 등으로 구분하여 학년군별로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장단의 지도 내용에서 단순 반복에 해당하는 계속성과 학년군 간에 확대 반복되는 계열성이 나타났다. 연주법과 기보법 그리고 지도 내용 요소에서는 심화 반복되는 계열성이 보이기도 하였으며, 지도 내용 요소에서는 요소를 통합하여 지도하는 통합성도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교과서에 제시된 장단의 지도 내용은 전반적으로 연계성을 잘 갖춘 것으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장단 지도 내용의 연계성 분석 결과 몇 가지 개선해야 할 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초등학교의 학년군 간 연계성은 잘 갖추어져 있었으나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학교급 간 연계성은 미흡하였다. 따라서 중학교 음악 교과서를 개발할 때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내용을 고려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둘째, 일부 장구와 소리북 장단의 구음이나 부호가 통일되지 않았다. 학습 효과를 고려하여 장단 구음과 기호의 통일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셋째, ‘기본형, 변형, 다는형, 맺는형’ 등 동일 내용에 사용되는 용어가 달라 개념 이해에 혼동을 줄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장단 개념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 ‘기본형, 다는형, 맺는형’으로 통일하도록 제안하였다. 장단 지도 내용의 연계성 분석을 기초로 일반적인 장단 지도 내용의 위계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장단 지도 내용의 연계성이 미흡한 부분을 개선하고 학교급 간 연계성 확보를 위한 초・중학교 장단 지도 내용 선정에 중점을 두었다. 지도 위계를 설정할 때 교과서 분석 결과를 상당 부분 반영하였으나 교과서 간에 견해가 다양한 부분은 학습 내용의 난이도, 내용 간 연계 학습의 가능성, 학습 효과 등을 고려하여 체계를 세웠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장단의 학습 활동에 대한 연계성 고찰과 지도 위계 설정이 이루어져서 장단 지도 개념의 총체적인 지도 체계를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국악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학년 간 흥미도 비교 조사 연구

        한윤이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9 국악교육연구 Vol.13 No.1

        This study aimed to propose practical and effective Korean music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y grade level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5th and 6th-grade students’ interest level in Korean music activities included in music textbooks. To do so, it analyzed the Korean music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commonly presented in the 2009 and 2015 revised elementary music textbooks for 5th and 6th grade. Based on the analysis and previous studies, a questionnaire of six items was designed, and the survey and classes were conducted for two years targeting fifth and sixth graders in the same school year and the same group of fifth and sixth graders respectively in different school year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 chi-squared test was conducted at the significance level α = .01. The finding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ly, for the activities of ‘singing folk songs with an expression of sigimsae’ and ‘physically expressing themselves to folk song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est level of the 5th and the 6th-grade students, with the 5th grade displaying a higher level of interest than the 6th grade. Secondly, for the activities of ‘singing folk songs in the form of call and response’ and ‘playing rhythmic patterns on the jangu,’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est level of the 5th and the 6th grade.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ades for the aforementioned activities, the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displayed that both grades were all highly interested. Thirdly, for the activities of ‘changing lyrics of folk songs’ and ‘playing the dan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5th and the 6th grade, as a different group of the same school year,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5th and the 6th grade, as the same group of different school years. This showed that it was uncertain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est level of the 5th and the 6th grade for these two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instructional components of music textbooks for 6th graders should differ from those for 5th graders. For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typically have a low level of interest in merely singing folk songs and expressing themselves through their body, it is proposed to discourage such activities and instead to construct Korean music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at can promote their interest level and active participation such as singing together 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in various ways. 본 연구는 음악 교과서의 국악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학생들의 흥미도를 비교 분석하여 학교 현장에 적합한 학년별 국악 교수․학습 활동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2009와 2015 개정 초등학교 5~6학년 음악 교과서의 국악 교수․학습 활동을 고찰하여 공통적이고 비중이 높은 활동을 분석하였다. 이렇게 분석한 내용과 흥미도 검사 도구 개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6개의 설문 문항을 제작하고 2년 동안 수업과 설문을 실행하여 동일 학년도의 서로 다른 집단인 5학년과 6학년, 다른 학년도의 같은 집단인 5학년과 6학년의 흥미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응답의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유의 수준 =.01에서 카이자승(χ²)검증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를 비교 분석한 결과 첫째, ‘시김새 살려 민요 부르기’와 ‘민요에 맞추어 신체 표현하기’ 활동에 대한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의 흥미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초등학교 5학년이 6학년보다 높은 흥미도를 보였다. 둘째, ‘메기고 받으며 민요 부르기’와 ‘장구 연주하기’ 활동에 대한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의 흥미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활동에 대한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의 흥미도는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지만 빈도 분석 결과 두 학년에서 모두 흥미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민요 가사 바꾸어 부르기’와 ‘단소 연주하기’ 활동은 동일 학년도의 다른 집단인 5학년과 6학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다른 학년도의 동일한 집단인 5학년과 6학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두 활동에 대한 흥미도가 5학년과 6학년 간에 뚜렷하게 차이가 있다고 확신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초등학교 6학년은 교과서의 국악 교수․학습 활동에 있어서 5학년과 다르게 구성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초등학교 6학년은 단순하게 민요를 듣고 따라 부르거나 신체로 표현하는 활동에 대한 흥미도가 낮기 때문에 이러한 활동을 지양하거나 흥미를 높일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의하였다. 또한 다양한 방법으로 함께 노래 부르기거나 장구와 같은 악기 연주에는 흥미도가 높으므로 이러한 활동을 중심으로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국악 교수․학습 활동을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시김새 지도에 관한 연구

        한윤이 국립국악원 2019 국악원논문집 Vol.40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for sigimsae (musical ornaments) presented in music textbooks for third to sixth grade under the national music curriculum,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the sigimsae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s through analysis of the issues found, and suggest a way of improvement for sigimsae instruction.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music curriculum of each revision period, it was found that in elementary schools the contents related to sigimsae were presented from the 7th Curriculum, and the teaching methods for sigimsae were from the 2007 Revised Music Curriculum. The examination of the teaching contents for sigimsae revealed that the same types of sigimsae were differently notated in each textbook, and the teaching hierarchy was discordantly constructed across the textbooks. It also found that staff notation and garakseonbo (melodic contour notation) were not matching, and the shapes of sounds were not properly reflected in the notation. Hence, the study suggested a general instructional system for sigimsae, a plan for identical sigimsae notation across the textbooks and a matching notation between scores, a plan for notation reflecting shapes of melodies, and utilization of various activities. As for teaching methods for sigimsae, there was a method of using hands and garakseonbo. The study suggested a teaching plan in which students can easily learn the shapes and locations of the hands, thus correspondingly expressing real sounds. In addition, it suggested various teaching methods using Korean music instruments, apps, and computer programs and a way of improvement for developing learning materials and specific procedure for the sigimsae instruction. 본 고에서는 음악과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3~6학년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시김새의 지도 내용과 방법을 고찰하여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시김새 지도 실태를 파악하고, 시김새 지도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개정 시기별 음악과 교육과정을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는 제7차 교육과정부터 시김새 관련 내용이 제시되었고, 지도 방법은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부터 제시됨을 알게 되었다. 다음은 교육과정 고찰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시김새 지도 내용과 방법을 살펴보았다. 시김새의 지도 내용 고찰을 통해 동일 시김새의 표기와 지도 위계가 교과서마다 다르고, 오선보와 가락선보의 표기가 일치하지 않으며, 소리 형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경우를 발견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시김새 지도 체계를 제안하고 동일 시김새와 두 악보에서 시김새 표기를 일치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소리 형상에 따라 표기하는 방안과 다양한 활동의 활용도 제안하였다. 시김새의 지도 방법은 손과 가락선보를 활용한 방법이 있었으며 손의 모양이나 위치를 학습자가 쉽게 습득하고 실제 소리에 맞게 표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악기, 앱, 컴퓨터 프로그램 등을 활용한 다양한 지도 방법을 제안하고 시김새 지도를 위한 학습 자료와 구체적인 학습 과정의 개발에 대한 개선방안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창의․융합적 사고 함양을 위한 탈놀이의 통합 및 융합 지도 방안

        한윤이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6 국악교육연구 Vol.10 No.1

        Korean music has many genres that hold integrative nature. Among various genres, the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can be regarded as “integrated” since it involves singing, dancing, instrumental performance, and play. Due to this property, research on the integrated educ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has been actively done. However, in real practice, typically at schools, the cases of the integrated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are rare. The study explored integration teaching methods and convergence teaching methods of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for development of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which meet the national policy “Korean STEAM education.”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13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s designat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o find common components of those. Next, it examined the teaching contents involved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in elementary textbooks. Based on these investigations, this study developed integration instructional model of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and looked for a way to teach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as blending with others.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includes dance elements such as the mask dancing, theatrical elements such as jokes and dialogues, musical elements such as singing, playing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music and formative elements such as masks and furnishings. It also includes historical, cultural and ideological elements. As a result of reviewing elementary textbooks,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has been taught in Korean, society, gym, music, art, and others. This is an indication that we can teach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with multiple integration courses. This study was developed integration teaching contents and common integrated instructional model of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based on such considerations. This study included creative thinking activity into integration teaching contents, developed instructional model which can be applied to all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and made a specific teaching plans focusing on ‘Bongsan Mask Dance'. Integration is simply combining related items, but fusion is creating something new out of the combination of given items. In this study, the author searched for convergence teaching methods using the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There are how to fuse other genres, how to fuse other art and culture, how to fuse other studies such as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convergence teaching methods.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specific teaching cases for development of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is a suitable subject for integrated and convergent education. 국악에는 종합적․총체적 특성을 가진 장르들이 많다. 그 중에서 탈놀이는 가(歌), 무(舞), 악(樂), 희(戲), 극(劇) 등이 포함되어 있어 특히 통합적 또는 융합적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탈놀이의 통합적․총체적 특성으로 인해 교육에서는 탈놀이를 활용한 통합 지도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학교 현장에서는 탈놀이를 통합적으로 지도하는 실질적인 사례가 드물고 이에 대한 인식도 여전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의․융합 인재 육성이라는 교육 정책에 맞추어 창의․융합적 사고를 함양하는 탈놀이의 통합 및 융합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13가지 탈놀이의 내용을 조사하여 탈놀이의 통합적 구성 요소를 고찰하고 현행 교과서에 제시된 탈놀이 관련 지도 내용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탈놀이의 통합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선정한 통합 지도 내용과 통합 수업 모형을 바탕으로 창의․융합적 사고를 함양하는 탈놀이의 통합 및 융합 지도 방안을 마련하였다. 탈놀이는 탈춤이라는 무용적 요소, 재담과 대사라는 연극적 요소, 여러 장르의 노래와 반주음악, 악기연주, 악기 등의 음악적 요소, 탈과 소품 등의 조형적 요소뿐만 아니라 이야기에 담긴 사상과 유래, 민속 문화적 가치 등 역사적․문화적․사상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초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탈놀이 관련 내용을 고찰한 결과, 탈놀이는 국어, 사회, 체육, 음악, 미술 교과 등에서 다루고 있었다.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탈놀이의 통합 지도 내용 선정과 통합 수업 모형을 개발할 수 있었다. 탈놀이의 통합 지도 내용은 탈놀이에 포함된 구성 요소를 지도할 수 있도록 선정하였고 더불어 창의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창의 활동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모든 탈놀이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통합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봉산탈춤을 대상으로 한 구체적인 지도 계획도 세워보았다. 통합은 관련된 것을 단순히 합치는 것이지만 융합은 합쳐서 새롭게 바꾸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탈놀이의 통합 지도 방안 뿐 아니라 융합 지도 방안도 모색하였다. 탈놀이의 융합 지도 방안으로 국악의 다른 장르와 융합하는 방법, 국악이외의 문화 예술과 융합하는 방법, 기존 탈놀이에 전혀 포함되지 않은 다른 교과나 학문 예컨대 과학․기술 등과 융합하는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융합 지도 방안을 가지고 창의․융합적 사고를 함양하기 위한 구체적인 융합 지도 사례를 몇 가지 제안하였으며 그 결과 탈놀이는 통합 및 융합 지도하기에 매우 적합한 소재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의 고찰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윤이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2 국악교육연구 Vol.6 No.2

        Language and music have some relationships in common that they are composed of sound and featured by pitch and beat. Language critically influences the expression ability of music and is used as an important means in the expression of music. This correlation reveals that the development of a music teaching method by using language is needed. The teaching method by using language was considered, so far, to be one of the ways to teach western music. However, it is also known that this teaching method of using language is used in teaching Korean music.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reviewing the Korean music teaching method by using language that has so far been studied. Based on this result, I have developed a Korean music teaching method and teaching modeling and have streamlined a systematic Korean music teaching method that helps teach the features of Korean music well. As a result, I have reviewed theses that study Korean music teaching methods, gujeonsimsu, the teaching method by using oral sound, jangdan made of words, as well as yulmyung and chuimsae. Furthermore, I thought that it was viable to conduct the teaching methods by using onomatopoeia (mimetic word and onomatopoeia) and aniri. The above Korean music teaching methods have detailed individual teaching guidance and in this study, I have investigated the way to correlate or integrate these teaching methods. By integrating these teaching methods, I propose that the teaching methods be applied step by step in the class. In the introductory phase, gujeonsimsu and onomatopoeia (mimetic word and onomatopoeia) are to be applied for teaching and in the development phase, the teaching method by using oral sound, the teaching method with jangdan made of words, the teaching method with yulmyung and the teaching method with chuimsae are also to be applied for teaching. In the close-out phase, I thought that it was desirable to apply the teaching method with chuimsae and the teaching method with aniri for teaching. Based on this, I designed the teaching modeling per section by singing, by playing a music instrument, and by making music and appreciating music. At this point, I would apply various kinds of Korean music teaching methods by using language for a 1 hour class. Through this activity, I would construct the base that seeks out the integrity and diversity in Korean music education and that strongly establishes the Korean music teaching method. 언어와 음악은 소리를 재료로 하고 고저(高低)와 장단(長短)을 특징으로 한다는 공통점 때문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언어는 음악의 표현력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고 음악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관련성은 언어를 활용한 음악 교수법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려준다. 언어를 활용한 교수법은 그동안 주로 서양 음악을 지도하는 방법으로 생각하여 왔으나 국악에도 오랫동안 언어를 활용한 교수법을 사용하였음을 고문헌의 기록과 국악 전문가들의 증언을 통해 알 수 있다. 단, 그 방법이 일반 학교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교수법으로 지칭하지 않았을 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연구되어 온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과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국악의 특성을 올바르게 지도할 수 있는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을 체계화하였다. 국악 교수법을 연구한 논문을 고찰한 결과,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에는 구전심수법, 구음 활용 교수법, 말장단 활용 교수법, 율명 활용 교수법, 추임새 활용 교수법 등이 있었으며 나아가 새로운 교수법으로 흉내말(의성어와 의태어)과 아니리를 활용한 교수법도 가능하다고 보고 이를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으로 제안하였다. 이상의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체적인 지도 방안이 꾸준히 마련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들 교수법을 연계 또는 통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 교수법들을 통합하여 수업 단계별로 적용이 가능한 교수법을 제시하였는데 도입 단계에서는 구전심수법과 흉내말(의성어와 의태어) 활용 교수법을 적용하고 전개 단계에서는 구음 활용 교수법, 말장단 활용 교수법, 율명 활용 교수법, 추임새 활용 교수법 등을 적용하며 정리 단계에서는 추임새 활용 교수법과 아니리 활용 교수법 등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음악 만들기, 감상하기 활동별로 수업 모형을 구안해 보았더니 한 시간의 수업에 다양한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을 적용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국악교육의 통합성과 다양성을 추구하고 국악 교수법을 정립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 KCI등재후보

        국악 지도를 통한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윤이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4 국악교육연구 Vol.8 No.1

        From our past, we used music as a means of expressing the virtues of humanity such as allegiance, filial piety, manners, righteousness, and beliefs. Because Korean music is closely related to our personal humanity, we have to re-enforce humanity education through teaching Korean music. For this reason, it is logical and intelligent to establish humanity education utilizing Korean music and establishing an educational provision for it to be carried out. Therefore, in this study I have developed a humanity educational program to be of help to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First, I examined the theory of humanity education from the viewpoint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for the sake of argument. On the basis of this examination, I selected Korean music pieces and their teaching contents as suitable for establishing humanity education. Next, I developed a humanity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he Korean music pieces and selected the teaching contents. Korean music contains purpose, content, and a method of humanity education from the claim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Based on this, I selected Korean music pieces and teaching contents, and developed a humanity education program. This Humanity Education Program is composed of seven separate topics. I specifically presented teach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its expression through activities,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and music actualization in each of the seven topics. Looking forward, I hope that the study about a humanity education program utilizing Korean music is incorporated into the music curriculum.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인성과 음악을 결부시켜 왔고 ‘충, 효, 예, 의, 신’ 등의 인성 덕목을 표현하는 도구이자 수단으로 악(樂)을 사용했다. 국악은 음악 자체가 인성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국악을 지도할 때에는 이를 고려해야만 한다. 이러한 점에서 국악교육 또는 국악지도를 통한 인성교육은 매우 타당하며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국악은 그 자체가 인성교육 요소와 내용을 상당히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그다지 활발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 도움이 되는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국악지도를 통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구안해보았다. 먼저, 국악과 관련된 사상의 인성교육론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인성교육에 적합한 국악 제재곡과 지도 내용을 선정한 다음, 선정한 제재와 내용을 토대로 학교 수업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인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국악의 사상적 기반이 되고 있는 유교․불교․도교사상은 국악을 통한 인성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등 여러 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세 가지 사상에서 주장하는 인성교육론을 살펴본 결과 각 사상의 인성교육 내용은 국악 제재곡에 녹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악을 통해 가능한 인성교육 요소와 내용을 선정하였고 선정한 인성교육 요소와 내용을 토대로 구체적인 인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국악지도를 통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은 ‘부모님의 은혜’, ‘나라에 바치는 마음’, ‘마음 다스리기’, ‘위인들의 삶을 본받아’, ‘함께 하는 우리’, ‘마을 축제 속으로’,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 등 7가지 주제를 정하고 각 주제별로 표현활동, 감상활동, 생활화로 나누어 구체적인 지도 내용을 제시하는 것으로 구성해보았다. 이를 통해 국악은 지도할 수 있는 인성교육 요소와 내용이 상당하며 그렇기 때문에 국악지도를 통한 인성교육은 학교에서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는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부분의 인성교육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 국악을 통한 인성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국악 중심의 교과간 통합 지도 방안

        한윤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6 No.1

        현재 개정되고 있는 교육과정은 7차 교육과정의 전면적인 개정이 아닌 부분 개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번 개정은 주 5일 수업제 실시에 따른 교육과정의 편성과 교과별 교육과정의 적정화 구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주 5일제를 대비하고자 하는 개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과간의 내용을 연계하여 통합적으로 지도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교과간에 통합 지도함으로써 학습 시간을 절약하고 학습효과 또한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차기 음악교육과정 중 초등학교 국악을 중심으로 교과간에 통합 할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고 교과간 통합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차기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정 시안에서 교과간 통합 지도가 가능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크게 ‘생활과 음악’, ‘세시풍속과 음악’, ‘사상과 음악’, ‘의식과 음악’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민요(노동요), 전래동요(놀이요), 농악(사물놀이), 춤곡 등은 ‘생활과 음악’에, 계절음악은 ‘세시풍속과 음악’에 포함시킬 수 있었고, 시조는 ‘사상과 음악’에, 축제 음악과 의식 음악 등의 내용은 ‘의식과 음악’에 해당되었다. 주제별 구체적인 교과간 통합 지도 방안으로는 ‘생활과 음악’의 ‘강강술래’를 주제로 한 지도 방안과 ‘의식과 음악’의 ‘대취타’를 주제로 한 지도 방안을 예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간 통합 교육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하고 교육과정과 교과서 지도 내용에 대한 교과간 교류가 있어야 함을 알게 되었다. The 8th curriculum is being developed. This revision mainly focused on the system of five school days a week. So, we will prepare for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Especially we need to adjust the music curriculum contents. This study aimed to grope for the teaching methods of integrated subjects on Korean music. To carry out my study, first I made a selecting applicable to the integrated teaching in the model of 8th music curriculum. As a result, I selected five main subjects as follow : ‘Life and Music\ , ‘Seasonal Customs and Music\ , ‘Ideas and Music\ , ‘Ceremony and Music\ . ‘Life and Music\ includes ‘folk songs’, ‘traditional children\ s songs’, ‘Pungmul-nori’, ‘dance music\ . In addition, ‘Seasonal Customs and Music\ involves ‘seasonal music’ as sub-subjects and ‘Ideas and Music\ includes ‘Sijo’. In ‘Ceremony and Music\ ‘music in festival’, ‘ceremony music’ were chosen as its sub-subjects. I selected ‘Ganggangsullae’(traditional children\ s song) in ‘Life and Music\ and ‘Daechiita’ in ‘Ideas and Music\ to give an example to you. And then I developed and presented a practical lesson plan with the material chosen from sub-subjects. As a result, we have to study the teaching method of integrated subjects and discuss as well as the curriculum and the learning content in text book among many subjects.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블렌디드 러닝 기반 국악 수업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 전략

        한윤이 한국예술교육학회 2022 예술교육연구 Vol.20 No.4

        This study explored teaching competencies tha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hould possess for blended learning-based Korean music classes and sought instructional strategies to cultivate them. It aims to come up with measures to improv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ies for blend- ed learning-based Korean music classes, responding to the changes in future education. First, by re- viewing previous studies, connection and collaboration, digital curation, and learning environment convergence were selected as core competencies for blended learning-based Korean music classes. Then, the teaching stages to cultivate the competencies were set as the five stages of understanding, exploration, application, presentation, and demonstration. For each stage, teaching strategies to cul- tivate the selected core competencies were sought and applied to university classes for pre-service teacher. As a result, the understanding stage, which provided the necessary knowledge for blended learning, developed the basic knowledge that could cultivate the learning environment convergence competency. The exploration stage of exploring integrated topics and contents, digital content, and online class tools, and the application stage of developing a blended learning-based Korean music class program helped cultivate all three competencies. The presentation stage of presenting the de- veloped program helped cultivate the connection and collaboration competence to share and com- municate knowledge. The demonstration stage, in which mock classes were demonstrated based on the development program and actual classroom practice was implemented, cultivated all three competencies. As a result of the competency pre- and post-test, it was concluded that all three com- petencies showed very high improvement. Through such class strategies, it is found that systematic teaching strategies will be needed to prepare for future education.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을 기반으로 하는 국악 수업에서 초등 예비교사가 갖추어야 할 수업 역량을 탐색하 고 이를 함양하게 하는 교수 전략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교육의 변화에 따른 초등 예비교사의 블 렌디드 러닝 기반 국악 수업 역량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먼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블렌디드 러닝 기반 국악 수업의 교사 역량으로 연결.협업 역량, 디지털 큐레이션 역량, 학습환경 융합 역량을 핵심역량으 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블렌디드 러닝 기반 국악 수업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 단계로 이해, 탐색, 적용, 발표, 실연 등 5단계를 설정하고 각 단계별로 선정한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수 전략을 모색하여 예비교사 대 상 대학 수업에 적용하였다. 블렌디드 러닝에 필요한 지식을 제공하는 이해 단계에서는 학습환경 융합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기초 지식을 고양하였고, 통합 주제와 내용 탐색, 디지털 콘텐츠 탐색, 그리고 온라인 수업 도구 를 탐색하는 탐색 단계와 블렌디드 러닝 기반 국악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적용 단계에서는 연결.협업 역량, 디지털 큐레이션 역량, 학습환경 융합 역량을 함양할 수 있었다. 개발한 프로그램을 발표하는 발표 단계에서는 지식을 공유하고 소통하는 연결.협업 역량을 함양할 수 있었으며, 개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모의 수업을 실연 하고 실제 수업 실습을 한 실연 단계에서는 3개의 역량을 모두 함양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역량 사전.사 후검사 결과 3개의 역량 모두 매우 높은 향상도를 보였으며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와 같은 수업 전략을 통해 미래교육에 대비한 초등 예비교사의 체계적인 교수 전략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토리와 시김새 고찰 및 개선방안

        한윤이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5 국악교육연구 Vol.9 No.2

        The teaching contents of tori and sigimsae are specified in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in 2009. Tori was chosen as the main contents from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in 2007 and sigimsae from the 7th music curriculum. Since then they have been dealt with, as the important concepts of Korean music education. As such in this study I checked out the relevant contents of tori and sigimsae in the 13 kinds of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and also proposed a few improvements when we teach them.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in quality of teaching contents of tori and sigimsae and provide reference materials in textbook development. Tori is pure Korean. It means the overall characteristics such as structure of sound, a mode, the function of sound, the importance of sound, sigimsae. Sigimsae is also pure Korean and the concept including a grace note, the form of sound(sungeum and mok), a mass of sound, expressive function. As the result of a review of those textbooks, I founded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textbooks in the names, description, used sounds, notation, teaching contents, music of tori and in the teaching contents, music, notation of sigimsae. In this study, I suggested a few plans to improve based on the above review of results. First, two names of tori is used in the same meaning. Furthermore some textbook is not actively use the name of tori. Therefore we must standardize the name of tori and also use actively the name of tori. Second, we should be careful in selecting musics to teach tori. For example ‘Geumdaraekkung’ is selected with representative music to teach susimga-tori. However strictly speaking, the music is not correctly susimga-tori. So we need to be reconsidered in selecting the music. Third, it needs to expand and modify the teaching contents of tori and sigimsae. there are many cases to teach tori and sigimsae only one-time. And the falling sound of menari-tori was presented in some textbook by melody type composed of notes. It is proper that the melody composed of notes consider as a characteristic melody type not sigimsae of menari-tori. Forth, the marking of tori and sigimsae must be united. The structure of sound and musical scales of tori is different in textbooks. There were two ways on notation of sigimsae. It may be more suitable to express using sign for the features of sigimsae to come into view clearly than to express complicated using several musical notes. 현재 음악과 교육과정에는 토리와 시김새에 대한 내용이 명시되어 있다. 토리는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부터 제시되었고 시김새는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부터 주요 내용으로 선정되었으며 현재까지 중요한 국악의 지도 개념으로 다루고 있다. 본 연구는 현행 초등학교 3~6학년 음악 교과서 총 13종을 대상으로 토리 및 시김새와 관련된 내용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토리와 시김새 지도의 질적 제고를 꾀하고 교과서 개발의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토리란 순수한 우리말로서 음구조, 선법, 음기능, 음비중, 시김새 등과 같은 여러 총체적 특성을 지시하는 말이다. 시김새는 ‘장식음’과 같은 장식적 특성과 ‘성음과 목구성’ 등의 유동적 특성 그리고 ‘음의 덩어리나 표현 기능’과 같은 구조적 특성을 지시하는 포괄적 개념이다.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토리에 대한 고찰 결과 명칭, 설명, 구성음과 시김새 표기, 지도 내용과 제재곡 측면에서 그리고 시김새는 지도 내용 및 제재곡, 표기 측면에서 교과서마다 약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교과서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에서 토리와 시김새 지도를 위한 개선 방안으로 네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동일한 의미의 토리 명칭이 2가지가 사용되고 있었고 일부 교과서에서는 토리라는 말을 적극 사용하고 있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토리의 명칭을 통일하고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둘째, 토리를 대표하는 악곡을 선정할 때 신중을 기해야 한다. 예컨대 ‘금다래꿍’을 수심가토리로 제시하고 있지만 이는 전형적인 수심가토리의 음악적 특징을 지니고 있지 않고 있으므로 재고해야 한다. 셋째, 토리와 시김새 지도 내용의 확충과 수정이 필요하다. 토리와 시김새 지도 내용 중 일회성으로 끝나는 사례가 많았고 선율형으로 제시한 메나리토리의 흘러내리는 소리는 시김새라기보다 관용적인 선율형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넷째, 토리와 시김새 표기가 통일되어야 한다. 토리의 경우 음구성이나 시김새 표기가 교과서마다 조금씩 달랐다. 시김새는 기호나 음표 등 두 가지 형태로 제시하고 있었는데 음표를 사용하여 복잡하게 표현하기보다 기호를 사용하여 시김새의 특징이 명확하게 드러나게 제시하는 것이 적합하다.

      • KCI등재

        세시 놀이요의 생활화 영역 중심 교과 통합 지도 방안

        한윤이 한국예술교육학회 2019 예술교육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election of instructional contents and a teaching method, with a focus on traditional play songs of seasonal festivals, that can be used in the area of music in daily life centering on teaching methods of integrated subjects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More specifically, it seeks measures of integrated education aimed at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proposes ways of teaching the educational elements presented in the area of music in daily life under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in more various ways.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s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for 3rd-6th grade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examines contents related to traditional play songs of seasonal festivals. Based on that examination, it selects instructional contents for play songs of seasonal festivals and then sets up a teaching stages for the teaching methods of integrated subjects on traditional play songs of seasonal festivals focusing on the area of music in daily life. The process was established by dividing it into the exploration stage and the utilization stage. They are carried out activities to investigate, present, and appreciate in the exploration stage and activities to experience and share their feelings in the utilization stage. Following this stages, a practical example of teaching is designed with a focus on ‘juldarigi(tug-of-war),’ one of play songs of seasonal festivals. Two suitable class plans for 3rd~4th graders and 5th~6th graders were designed and presen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 that the play songs of seasonal festivals presented in the music textbooks are mostly composed of 'Ganggangsullae,' so the utilization of play songs of seasonal festivals in various ways is needed. Also, it is confirmed that play songs of seasonal festivals, a combination of play and song, are suitable learning materials for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area of music in daily life in the music curriculum. 본 연구는 세시 놀이요를 주제로 선정하여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교과 통합으로 생활화 영역에서 지도할 수 있는 내용 선정과 방법을 구안하여 제시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정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통합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고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생활화 영역을 보다 통합적이고 다양하게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초등학교 3~6학년 음악 교과서를 분석하여 세시 놀이요과 관련된 내용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세시 놀이요의 지도 내용을 선정한 다음 생활화 영역 중심의 교과 통합 지도 단계와 과정을 설정하였다. 생활화 영역에서 세시 놀이요를 지도하는 지도 단계로 탐색 단계와 활용 단계를 설정하였으며, 탐색 단계는 조사, 발표, 감상의 활동을 실시하고 활용 단계는 체험, 소감 나누기 활동을 하도록 세분하였다. 설정한 지도 단계에따라 세시 놀이요 중 ‘줄다리기’를 중심으로 실질적인 수업을 설계하여 학년군별로 구분하여 예시하였다. 연구결과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세시 놀이요는 ‘강강술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보다 다양한 세시 놀이요의활용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고, 놀이와 노래가 통합된 세시 놀이요는 교과 통합 교육과 음악 교과의 생활화 영역에 매우 적합한 제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