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노인대상 민간의료보험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최형심(Hyoung-Shim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4

        본 연구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외에서 발표된 한국 노인 대상 국내외 민간의료보험에 관한 선행연구의 경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노인 대상 민간의료보험 관련 연구 및 활용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한 문헌 고찰 연구이다. 본 연구에는 양적 학술연구 논문 19편이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논문 발표 시기, 연구 목적, 자료원, 연구 설계 등으로 나누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민간의료보험 가입 결정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고령, 저소득, 저학력, 만성질환 등이 유의미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민간의료보험 가입과 의료 이용과의 관계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일관되지 않았으나 민간의료보험 가입과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관련 삶의 질 등의 건강 성과와는 대부분 긍정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의료 이용과 의료 요구도가 높은 노인에게 민간의료보험이 보충적 의료의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노인에 대한 민간의료보험 가입 장벽을 해소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개선 정책이 개발되어야 하며, 민간의료보험 활용의 근거 생성을 위하여 노인을 대상으로 의료 이용과 건강 성과와 관련 다양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literature about private health insurance (PHI) schemes for Korean older adults published in Korea and abroad from 2015 to 2019, and to present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provide an overview of PHI utilization by Korean older adults. Nineteen quantitative academic research pape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with respect to presentation time, research purpose, data source, and study design. Old age, low income, low education, and chronic disease were found to hinder enrollment in PHI schemes.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PHI and medical usage was not consistent, it was positively related to health outcomes such as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refore, for PHI to fulfill the role of providing supplementary medical care for older adults with high medical demands, a national improvement policy should be developed to address the barriers that prevent older adults adopting PHI schemes, and empirical studies related to medical usages by and the health outcomes of older adults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generate a basis for the use of PHI.

      • KCI등재

        한국어판 전문직 삶의 질 측정도구-간편형(ProQOL-K-SF)의 타당도와 신뢰도

        최형심(Hyoung-Shim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판 전문직 삶의 질 측정도구 - 간편형 (Korean version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 Short Form, 이하 ProQOL-K-SF)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건강보험 공단에서 노인장기요양 업무를 수행하는 191명의 장기요양요원에게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WIN 21.0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한 타당도 검증과 내적 일관성 검사를 통한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한국어판 전문직 삶의 질 측정도구-간편형(ProQOL-K-SF)는 총 13문항, 공감 만족과 공감 피로 두 가지 요인구조로 확정되었으며, 13문항의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공감 피로의 요인 적재량 값은 .70~.86 이었고 공감만족의 요인적재량 값은 .71~.82 이었으며, 총 분산은 60% 이상으로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전체 도구와 두 개의 하부요인의 신뢰도는 .76~.90이었다. 또한 30문항의 한국어판 전문직 삶의 질 측정도구 원도구와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공감 피로가 .93, 공감 만족이 .95의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 장기요양인력을 대상으로 한 ProQOL-K-SF는 적절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지닌 전문직 삶의 질을 평가하기 적합한 도구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Short Form (ProQOL-K-SF).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191 staff involved in long-term care insurance who worked for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Construct validity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ere determined using SPSS/WIN (21.0). Factor analysis of the ProQOL-K-SF demonstrated that it has a two-factor structur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compassion fatigues) and 13 items that support construct validity. Factor loadings of the compassion satisfaction ranged from 0.70-0.86, factor loading of the compassion fatigues ranged from 0.71-0.82 and the total variance was 60%. The ProQOL-K showed interanal consistency based on Cronbach"s α, with a total scale and two sub scale values of 0.76-0.90.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f 30 items of the ProQOL-K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ose of 13 items of the ProQOL-K-SF. The results support that the ProQOL-K has satisfactory construct validity and is a reliable measure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 Korea.

      • KCI등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한국어판 전문직 삶의 질(K-ProQOL) 도구의 타당화

        김주이(Ju-I Kim),최형심(Hyoung-Shim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3

        본 연구는 한국어판 전문직 삶의 질 측정도구(Korean version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 K-ProQOL)가 한국 간호사의 공감만족, 공감피로와 소진을 측정하기에 타당한 도구인지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조사 자료는 서울에 위치한 3개의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한 210 명의 간호사로부터 수집되었으며, SPSS WIN (24.0)과 AMOS (18.0)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과 Cronbach "s alpha 검정을 통해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K-ProQOL의 RMSEA는 .09로 .05~.1 사이의 값을 보였으며 GFI와 CFI는 각각 .72와 .71로 모형 적합도 최소 기준인 .7 이상의 값을 보였다. 각 문항별 요인 적재량을 분석한 결과 .25에서 .82의 수준을 보였다. K-ProQOL의 Cronbach "s alpha는 .72로 각 하위영역인 공감만족, 공감피로, 소진의 Cronbach’s alpha값은 각각 .90, .78, .75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K-ProQOL 도구는 한국간호사를 대상으로 공감만족, 공감피로, 소진을 측정함에 있어 일부 문항들에 제한이 존재하지만 최소 기준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간호사를 대상으로 K-ProQOL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한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validate and assess the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K-ProQOL) that measures the compassion satisfaction,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in Korea. We conducted an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by apply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 WIN (24.0) and AMOS (18.0).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10 nurses working at three tertiary hospitals located in Seoul. Reliable internal consistency was achieved for the K-ProQOL, with a Cronbach"s alpha for the total scale and three sub scale values of 0.72-0.90. Factor loadings on three subscales of the 30 items considered ranged from 0.25 to 0.82. The model was validat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MSEA 0.05-0.1, GFI >0.7, CFI >0.7).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 K-ProQOL has satisfactory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to measure compassion satisfaction,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in Korea. This is the first study assess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for clinical nurses in Korea.

      • 교사가 인식한 학교문화 분석

        곽수란,최형심 木浦大學校 敎育硏究所 2000 교육연구 Vol.13 No.-

        The school culture in this paper can be defined a kind of peculiar value patterns and norms of school. It is made up of attitudes, values, action dispositions and school climate that school members continually in school is socio-culturally constructed and reproduced in the process of close interactions among teachers. students and social structures. This paper analyze school culture as a view teacher. This paper suggest a positive direction to schoo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