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괴테 생물학을 위한 변론

        한대석 ( Han Daesuk ) 한국괴테학회 2020 괴테연구 Vol.- No.33

        Wenn es Sinn macht, wird Goethes Metamorphose eine sehr mächtige Idee sein. Der Status quo der Literatur kennt Goethe als Wissenschaftler jedoch einfach nicht oder betrachtet seine biologische Arbeit als nichts anderes als einen kleinen Ausflug in ein fremdes Gebiet dieser großen Figur der deutschen Literatur. Ich kann nicht glauben, dass diese Einschätzung von Goethes Metamorphosetheorie ihn richtig macht. Im Gegenteil, ich glaube, es basiert selbst auf dem Irrtum des Tatsachenfanatismus, wonach alles, was es gibt, ein Objekt der Sinneswahrnehmung ist, ob primärer oder erweiterter Art. Die Sinneswahrnehmung erweitert sich mit Hilfsinstrumenten und manchmal durch das Medium der theoretischen Ableitung. Der „logische Empirismus“ des letzten Jahrhunderts war nur ein anderer Name für Faktenfanatismus. Wie alles andere ist die Sinneswahrnehmung in ihrem eigentlichen Ausmaß nützlich, aber der auf die Biologie angewandte Tatsachenfanatismus zerstört sie nur. In diesem Artikel stehe ich auf der Seite von Goethe und stelle den Tatsachenfanatismus in Frage, der uns mehr als alles andere vor der Freigabe Goethe blind macht und uns im weglosen Dschungel zurücklässt. Um Geothes verlorenes Erbe wieder gut zu machen, muss man sich zunächst gegen den Tatsachenfanatismus als die sogenannte Weisheit unserer Zeit wehren.

      • KCI등재

        말-사물 동일성 그리고 논리-문법 공간 존재론

        한대석(Daesuk Han) 한국철학회 2013 철학 Vol.0 No.116

        졸고는 말과 사물 간에 어떤 근원적 동일성을 드러내려는 노력이다.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말-사물 동일성 논제를 드러내는 졸고의 방법이다. 논리-문법 개념이 그것이다. 기호가 사물을 가리키기 위한 조건은 저 기호가 놓일 언어에서의 어떤 자리를 지정해 주는 논리-문법이다. 그런데 이 때에 논리-문법 규칙들은 의미를 비로소 결정하기 때문에 혹은 구성하기 때문에, 그것들은 독립적으로 주어져 있는 이른바 “의미”에 근거를 두고 있지 않다. 논리 문법은 이른바 “실재”에 책임이 없으며 그런 뜻에서 (그리고 오직 그런 뜻에서) 자의적이다. 결과적으로, 논리-문법에 따라 사용되는 기호는 그 자신이기 위해서 그 자신 아닌 것에 의존하지 않는다. 그 자신이기 위해서 그 자신 아닌 것에 의존하지 않는 그러한 자립을 우리는 “사물”이라 부른다. 그렇다면 논리-문법에 따라 사용되는 기호는 그 자신 사물이다. 다른 한 편으로, 사물 일반 개념은 논리-문법에 따라 사용되는 기호 개념에 다름 아니다. 후자는 말 개념이므로, 이렇게 해서 졸고는 논리-문법 개념을 매개로 삼아 말개념과 사물 개념이 근원적으로 하나인 뜻을 드러낸다. 이후 졸고는 그 간에 말-사물 동일성과 반대 방향으로 우리의 사고를 유인했던 오해들을 확인하고 교정한다. 마지막으로, 저와 같이 확인되고 강화된 말-사물 동일성 논제로부터 어떤 특정한 존재론이 추출될 것인데, 논리-문법 공간 존재론이 그것이다. This essay brings to light a kind of fundamental - internal - identity between word and object, with the concept of logico-grammar as the catalyst. Logico-grammar is necessary for a word to refer to an object. It indicates the post at which we station the word. And logico-grammar is arbitrary, in the sense that it is not accountable to any reality. That is to say that a word as used in accordance with logico-grammar is an entity that depends on nothing but itself in order for it to be what it is. Such an entity we call an “object.” In this sense, a word in connection with logico-grammar is itself an object. On the other hand, the general concept of an object is nothing but the concept of a word as used in accordance with logico-grammar. In the course of in this way bringing out a kind of fundamental ? internal ? identity between word and object, we also find ourselves equipped to dismantle the reasonings or rather misunderstandings that have hitherto tempted us to think otherwise. Finally, I develop the word-object identity thesis into a hitherto neglected and yet important ontology, which I dub as “logico-grammatical space ontology.”

      • KCI우수등재

        비트겐슈타인 그림 이론에 대한 또 하나의 연구

        한대석(Daesuk Han) 한국철학회 2012 철학 Vol.0 No.113

        “틀림없이, 내가 고심하고 있는 논제 [세계와 지향적 관계에 있는 언어]에 있어 본질적인 모든 것이 이 [단순한] 사례를 고려함으로써 드러날 수 있을 것이다.” 비트겐슈타인이 여기에서 “이 [단순한] 사례”로 지목한 것은 두 사람이 펜싱을 하고 있는 그림이었다. 이후 문헌에서 “문장에 대한 그림 이론”이라 불리게 된 입론이다. 그러나 본고는 지금껏 논자들이 정작 비트겐슈타인 자신이 밟아 갔던 것이 아니었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도 보행이 가능하지 않은 길들을 통해 그림 이론을 제작 유포해 왔음을 고발한다. 그러한 세부적인 오해들에 더해서 혹은 그것들과 연동해서, 그림 이론에 대한 통상적이고 근본적인 오해가 있다. 그것을 드러내기 위해서, 나는 우선 비트겐슈타인 스스로가 자신의 “근본사상”이라 부른 것을 그림 이론으로부터 추출해 내는데, 언어가 근원적이고 환원 불가능하다는 사상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나는, 통상적인 오해와는 달리, 그림 이론이 언어가 어떻게 가능한지를 설명하고자 함이 아니라, 정작 그러한 설명이 불가능하다는 것에 영점조정 되어있음을 밝혀 보인다. 이 논점에 곧바로 이어서 나는 그림 이론에 대한 또 하나의 중대한 오해에 도전하는데, 앞서 언급한 “근본 사상”이 언어에 대한 모종의 회의주의라는 통념이 그것이다. 언어를 근원적이고 환원 불가능한 무엇으로서 확인하는 것이 비트겐슈타인 철학에서 갖는 중요성은 실상 저와는 전혀 다르다. 오히려 비트겐슈타인의 “근본 사상”은 언어와 세계 간에 성립하는 “모종의 근본적인 내적 동일성”을 지목하고 있다. 따라서 그것은 언어에 대한 담대한 긍정이다. 그것은 언어가 그 자신 외에 다른 무엇에도 책무가 없다는 긍정이다. 간단히, 언어는 그 자신 하나의 세계이다. 언어가 그 자신 하나의 세계라는 것, 나는 그것을 “언어의 자율”이라 부른다. 언어는 스스로 그러함, 곧 자연이다. Wittgenstein’s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1921) has done its job and is now outdated; or so the story goes. But I have a different story to tell. The Tractatus, once properly understood, poses a serious challenge to the mainstream of English-speaking philosophy after 1921. This is because the Tractatus digs down deep into our language and brings out a certain fundamental feature of it that post-1922 mainstream philosophy does not assimilate or does not even recognize. The distinctive idea of the Tractatus is found in its picture theory of proposition meaning. The main idea is that our language in its representing relation to the world is something original and irreducible. I will give enough of a sense of the general way in which that is so, through a careful analysis of key passages from the Tractatus, supported by texts drawn from Wittgenstein’s pre-Tractatus Notebooks as well as from his later writings. To say that language is a nonexplicitable, primitive phenomenon is to say that there is ‘a kind of fundamental - internal - identity’, as Wittgenstein calls it, at the level of which we cannot draw a meaningful distinction between a proposition and what it represents. As a result, we cannot interpose something else between language and the world, in order to explain the intentional, representational character of language. Only that Wittgenstein"s intention lies in accepting our language as it is; our language does reach all the way to reality.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