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반추와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최중휘 ( Choongwhee Choi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반추와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6.0 및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은 부(-)의 매개효과, 반추는 정(+)의 매개효과가 각각 나타났다. 둘째, 마음챙김과 반추가 동시에 투입되는 이중 매개효과 분석 결과, 반추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컸다. 이는 평가염려 완벽주의로 인해 경험하는 우울의 완화에는 반추를 억제하도록 돕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연구의 대상이 대학생에만 국한되었고, 우울에 대한 외부 환경적 영향력을 배제하였다는 점은 이 연구의 제한점으로 지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rumination and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college students and analyzed using SPSS 26.0 and Macro program. Results are as follow. First, mindfulness had a negative (-) mediating effect and rumination had a positive (+)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double-mediating effect analysis in which mindfulness and rumination are simultaneously input, the influence of rumination was greater. This is meaningful in that helping to suppress rumination is more effective in alleviating depression experienced due to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that it was limited to college students and that it excluded external environmental impacts on depression.

      • KCI등재

        초심상담자의 화상상담에 대한 인식 및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화상상담 경험 전과 후

        유주희,정혜정,연규진,허자영,김예은,최중휘 한국상담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tter understand novice counselo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with videoconferencing psychotherapy (VCP) before and after their VCP experience. For this purpose, ten novice counselor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who were training at a university counseling center were interview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ee domains and 12 categories emerged from the participants’ prior perceptions of VCP. From the participants’ VCP experience, two domains, seven sub domains and 20 categories were derived. Prior to their experience, the participants reported a vague aversion to VCP, and they were concerned about technical issues and difficulties concentrating on the counseling. Participants reported various difficulties in conducting VCP in the early stages and a decrease in efficacy as a counselor. However, participants gradually adapted to VCP, and recognized its beneifts as they became accustomed to using and operating VCP devices and platforms. Even though they had adapted to video counseling,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re were times when they preferred face-to-face counseling. The study’s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counseling center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심상담자의 화상상담 실시 전후의 화상상담에 대한 인식 및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상담경력 3년 이하의 대학상담기관에서 수련 중인 초심상담자 10명을 인터뷰하고,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가자의 화상상담 경험 전 인식에서는 3개의 영역과 12개의 범주가, 화상상담 실시 후 화상상담 경험에서는 2개의 영역에서 7개의 하위영역과 2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참가자들은 화상상담 실시 전 화상상담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을 가졌고, 기술적 문제와 상담 집중의 어려움 등을 걱정하였다. 둘째, 참가자들은 화상상담 전환 초기 화상상담에 대한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상담자로서의 효능감 저하를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가자들은 화상상담 기기와 플랫폼 사용 및 조작에 익숙해지며 화상상담에 점차 적응하고, 화상상담의 장점도 인식하게 되었다. 넷째, 참가자들은 화상상담에 적응하였어도 대면상담에 대한 아쉬움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상담수련기관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