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보행자 우선도로 개선 사업으로 인한 교통사고 변화에 대한 연구

        장재민,이영인,김숙희,최회균,JANG, Jae-Min,LEE, Young-Ihn,KIM, Sukhee,CHOI, Hoi-Kyun 대한교통학회 2018 대한교통학회지 Vol.36 No.2

        We are implementing pedestrian priority zone policy to certain districts to reduce greenhouse gas and to develop eco-friendly city which has more focus on pedestrians' walking environment. This policy has contributed to citizens' satisfaction level with improved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as well as more spacious streets for walk. Despite highly positive influence of pedestrian priority zone policy to the walking environment, we need to anticipate the impact of this to traffic environment as it may have bad effect to the overall traffic flow around the zone where the policy is implemented.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e change of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around the eco-traffic area of Hang-Gung dong, Suwon city, to understand impact of the pedestrian priority zone policy to the traffic surroundings, with pre-post analysis methodology. As a result, number of accidents related to pedestrians showed decrease as pedestrian priority zone is designed operated with focus to pedestrians. But accidents related illegal U-turn and violation of the traffic signal showed (significant) increase as there was a restriction of turns and decrease of overall traffic speed. To prevent the accidents above, we need to notice drivers to pay special attention before the pedestrian priority zone event, and information from this research should be given to the drivers through safety signs and mobile application at the place near to the event. 국내는 온실가스를 줄이고 보행자 중심의 친환경 도시를 지향하고자 일부지역에 보행자 우선지역을 시행하고 있다. 이는 대중교통 중심의 서비스 개선 및 여유로운 보행공간의 확보 측면에서 시민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친환경 교통수단의 도입으로 온실가스의 감축효과에 기여했다. 그러나 보행자 우선지역은 보행환경 개선 측면에는 영향력이 높지만 주변 교통흐름에는 악영향을 주는 만큼 시행에 따른 교통 환경 변화를 예측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수원시 행궁동 생태교통 지역을 중심으로 보행자 우선도로 시행에 따라 행사주변의 효과를 도출하기 위해 사전사후 평가를 활용한 교통사고 특성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보행자 우선도로는 보행자 중심으로 설계되어 운영되는 만큼 보행자 관련 사고는 줄었으나, 차량의 회전교통 제한에 따른 불법유턴 사고 및 속도 저하에 따른 신호위반 사고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지역에는 행사를 시행하기 전 운전자에게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며, 행사구역 인근에 본 연구 특성이 반영된 안전표지판 및 어플 정보를 제공하여 교통사고에 유념할 필요가 있겠다.

      • KCI우수등재

        보행자 우선도로 개선 사업으로 인한 교통사고 변화에 대한 연구

        장재민(JANG, Jae-Min),이영인(LEE, Young-Ihn),김숙희(KIM, Sukhee),최회균(CHOI, Hoi-Kyun) 대한교통학회 2018 대한교통학회지 Vol.- No.-

        국내는 온실가스를 줄이고 보행자 중심의 친환경 도시를 지향하고자 일부지역에 보행자 우선지역을 시행하고 있다. 이는 대중교통 중심의 서비스 개선 및 여유로운 보행공간의 확보 측면에서 시민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친환경 교통수단의 도입으로 온실가스의 감축효과에 기여했다. 그러나 보행자 우선지역은 보행환경 개선 측면에는 영향력이 높지만 주변 교통흐름에는 악영향을 주는 만큼 시행에 따른 교통 환경 변화를 예측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수원시 행궁동 생태교통 지역을 중심으로 보행자 우선도로 시행에 따라 행사주변의 효과를 도출하기 위해 사전사후 평가를 활용한 교통사고 특성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보행자 우선도로는 보행자 중심으로 설계되어 운영되는 만큼 보행자 관련 사고는 줄었으나, 차량의 회전교통 제한에 따른 불법유턴 사고 및 속도 저하에 따른 신호위반 사고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지역에는 행사를 시행하기 전 운전자에게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며, 행사구역 인근에 본 연구 특성이 반영된 안전표지판 및 어플 정보를 제공하여 교통사고에 유념할 필요가 있겠다. We are implementing pedestrian priority zone policy to certain districts to reduce greenhouse gas and to develop eco-friendly city which has more focus on pedestrians’ walking environment. This policy has contributed to citizens’ satisfaction level with improved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as well as more spacious streets for walk. Despite highly positive influence of pedestrian priority zone policy to the walking environment, we need to anticipate the impact of this to traffic environment as it may have bad effect to the overall traffic flow around the zone where the policy is implemented.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e change of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around the eco-traffic area of Hang-Gung dong, Suwon city, to understand impact of the pedestrian priority zone policy to the traffic surroundings, with pre-post analysis methodology. As a result, number of accidents related to pedestrians showed decrease as pedestrian priority zone is designed operated with focus to pedestrians. But accidents related illegal U-turn and violation of the traffic signal showed (significant) increase as there was a restriction of turns and decrease of overall traffic speed. To prevent the accidents above, we need to notice drivers to pay special attention before the pedestrian priority zone event, and information from this research should be given to the drivers through safety signs and mobile application at the place near to the ev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