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끼전에 나타난 몸 인식과 의미 - 수륙문답을 중심으로 -

        최천집 동학학회 2023 동학학보 Vol.- No.65

        This paper is an exploration of what can be set as the interest or essence of the work flowing under the stream of the sulyugmundab. In one side of the discussion, the tokkijeon(토끼전) to which this version belongs was too attracted to the society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discussion developed. It is true that this discuss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aithfully revealing the meaning of the era of the work called The tokkijeon(토끼전), to which the sulyugmundab Answer belongs. However, it is believed that one side of the study has exposed its limitations in that it has not been able to achieve a thorough exploration of what elements were used as the basis of the work to form the undercurrent of the meaning of the era of the work. In this paper, in order to solve this point, the fundamental problem in the work is the human body, and the work theory is developed. It seems that the fable novel genre itself to which this work belongs had no choice but to have an interest in the human body. In the work, situations that show different situations and perceptions of the body continue to appear. This is proof that there is no choice but to consider the body as the basis for composing the work. Although the subject discussed in this paper has certain limitations by limiting it to one version of the sulyugmundab(수륙문답), the task is to expand the subject of consideration in future discussions and to apply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paper to confirm what the story of the tokkijeon(토끼전) like as a whole. 본고는 수륙문답의 저류에 흐르는 작품의 관심사나 본질은 무엇으로설정할 수 있을지에 대한 탐색이다. 한쪽의 논의에서 이 이본이 속한토끼전은 조선 후기라는 사회에 너무 견인되어 논의를 전개했다. 이런논의는 수륙문답이 속한 토끼전이라는 작품의 시대적인 의미를 충실하게 드러내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작품의 시대적인 의미의 저류를 이루는 것으로 어떤 요소를 작품의 바탕으로 삼았는가에 대해서는 한쪽의 연구가 철저한 탐색을 이루어내지 못했다는한계를 노출했다고 본다. 본고에서는 이런 점을 해결해 보고자 작품에서 근본적으로 문제 삼는 것을 인간의 ‘몸’이라는 것으로 보고 작품론을 전개한다. 이 작품이 속한 우화소설 장르 자체가 인간의 몸에 대한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고 본다. 작품에서는 몸을 두고 각기 다른처지와 인식을 보여주는 상황이 계속해서 나타난다. 이는 작품을 구성하는 기반으로 몸을 고려하지 않을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본고에서 논의한 대상이 수륙문답이라는 하나의 이본에 한정함으로써일정한 한계를 가지지만, 앞으로의 논의로 고찰 대상을 확대하고 본고가 얻은 결과를 적용해 보아 토끼전 전체가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과제로 남아있다.

      • KCI등재

        『백학선전』에 나타난 애정 서사

        최천집 동학학회 2023 동학학보 Vol.- No.66

        본고는 『백학선전』이라는 작품의 본질을 이루는 것이 애정 서사라고 보고 그것이 가진 애정의 성격과 문학적 의의 등을 밝혀보려는 목적을 가진다. 기존의 논의에서 작품을 애정 서사로 지적했지만, 그것에집중적인 논의를 펼치지는 않아 연구를 수행해 보아도 한다고 판단하며 연구를 진행한다. 본고에서는 애정 서사가 작품의 핵심을 지탱하는요소로 작용한다는 점을 확인한다. 작품은 애정 서사에 집중하고 있음을 순차적인 서술을 쫓아 밝히고 그것의 문학적 의의를 찾는다. 작품의애정 서사에서 애정의 성격이 개인화되어 있는 점이 확인된다. 남녀라는 성과 젠더의 차이가 애정 상대 찾기에서 고난과 극복의 정도를 차이나게도 만든다. 애정의 성격이 변화하고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여 작품은 문학 환경의 변화를 담아낸다. 소설이 읽을거리로 취급되면서 이 작품은 대중의 욕구와 흥미를 지속시키기 위해 애정 매개물을 제목으로삼는다든지 애정을 개인 관심사로 다룬다든지 하는 방법을 동원한다.

      • KCI등재

        동학 이상세계의 사상적 기반

        최천집 동학학회 2017 동학학보 Vol.0 No.4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deological foundations of the world beyond what Donghak suggests. The ideological world of Donghak is rarely expressed in a clear and complete form, but the remaining data are passed on to some extent in a fragmentary form, so there is a minimum amount of data for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aspects and ideological foundations of the ideal world that Dong - The method of studying this is to find out the pattern of the ideal world through the data and find out what kind of idea it is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that the ideal world of Donghak seems to be possible only when the world of Sangseong and Suwon Gwacheon comes. The first is that the ideal world has to deal with the emergence of Shangjo, which is called various names but is assumed to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The second is that the era in which the people came face to face with the emergence of these scrolls and the reality is the era of the postwar era, and it should always be premised on the principle of change. The ideological world of Donghak is the discovery that sangju should appear as a human being and that change must be made as the time to stand i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ideological world of Donghak should be introduced as a being, but the time of the present should be premised on the principle of transformation in order for the scrolls to appear. The first is that the Sangjoo appears with names such as 'Quanzhou' or 'Heaven', but in reality it is a dualistic and mixed existence because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God, not just human characteristics. Such beings are embracing the subjective aspects of human beings who cultivate the capital city, oil price, and invisible capital. The second is that the ideal world of Donghak brought about the logic of "the leading role". The time of 'now' is not a certain standard, but a certain time, but it is scattered at any time or at any particular time, and it is given to anyone. In such a time, will be.In the "protagonist", it is defined that the station stays for a moment and changes and flows without being fixed. Therefore, it is regarded that nature, human, society, universe, etc. follow thi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verse, different principles are not applied to each part, but the principle of transformation always works. The principle of transformation of the "protagonist" has played a powerful role in the ideological basis of the ideological society.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이 내세우는 이상세계의 사상적 기반을 따져보기 위한 것이다. 동학의 이상세계는 분명하고 온전한 형태의 글로 표현되어 있는 경우는 드물지만 남아 있는 자료를 통해 어느 정도 단편적인 형태로라도 전해 지고 있어 연구를 위한 최소한의 자료는 확보된 상태이다. 이를 활용하여 동학에서 내세운 이상세계의 양상과 사상적 기반을 따져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에 대한 연구 방법은 자료를 통해 이상세계의 양상을 찾고 그것이 어떤 사상에 근거를 두고 있는지를 찾는 것이다. 이 연구의 내용은 동학의 이상세계가 상제와 후천개벽의 세상이 도래해야만 가능하다고 본다는 것이다. 첫 번째는 이상세계가 가져야 할 조건으로 상제의 등장이 다루어지고 이 상제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지만 동일한 특징을 가진 것으로 상정된다고 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이런 상제가 등장하고 동시에 현실에서 민중들이 직접 대면한 시대가 후천개벽의 시대이며 이는 언제나 변화를 원리로 하는 시간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동학의 이상세계는 인간으로서 상제가 등장해야 하며 그것을 떠받드는 시간으로서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의 발견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동학의 이상세계는 존재로서 상제가 등장해야 하지만 그 상제가 등장하기 위해서 변역의 원리에 의해 지금이라는 시간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첫 번째는 상제는 ‘천주’나 ‘하님’ 등의 이름을 갖고 등장하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인간의 특징만이 아닌 신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에 이중적이고 혼합적 존재이다. 그런 존재는 도가·유가·불가의 도를 닦는 인간이 가진 특성인 주체적 측면을 수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동학의 이상세계는 『주역』의 변역의 논리를 가져온 것이다. ‘지금’이라는 시간은 어떤 정해진 기준이나 특정할 수 있는 시기가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시대나 특정한 시기를 가리지 않고 흩어져 있으며 누구에게나 주어지며 그런 시대는 인간 누구에게나 순간순간 눈앞에 다가와 있고 살아가는 동안은 언제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시간관은 시간의 속성을 인식하는데 유용한 잣대로 작용한 『주역』의 변역의 논리를 가져온 것이다.『 주역』에서는 역을 한 순간도 머물고 고정되지 않고 변화하고 흘러가는 것으로 규정하고 그에 따라 자연, 인간, 사회, 우주 등이 이에 따르는 것으로 본다. 역의 관점에서 본다면 각 부분에는 다른 원리가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변역의 원리가 언제나 작용하고 있다. 『주역』의 변역의 원리는 동학 이상사회의 사상적 기반의 역할을 강력하게 해 온 것이다.

      • KCI등재

        동학 관련 인물 설화의 인물 평가 방식과 그 의미

        최천집 동학학회 2016 동학학보 Vol.0 No.38

        This study has evaluated the way you want to find the person and their sense of donghak related person narrative purpose. donghak related person has a lot narrative evaluation of the figures. Tales of the donghak related figures are mixed assessment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ways . It is mixed , but the story about the figures related to the donghak of the windows if positive assessment method is used as the main figures relating to the utilization donghakran has been a negative assessment. It's not every alternative work flow, depending on the boyigido people have different patterns may have various layers. Per person per piece it showed a difference of slightly differed depending on the speaker. The batch control it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acts of this person is and what is achieved is a result of people's judgment about the historical jinyeotneunga any value. People are judged by their make room contemplating whether to go look at the reality of what has survived recognize the reality and the ideals projected in the story. People are also living there, as well as create the donghak associated with the story properly evaluate the figures that appear in the story and decide not to establish a historical recognition phase. 이 연구는 동학 관련 인물 설화의 인물 평가 방식과 그 의미를 찾으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동학 관련 인물 설화는 인물에 대한 평가를 많이 담고 있다. 동학 관련 인물에 대한 설화는 긍정과 부정의 평가 방식이 혼재하고 있다. 혼재되어 있기는 하지만 동학의 창도와 관련된 인물들에 대한 설화에서는 긍정이 주된 평가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면 동학란과 관련된 인물은 부정적 평가가 활용되고 있다. 이는 인물에 따라 차이를 보이기도 하는데 대체적인 흐름이지 각 작품마다 다른 양상을 지니고 있어 다양한 층위를 지니고 있다. 인물마다 작품마다 조금씩의 차이가 나타났고 화자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다. 그것을 일괄되게 통제하는 것은 인물이 이룬 행적의 결과는 무엇이고 그 결과는 어떤 가치를 역사적으로 지녔는가에 대한 민중의 판단이다. 판단을 통해 민중은 자신이 현실을 바라보고 어떤 인식을 갖고 현실을 살아가야 할지를 고민하는 자리를 마련하고 그 이념을 설화에 투영하고 있다. 민중은 설화에 나타나는 인물에 대해 제대로 평가하고 위상을 정하는 것을 통해 동학 관련 설화를 살아있는 존재로 만들뿐만 아니라 역사인식을 정립하기도 한다.

      • KCI등재

        동학 몽유가사의 형성배경과 ‘꿈’ 활용방식- 「몽중노소문답가」·「몽중가」·「몽경가」를 중심으로

        최천집 동학학회 2017 동학학보 Vol.0 No.45

        Next, Donghak Mongyu is realizing the intention of using dreams to solve the religious problems. The origin of the work, "Wan-myeong no Ao-myeonjae," is regarded as an answer to what is essentially an important realization in religion. Enlightenment has a mysterious element. In order to strengthen such a mystery, how systematic characteristics of a dream, such as a dream, a dream, and a dream, are linked and changed is an important concern. Therefore, in a group of works, there is a piece of work that shows the importance of the work in presenting dreams of what the state of enlightenment is. Although these works are almost universal in Dongyak Monyu, some works show interest in how enlightenment after Enlightenment should be practiced and implemented. The work with such a tendency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dream is regarded as merely sleep, and it is perceived as temporary moment of dream to be broken. 본고는 동학 몽유가사의 발생 배경과 작품에서 꿈을 활용하는 방식을 찾는데 주목적이 있다. 동학에서 몽유가사를 활용하여 종교적 깨달음과 후속되는 활동 등에 꿈을 활용하는 작품이 많다는 점에 착안하여 그것이 어떤 배경에서 발생하여 어떤 활용을 통해 어떤 효과를 거두고자 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펼친다. 몽유가사가 꿈을 어떻게든 집어넣어 다룬다는 점에 착안하여 그것이 발생하게 된 배경은 어떤 것이 있으며 그것을 통해 종교적 의도를 어떻게 성취해 나가는가에 주목한 것이다. 먼저 동학 몽유가사의 발생은 사대부가사와 불교가사에서 주로 활용되던 방식에 영향을 받고 있다. 동학 몽유가사의 출발 작품인 「몽중노소문답가」는 전대에 이루어진 사대부의 몽유가사인 「길몽가」와 형식적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 두 작품은 꿈을 꿈 이전 - 꿈 - 꿈 이후 등으로 나누어 구성해 놓는다든지 꿈에서 구체적인 인물을 만나 그로부터 어떤 교훈이 될 만한 내용을 전해 받는다든가 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두 작품에서는 꿈을 완결된 논리를 갖춘 체계적인 것으로 받아들인다. 이런 점에서 판단한다면 동학 몽유가사는 사대부들이 주로 창작자로 나서서 그들의 이념을 꿈을 통해 강화하고 그 강화된 이념이 현실에서 다시 전해져야 한다는 의도를 실현하려는 작품으로 창작된 사대부 몽유가사에서 형식적 틀을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동학 몽유가사는 내용에서 깨달음을 바라보는 시각을 확실하게 정립하는 것으로 채워져 있어 사대부 가사보다는 같은 시대에 많이 창작되고 유통되고 있었던 불교의 몽환가에서 영향을 더 받았다 하겠다. 불교의 몽환가는 19세기에 주로 창작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들 작품에는 깨달음을 이루지 못한 상태가 어떤 것이고 깨달음을 이룬 상태는 어떤 것인지에 대한 것들을 내용으로 구성해 놓고 있다. 세상의 사람들이 크게 깨달은 사람과 깨달지 못한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들에게 깨달음의 내용을 전달하려는 것이 불교 몽환가의 주된 내용을 채우고 있다. 다음으로 동학 몽유가사는 꿈을 활용하여 종교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려는 의도를 실현하려 한다. 발생작인 「몽중노소문답가」는 종교에서 중요한 깨달음이 본질적으로 어떤 것인지에 대한 답을 꿈에서 찾은 것으로 간주한다. 깨달음은 신비한 요소를 갖고 있으니 이런 신비함을 강화하기 위해서라도 꿈이 가진 체계적인 특성인 꿈 이전 - 꿈 - 꿈 이후 등이 어떻게 연결되고 변화하는지를 중요한 관심거리로 삼는다. 따라서 일군의 작품에서는 깨달음의 경지가 어떤 것인지를 꿈을 활용하여 제시하는 것을 작품의 주지로 삼고 있다. 이런 작품이 동학 몽유가사에는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일부의 작품은 깨달음 이후의 깨달음이 어떻게 실천되고 구현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관심을 보이기도 한다. 그런 경향을 지닌 작품은 꿈을 단순히 잠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 꿈을 깨야 할 일시적인 미몽 상태인 것으로 인식한다. 이런 경향이 동학 몽유가사에는 이어지고 있다.

      • KCI등재

        『용담유사』의 담화 양상에 내재된 심리적 의미

        최천집 동학학회 2018 동학학보 Vol.0 No.4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at kind of discourse is represented in 『yongdam-yusa』 and what is the psychological meaning inherent in it. Discourse is divided into two types: conversation and conversation. In the case of dialogue, if the listener is mainly used to express the wishes of the marriage to the female ladies and qualities of the family, the use of various devices other than dialogue is to make the listener to the general public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utilized. It means that the purpose of the waterway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waterway, so the different ways of using the discourse are different and the method chosen accordingly. The psychological meaning revealed in the discourse contains the intention to explore the ideal self image. In the process of religious reflection and training, Suiun considers human beings to internally exercise and what ideal situation should be reached. The pursuit of this idealistic self-image resembles the mental aspect of the human general because it is in line with the universal growth process of human beings in terms of psychoanalysis. The image of the ideal self includes not only the meaning of searching for a model of one ‘s ideal, but also the question of how to set and adjust the part of self which overlaps with others in ideal form. The ideal of this type of self and the others is transformed into the image of the other person, and what kind of ideal the other should have is the search for the humanoid type. The humanoid soul searching and souring is not only a passive idea, but an active subject. It is also the result of the hope of Suwoon that the ideal person would go up to the class of harvesting Donghak and occupy the center of the world. In other words, in the future, Suwoon is projecting the dream that the subjective and practical human image with the ideology of Donghak is the mainstream of society and they want to lead the world in the future. 본고는『 용담유사』에 나타난 담화 양상이 어떤지를 고찰해 보고 그것에 내재한 심리적 의미는 무엇인가를 밝혀보려는 것이다. 담화 양상에서는 대화를활용한 경우와 대화 이외의 다양한 장치를 활용한 경우로 나누어진다. 대화의 경우는 청자를 주로 집안의 부녀와 자질을 대상으로 하여 수운이 전하고자하는 바를 피력할 때 주로 사용한 것이라면 대화 이외의 다양한 장치를 활용한 것은 청자를 제자와 도를 깨치려는 일반인들로 하여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것은 수운이 담화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이 다르므로 이용하는 담화 양상을 달리하고자 했으며 그에 따라 선택한 방법도 달랐다는 것을의미한다. 담화 양상에 드러난 심리적 의미는 이상적인 자아상에 대한 탐색을 꾀하고자 하는 의도를 담고 있다. 수운은 종교적인 반성과 수련의 과정에서 인간이 내적으로 수련을 하여 어떤 이상적 상황에 이르러야 하는지를 고민하고 있다. 이런 이상적 자아상에 대한 추구는 정신분석적 측면에서 인간이 밟아나가는 보편적 성장 과정과 맞닿아 있어 인간 일반의 정신적 측면과 닮아있다. 이상적 자아의 모습은 자기의 이상에 대한 모형을 탐색한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그것에서 벗어나 자아가 타인과 겹치는 부분을 이상적인 모습에서 어떻게설정하고 조정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고민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이런 자아와 타자의 이상적 상에 대한 공통점 찾기가 완전하게 타자의 상으로 전환하여 타자가 어떤 이상적 모습을 띠어야 하는지는 인간형에 대한 모색으로 이어진다. 수운이 모색하고 희구한 인간형은 수동적 관념에만 머물러있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 주체적인 측면을 갖고 있다. 그것은 이상적 인물이동학을 추수하는 부류로 올라가서 세상의 중심을 차지하면 좋겠다는 수운의희망이 투영된 결과이기도 하다. 즉 수운은 미래에는 동학을 이념으로 하는주체적이고 실천적인 인간상이 사회의 주류를 이루고 그들이 세상을 이끌어갔으면 하는 꿈을 인물형에 투영하고 있다.

      • KCI등재

        경주학으로서의 동학(東學)

        최천집 동학학회 2020 동학학보 Vol.0 No.54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의 경주학으로서의 조건과 의미 등을 밝혀보는 데에있다. 동학이 경주에서 발생하고 전해진 것이지만 경주와 동학이 구체적으로어떤 점에서 연결되고 있는지에 대한 지방학 차원에서의 논의는 이루어지지않았다. 현재의 지방학이 놓인 위기와 한계를 동학이 경주학으로서 가진 위상을 점검하는 것으로 일정하게 보완할 수 있다는 점도 본고를 집필하는 동기가 되었다. 동학이 경주와 갖는 관계와 위상 등을 점검하여 동학의 지방학으로서의 가치가 밝혀지는 것이 경주의 정체성과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도 일정한 의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의 내용은 동학이 경주에서 발생하게 된 요인으로 최제우와 최시형의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한 점에 주목하였다. 최제우는 아버지 최옥이 경주에 대한 인식을 퇴처로만 인식한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이에서 벗어나 새롭게인식하고 있다. 아버지 최옥이 도연명을 본받아 경주를 숨어들어 학문을 익혀야 할 곳으로 인식한 반면 최제우는 제갈량을 본받아 익힌 학문을 펼칠 세상의 하나로 인식하는 태도를 보인다. 이런 인식에 기초하여 경주에서 세상을 구제할 이념의 기반을 다지고 그것을 실험하는 데에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경주는 그에게 중요한 사상적 기초를 다지고 실천을 펼쳐볼 수 있는 기반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점은 최시형에게서도 일정하게 나타난다. 최시형은 태어난 곳이 경주였기 때문에 동학을 쉽게 접하고 자기 사상을 적극적으로 펼치는 무대로 활용한다. 경주라는 곳이 동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장소로서 기능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그런데 이런 점은 후기 동학에도 이어지고 있는데 후기동학에서도 경주에서 발생한 동학의 원류에 대한 일정한중시와 나름의 독자적 사상을 펼치는 장소와 시기에 맞는 이념을 개발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활동지역에 기초하여 모색되고 있다. 즉 동학의 발전에서경주나 사상이 펼쳐지는 개별 지방은 중요한 기초로 활용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동학이 경주학의 하나로서 중요한 위상을 점하고 있다는 점이 밝혀진 것이다. 지방의 정체성이 다양하게 제출되고 그에 따른 지방의 독자성에 대한 모색이 중요하게 부각되는 시대에 동학은 여러 측면에서 경주지역을 대표할만한 점들도 가지고 있어 지방학의 한 대표적인 학문으로 정립될만한 학문이다. 동학은 지방학이 어느 하나의 지방에만 한정되어 머물지않고 다른 지방에서 어떻게 전개·변화될 수 있는지를 역사로 보여주었고 미래에서도 어떻게 변화할지를 예비하고 있다. 또한 인간에 대한 근본적인 특성에 대해 계속해서 질문을 던지고 방향을 모색하는 동학의 특성은 지방학이지향하고 목표할 바를 안내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ditions and meanings of the Gyeongjuhak of DonghaK. Although dynamics occurred and transmitted in Gyeongju, there was no discussion at the local level about the specific connection between Gyeongju and dynamics. It was also a motivation to write this paper that the current crisis and limitations of local studies can be constantly supplemented by checking the status of Donghak as a race. Examining the relationship and status of Donghak with Gyeongju reveals the value of Donghak as a local science, which is expected to have a certain meaning in seeking the identity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Gyeongju. The contents of this study noted that the role of Choi Je-woo and Choi Sihyeo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ynamics of racing. Choi Je-woo points out that his father, Choi Ok, recognizes Gyeongju as only a retirement. While his father, Choi Ok, imitated Doyeonmyeong and conceived Gyeongju as a place to learn, Choi, Jewoo showed the attitude of recognizing one of the worlds to learn the study by imitating Zhuge Liang. Based on this perception, it is used to lay the groundwork for an ideology that will save the world from racing and to actively experiment with it. Gyeongju is acting as a foundation for laying the groundwork for the ideological foundation that is important to him. This is consistent with Choi Si Hyung. Since Choi was born in Gyeongju, he is easily seen as a stage where he can easily come to know Donghak and unfold his ideas. It is confirmed that Gyeongju is functioning as a great place for the development of dynamics. However, this point continues in the late dynamics, and in the later dynamics, the question of whether to develop a place that is appropriate to the origin of the dynamics in Gyeongju and develop an idea that is appropriate to its origin is based on the area of activity. In other words, in the development of dynamics, it is confirmed that the region where races and ideas are unfolded is used as an important found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dynamics is an important part of racing science. In an age when various local identities are submitted and the search for local identity is important, Donghak has many aspects to represent Gyeongju. Donghak has shown in history how local studies can be developed and changed in other provinces rather than staying limited to just one province, and is preparing for changes in the future. The dynamics of continually asking and seeking directions on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also play a role in guiding the direction and goal of local studies.

      • KCI등재

        동학가사 「용담가」의 문학적 성격과 그 의의

        최천집 동학학회 2020 동학학보 Vol.0 No.57

        본고는 동학의 가사 작품인 「용담가」의 문학적 성격과 그 의의가 무엇인가를 찾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이 작품은 기존 논의에서 종교가사라는 점에 너무 치우쳐 논의됨으로써 작품이 가진 고유한 개별적 특성과 의미가 제대로 드러나지 않았다. 이런 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본고에서는 「용담가」의 형식이나 내용 등에서 드러나는 것을 중심으로 하여 작품이 가진 문학적 성격과 의의 등에 대한 집중적인 작품론적 논의를 펼쳤다. 「용담가」는 서사(첫째 마디)- 본사(둘째 마디, 셋째 마디)-결사(넷째 마디)의 3단계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앞에는 객관적인 사실을 전달하는 정보를 배열하고 뒤에는 그것에서 도출된 느낌이나 감상을 배열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음보율로 본다면 서사와 본사는 확연히 다른데 3·4 음보를 활용하는 데서 4·4 음보로 바뀌는 것으로 확인된다. 본사에 들어가면 3·4 음보를 예외적인 내용을 전하는 것으로 활용하는 양상을 보인다. 서술하는 시간에서도 서사는 과거나 현재에 집중하고 본사는 현재에 집중한다면 결사는 현재에 미래까지 덧붙이는 형식을 취한다. 공간도 서사는 경주 전체를 다룬다면 본사는 구미산에 자리하고 있는 용담으로 이동하며 결사에서는 용담이 구미산의 어떤 점을 성취하고 있는지에 집중한다. 「용담가」는 몽유가사의 성격을 일정하게 갖고 있기는 하지만 적극적으로 수용하지는 않는 작품이다. 왜냐하면 작품에는 몽유가사의 기본적이고 중요한 특성인 꿈 이전- 꿈 – 꿈 이후의 세계가 구분되어 나타나지도 않으며 꿈의 세계에서 펼쳐진 대화가 구분되어 제시되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작품의 성격이 몽유가사의 성격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음을 위의 논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서 나아가 작품은 작품 창작을 할 수 있는 당대의 문화적 역량인 경북지방의 구곡문화의 보편적 배경에 따라 이에서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는 성격도 기본적으로 갖고 있다. 「용담가」는 가학의 한 방편으로 문학이 계승적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던 시대를 마감하고 개인이 어떤 식으로든 가학으로 전해지던 문학의 창작동향을 변화시켜 어떤 방향을 새롭게 모색할 수 있을지를 보여준다는 의의를 갖는다. 이런 점은 개화기라는 시대에 몰락양반이 어떤 문학적 창작의 동향과 방향을 개척해 나가는지를 파악해 볼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의의까지 갖는다. This paper aims to find out what the literary character and significance of Donghak’s lyrics work “Yongdamga” is. This work was discussed too lean to the point of religious lyrics in the existing discussions, so the uniqu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work were not properly revealed. With the intention of overcoming this point, this paper focused on the literary character and significance of the work, focusing on what is revealed in the form and content of the gentian. ``Yongdamga’’ is composed of a three-level structure of narrative -head office, association, arranging information that conveys objective facts in the front, and feeling or appreciation derived from it. It takes the form of arranging. In terms of the pitch rate, the narrative and the head office are markedly different, but it is confirmed that the use of the 3·4 note changes to the 4·4 note. When entering the headquarters, the 3·4 notes are used to convey exceptional content. Even in the time of narration, the narrative focuses on the past or the present, and the head office focuses on the present, while the association takes the form of adding to the present to the future. If the space narrative deals with the whole of Gyeongju, the headquarters will move to Yongdam, which is located in Mt. “Yongdamga” is a work that has a certain character of sleepy lyrics, but does not actively accept it. This is because, in the work, the world before the dream-dream-after the dream, which is the basic and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 sleepy lyrics, does not appear separately, nor does the dialogue unfold in the dream world be presented separately. However, the nature of the work basically has the character of a sleepy lyrics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n addition to this, works basically have the character of being influenced by the universal background of Gugok culture in the Gyeongbuk region, which is the cultural capacity of the time to create works. As a means of sadism, ``Yongdamga’’ is said to end the era when literature plays a successive role and function, and shows how individuals can change the creative trend of literature that was passed down through sadism in some way and find a new direction. Have significance. This point has the significance of showing a possibility to grasp the trend and direction of the literary creation of the Fallen Yangban in the era of enlightenment.

      • KCI등재

        「이화실전」에 나타난 갈등양상과 그 의미

        최천집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1

        "Ehwasiljeon" shows conflicts that show differences in the way of pursuing affection. On the one hand, there must be a moral man based on ethics before seeking affection.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t is said that affection can be instinctively pursued according to the sexual attraction rather than based on ethic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way of seeking affection serves as an important axis to draw the conflict of works. In addition, there is conflict in the point that the society in which the work is oriented differs from here. On the one hand, it is natural and reasonable to restrict the object of strict affection pursuant to the difference of the identity, while the other side takes the position that it is neither natural nor natural to restrict the object of affection. Both positions reflect the pursuit of the orientation toward the society in which the system is strictly observed and the difference in pursuing the orientation toward the society in which the identity is broken and love is freely pursued. The work also has the meaning of raising and criticizing realistic problems about society. The limitations of the affectionate parties according to the status that is widespread in society, and the affection to transcend it, can be accomplished only through the process of last effort, it contains a certain criticism of the contradictory position on the base. This shows that the contradictions in society are stubborn and can not be changed easily, and that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m is not easy. The work says that for a person with a different identity to have affection and full fulfillment of his affection, he must have an ethical basis to bear the special will and oppression and threat of the opponent. In the struggle over the pursuit of affection, the work embodies the romantic expectation of society. Because they are actively affirming their accomplishments by dealing with them as though they should eventually fulfill their affection through the work, and as a party to it, and as a representative of their agents. In the process of affection, romantic beings and their help are utilized to overcome the crisis and achieve the orientation by accepting this consciousness. Their affection deserves positive support and a romantic solution because it is what is needed to bring hope to a transcendent being.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re was a romantic expectation for the society that the class had related to the enjoyment of the works of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hen the works were cre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