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합작기업 파트너 특성, 제휴몰입도, 그리고 합작기업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중국 소재 국제합작기업을 중심으로

        하령 ( He Ling ),김광수 ( Kim Kwangsoo ),이광근 ( Lee Kwang-keun ) 국제지역학회 2018 국제지역연구 Vol.22 No.1

        문헌에 의하면 국제합작기업 파트너 특성이 합작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주로 부분적인 파트너 특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또한 파트너 특성과 합작기업성과의 관계에 대한 제휴몰입도의 매개효과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합작기업 파트너 간의 특성을 포괄적인 관점에서 CEO 리더십행동 유사성, 전략적 유사성, 자원적 유사성, 조직적 유사성 등으로 파악하고, 이들 특성이 제휴몰입도 및 합작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CEO 리더십행동 유사성과 조직적 유사성은 제휴몰입도 및 합작기업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전략적 유사성과 자원적 유사성은 제휴몰입도 및 합작기업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휴몰입도는 합작기업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파트너 특성과 합작기업성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요한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한다. According to the literature, the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joint venture partners on joint venture performance are mainly focused on partial aspects of partners characteristics, and the studies that investigate a mediating effect of alliance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ners characteristics and joint venture performance are scarce. Hence, this research intends to identify comprehensive partners characteristics, including CEO leadership behaviors similarity, strategic similarity, resources similarity, and organizational similarity and examines their effects on alliance commitment and joint venture performance. The results reveal that CEO leadership behaviors similarity and organizational similarit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alliance commitment and joint venture performance, whereas strategic similarity and resources similarity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alliance commitment and joint venture performance. It is also found that alliance commitment affects joint venture performance positively and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ners characteristics and joint venture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key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중국 커피시장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하령(He, Ling),홍동표(Hong, Dong-Pyu)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중국의 커피시장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국의 커피시장은 커다란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나 외국커피산업의 진출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중국 자체적으로 커피를 생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커피에 대한 인식부족, 이에 대한 정책부재, 빈약한 가공기업, 시장리스크에 대한 관리 부족등으로 중국 본토의 커피브랜드의 발전은 순조롭지 않다. 따라서 이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커피에 대한 인식과 이념의 개선, 커피제조 기술개방의 가속화, 커피의 부가시장 활성화, 커피브랜드의 전략적 향상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history of China coffee is relatively short compare to other countries’. Moreover its recognition and policies on introducing advanced technologies are insufficient. Especially the Chinese coffee market itself is being pinched by the foreign well-known coffee brands since the Chinese coffee industry only focuses on the very basics of coffee production process. First is to give positive changes to the recognition of its coffee market. The Chinese government should implement laws and policies to introduce advanced technologies through realizing the significance and recognition on Chinese coffee industry. Second is to promote open market. The government should not only put their effort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but also in cultivating its human resources. Third is to know the importance of value added. It is obvious that developing value added and profit-making ability help corporate to diversely occupy its market. Forth is to improve domestic brands. The more scientific, developed and strategic production system should be introduced. Moreover, enhancement of strategy planning and expansion of export are also the keys to improve domestic brand’s global competitiveness. 본 연구는 중국의 커피시장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국의 커피시장은 커다란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나 외국커피산업의 진출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중국 자체적으로 커피를 생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커피에 대한 인식부족, 이에 대한 정책부재, 빈약한 가공기업, 시장리스크에 대한 관리 부족등으로 중국 본토의 커피브랜드의 발전은 순조롭지 않다. 따라서 이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커피에 대한 인식과 이념의 개선, 커피제조 기술개방의 가속화, 커피의 부가시장 활성화, 커피브랜드의 전략적 향상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history of China coffee is relatively short compare to other countries’. Moreover its recognition and policies on introducing advanced technologies are insufficient. Especially the Chinese coffee market itself is being pinched by the foreign well-known coffee brands since the Chinese coffee industry only focuses on the very basics of coffee production process. First is to give positive changes to the recognition of its coffee market. The Chinese government should implement laws and policies to introduce advanced technologies through realizing the significance and recognition on Chinese coffee industry. Second is to promote open market. The government should not only put their effort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but also in cultivating its human resources. Third is to know the importance of value added. It is obvious that developing value added and profit-making ability help corporate to diversely occupy its market. Forth is to improve domestic brands. The more scientific, developed and strategic production system should be introduced. Moreover, enhancement of strategy planning and expansion of export are also the keys to improve domestic brand’s global competi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