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신세대의 직업가치관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학총총,주성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8

        The new generation in China has a different environment and experience than in the past, and due to differences in values perceived by experience, managers on the site are experiencing generation differences. For this reason, it is time to study leadership and personnel management appropriate for talents with diverse goals and value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capabilities of the older generation and 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tional values and turnover intentions, with the aim of empirically analyzing job satisfaction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Baring Hou and Jiu Ling Hou generation in various companies in China.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was verified for the study of Jiling Hou.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correlation analysis, and hypothesis test by using SPSS. The relationship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value and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it was examined in samples of the study by working members located in the eastern and northern areas of China. In future studies, it is deemed necessary to study areas and samples to further objectify them. In addition, more precise interviews through surveys and face-to-face interviews need to be conducted to better clarify the job values of the new generation of Chinese workers. 중국의 신세대들은 과거세대와는 다른 환경과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경험에 의해 지각된 가치관의 차이로 인해 현장의 관리자들은 세대 차이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조직차원에서 세대별 다양한 목표와 가치를 가진 인재들에게 적합한 리더십과 인사관리 차원의 연구, 그리고 기성세대와 다른 현세대의 특성과 역량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내 여러 기업에 종사하는 바링허우와 지우링허우 세대를 대상으로 원론적 입장에서 직무만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면서 직업가치관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바링허우와 지우링허우의 특성 연구를 위하여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PSS를 활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상관관계분석 및 가설 검증을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의 결과로는 중국 신세대가 가진 지위 및 보수 가치관, 독립성 및 창의성 가치관 및 인간관계 가치관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업가치관과 이직의도에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는 부분적으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구의 표본에 있어서 중국 동쪽과 북쪽 지역에 소재하는 근무하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어렵다고 볼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지역 및 표본을 확대하여 더욱 객관화 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중국 신세대 종사원들의 직업가치관을 보다 정확히 밝히기 위해 설문조사를 비롯한 대면을 통한 보다 정밀한 인터뷰조사가 병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셀프리더십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의미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학총총(Cong-Cong Hao),김도근(Do-Geun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1

        기업이 생존하고 경쟁우위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조직운영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조직 구성원 모두가 가치사슬을 강화시키는 혁신과정에 참여하고 몰입할 수 있는 대안적 조직운영 방식의 실천이 요구된다. 셀프리더십은 치열한 경쟁적 환경 속에서 경쟁우위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해 주는 혁신행동과 혁신과정의 추동요인이라고 할 수 있으며, 혁신행동과 가치혁신과정에의 참여는 조직 구성원 개개인 스스로가 작업과정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창출을 하는 주도자임과 동시에 실행자로서 자발적인 의지와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효과적일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은 곧 셀프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그 사이에서 의미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셀프리더십은 직무성과를 촉진하는 원인 변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의미성은 셀프리더십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연구모델의 측면에서는 셀프리더십을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결과변인과 조절변인의 효과를 검정하였다는 것이며, 연구결과의 측면에서는 직무성과 향상을 위한 셀프리더십 개발의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To survive and gain a competitive edge, an alternative organizational operation method is required to participate and engage in an innovative process that strengthens the value chain, away from the traditional organizational methods. Self-contained innovation practices and the pursuit of innovation processes that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competition in a competitive environment.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self-leadership on job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meaning aimed at the employees of SMEs. In the research results, Self-leadership was identified as a causal factor promoting job performance and meaning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presenting a new model study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 performance on the sub-dimensions of self-leadership and to suggest the role of self-leadership of employees to improve job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