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MOS 공정을 이용한 다층 구조의 소형 나선 인덕터

        최정명(Jungmyung Choi),이낙원(Nakwon Lee),범진욱(Jinwook Burm) 대한전자공학회 2007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11

        Inductive peaking technology was u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optical communication circuit. On-chip micro spiral inductor in 20×20㎛² size to optical communication circuit, that was designed to have a reasonable inductance without increasing chip area. Micro spiral inductor is simulated by 2.5D EM simulator. The structures have been fabricated in 0.18㎛ CMOS technologies with six metal layers.

      • KCI등재

        Micro Stacked Spiral Inductor를 이용한 6Gbps 1:2 Demultiplexer 설계

        최정명(Jungmyung Choi),범진욱(Jinwook Burm) 대한전자공학회 2008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5 No.5

        CMOS 0.18 ㎛ 공정을 이용하여 1.8V supply voltage에서 6Gbps 이상의 처리속도를 가지는 1:2 demultiplexer(DEMUX)를 구현하였다. 높은 동작속도를 위하여 Current mode logic(CML)의 Flipflop을 사용하였으며 추가적인 동작속도 향상을 위하여 On-chip micro stacked spiral inductor(10×10 ㎛²)를 사용하였다. 총 12개의 인덕터를 사용하여 1200㎛²의 면적증가만으로 Inductive peaking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Chip의 측정은 wafer상태로 진행하였고 Micro stacked spiral inductor가 있는 1:2 demultiplexer와 그것이 없는 1:2 demultiplexer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6Gbps에서 측정결과 Micro stacked spiral inductor를 1:2 demultiplexer가 inductor를 사용하지 않은 구조보다 Eye width가 약 3%정도 증가하였고 또한 Jitter가 43% 정도 감소하여 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비전력은 76.8㎽, 6Gbps에서의 Eye height는 180㎷로 측정되었다. A 6Gbps 1:2 demultiplexer(DEMUX) IC using 0.18㎛ CMOS was designed and fabricated. For high speed performance current mode logic(CML) flipflop was used and inductive peaking technology was used so as to obtain higher speed than conventional Current mode logic flipflop. On-chip spiral inductor was designed to maximize the inductive peaking effect using stack structure. Total twelve inductors of 100㎛² area increase was used. The measurement was processed on wafer and 1:2 demultiplexer with and without micro stacked spiral inductors were compared. For 6Gbps data rate measurement, eye width was improved 7.27% and Jitter was improved 43% respectively. Power consumption was 76.8㎽ and eye height was 180㎷ at 6 Gbps.

      • KCI등재

        현행 법원보안조직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법원보안국의 설치를 중심으로 -

        최정명 ( Jungmyung Choi ),장인호 ( Inho Chang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홍익법학 Vol.22 No.4

        우리법원은 「법원조직법 제55조의2 제1항」에 따라 “법정의 존엄과 질서유지 및 법원 청사의 방호를 위하여 대법원과 각급 법원에 법원보안관리대”를 두고 있다. 이는 헌법상 삼권분립의 원칙에 따라 다른 국가권력으로부터 사법부의 기능적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법원 자체적인 질서유지기관을 둔 것으로서 사법부 독립의 실질적인 실현수단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다른 국가의 제도와 비교해보면 헌법상 엄격한 권력분립을 택하고 있는 미국 및 독일에서도 위와 같은 취지에서 오래전부터 자국 법원의 특성에 맞는 고유한 자체 법집행기관들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기관들을 일반경찰과 구분하여 일명 ‘법원보안국’으로 칭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각국의 ‘법원보안국’들은 조직구성과 운영방식에 있어 국가별로 오랜 역사적 배경을 반영하다 보니 각각 다른 형태로 나타나고 있어 이를 통해 일관적인 조직의 성격과 기능을 추출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래서인지 현실적으로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법원보안국’의 정체성에 대해 학계에서 그간 진지한 논의가 없는 실정이며, 법원 정책결정권자들도 역시 조직의 본질적인 성격과 기능에 대해 고찰하지 아니하고 ‘법원보안국’에 대하여 ‘법원경찰’ 또는 ‘법원경비관리대’ 같은 합당하지 않은 용어들을 혼용하여 쓰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각국의 ‘법원보안국’ 제도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조직의 본질적인 정체성을 정립하고 정책적인 발전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향후 본격적인 논의를 위한 서론적 고찰이 담긴 정책지향적인 논문이다. In accordance with Article 55-2 (1) of the Court Organization Act, our court has "Court Security Management Office" in the Supreme Court and courts at various levels to maintain the dignity and order of the court and protect the court building.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in the Constitution, the court has its own order-maintaining agency to ensure the functional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from other state powers. Compared to other national systems, it can be seen that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which choose strict separation of powers under the Constitution, have their own law enforcement agencies that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ourts for a long time. To distinguish these institutions from the general police, they can be called the so-called 'Court Marshals Bureau'. However, each country’s ‘Court Marshals bureaus’ appear in different forms reflecting the long historical background of each country in their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making it difficult to extract consistent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Perhaps that's why despite its realistic existence, there has been no serious discussion in academia about the identity of the "Court Marshals Bureau," and the thoughts of court policy decision makers have not considered the essential nature and function of the organization, but only remain superficial. Organizational development is stagnant as accidents remain. Therefore, this Constitutional Policy Paper containing introductory consideration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ignificance of the ‘Court Marshals Bureau’ with the systems of foreign countries, and suggest the identity of the institution and the policy improvement direction through this.

      • KCI등재

        쉴드 TBM 성능예측모델과 굴진자료 분석을 통한 굴진성능 개선방안

        정혁상(Jung Hyuksang),강형남(Kang Hyoungnam),최정명(Choi Jungmyung),천병식(Chun Byungsik)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0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1 No.2

        쉴드공법은 막장을 굴착함과 동시에 원통형 강재를 지반속에 추진시켜 터널을 축조하는 공법이다. 1818년 마크 브루넬이 런던의 템즈강 하저 굴착공사에 처음 사용한 이래 지반조건에 따른 다양한 쉴드 TBM이 개발되어 도로, 지하철, 전력구, 상하수도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막장상태를 수시로 관찰하며 지반변화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NATM 공법과 달리, 쉴드 공법은 굴진이 시작되면 장비 교체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지반조사 및 실내시험 결과에 따라 적절한 장비를 설계하고, 막장상태에 따라 압입 깊이, 커터헤드 회전속도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장비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굴착공사를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분당선 한강하저터널의 지반조건을 NTNU, QTBM, 합경도, KICT-SNU 등의 모델에 적용하여 굴진성능을 예측하고, 실시공 굴진자료와 비교?분석하여 예측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하였으며, 한강하저터널 하행선의 굴진성능 저하원인을 분석하였다. Shield method is the tunnel boring method that propels a steel cylinder in the ground and excavates tunnels at once. After Marc Isambard Brunel started using the method for the Thames Riverbed Tunnel excavation in London, many kinds of TBM (Tunnel Boring Machine) developed and applied for the construction of road, railway, electricity channel, pipeline, etc. In comparison with NATM concept that allows to observe ground condition and copes with difficulty. The machine selected before starting construction is not able to be changed during construction in shield TBM. Therefore the machine should be designed based on the ground survey result and experiment, so that the tunnel might be excavated effectively by controlling penetration speed, excavation depth and cutter head speed according to the ground condition chang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stimate penetration depth, excavate speed, wear of disc cutter on Boondang Railway of the Han Riverbed Tunnel ground condition by TBM performance prediction models such as NTNU, QTBM, Total Hardness, KICT-SNU and compare the estimated value with the field data. The estimation method is also used to analyze the reason of poor excavation efficiency at south bound tunn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