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개발 시나리오에 따른 농업지역의 생태계서비스 변화 분석 - 3기 신도시 남양주 왕숙1지구를 대상으로 -

        김수경 ( Sukyoung Kim ),최재연 ( Jaeyeon Choi ),박찬 ( Chan Park ),송원경 ( Wonkyong Song ),김수련 ( Suryeon Kim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1 환경영향평가 Vol.30 No.2

        현재 도시개발은 택지공급의 안정화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도시개발에 따른 토지이용 변화는 생태계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므로 다양한 도시 공간구조를 고려한 생태계서비스 평가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개발에 의한 농업지역의 생태계서비스 변화를 고찰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개발에 따른 농업지역의 생태계서비스 변화를 분석하고, 향후 도시계획 단계의 의사결정 지원에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남양주 왕숙1지구를 대상으로 도시개발 전과 개발 후에 대한 시나리오를 설정하였으며, InVEST 모델을 활용하여 생태계서비스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도시개발 이전의 생태계서비스 분석결과, 서식처 질과 수자원공급량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난 반면, 탄소고정량과 작물생산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개발 이후의 생태계서비스 분석결과, 시나리오별 생태계서비스는 모든 항목이 2018년 대비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시개발 시나리오 가운데 압축도시는 수자원공급량의 가치가 가장 낮게 도출된 반면, 서식처 질, 탄소고 정량, 작물생산량의 가치는 가장 높게 도출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압축도시는 생태계서비스 측면에서 긍정적인 도시개발 시나리오로 판단되며, 향후 도시개발 및 관리계획 수립단계에서 정책적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rban development is continuously being carried out to stabilize housing supply. The importance of ecosystem services assessments considering the various urban spatial structures is emerging as land use change in the wake of urban development has impact on the provision of ecosystem services. However, few studies are available as to the effects of land use transition in agricultural land due to urban development on ecosystem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decision-making in the urban planning process by analyzing the impact of land use change on ecosystem services due to urban development. Therefore, the scenario was set on before and after the city development, targeting Namyangju Wangsuk Zone 1 and InVEST model wa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changes in value of ecosystem services. Analysis results of ecosystem services before the urban development, it turned out that habitat quality and water yield increased over time but carbon storage and crop production decreased. Analysis results of ecosystem services after the urban development indicated that all items in ecosystem services by scenario decreased more than in 2018. Among the scenarios of urban development, compact city had the lowest value of water resource supply but had the highest value in terms of habitat quality, carbon storage amount, and crop production.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ompact city has positive effects on ecosystem services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supporting policy decision-making in the establishment of future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plans.

      • KCI등재

        서울 도심 공지의 개발 시나리오에 따른 미기후 영향 분석 - 풍속 및 기온 비교 -

        백지원 ( Jiwon Baek ),박찬 ( Chan Park ),박소민 ( Somin Park ),최재연 ( Jaeyeon Choi ),송원경 ( Wonkyong Song ),강다인 ( Dain Kang ),김수련 ( Suryeon Kim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1 환경영향평가 Vol.30 No.2

        건물이 밀집되고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는 열섬현상이 가중되고 열쾌적성에 취약하다. 도심에서 방치되고 있는 공지는 주거환경과 도시미관을 저해하고 지역 전체의 경제적 활력이 낮아지며 도시를 쇠퇴하는 하나의 요인으로 다루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종로구 송현동의 공지를 대상으로 개발 시나리오에 따라 주변 미기후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현 상태 유지, 녹지 중심, 건물 중심, 녹지-건물 절충시나리오를 설정하고, ENVI-met을 사용하여 개별 시나리오별로 대상지와 대상지 주변 1 km 내 변화되는 풍속, 기온, 평균복사온도를 개발 시나리오별 내·외부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지 내·외부는 녹지 중심의 시나리오가 현 상태 유지 시나리오와 비교했을 때 계절별 평균 기온은 낮아졌고, 풍속이 빨라진 것으로 도출되었다. 여름철 최대 -0.73 ℃가 낮아지거나 1.5 ℃까지 상승될 것으로 예상되었고, 풍속은 시나리오에 따라 최대 210 m 범위까지 영향이 있었다. 또한, 녹지는 내·외부, 건물 배치 및 크기는 녹지보다 효과는 적으나 인접한 외부 공간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송현동 개발 방향에 대한 의사결정 지원 도구로써 도움을 줄 수 있고, 향후 환경영향평가 제도에 미기후에 대한 부분을 반영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In the city of high population density crowded with buildings, Urban Heat Island (UHI) is intensified, and the city is vulnerable to thermal comfort. The maintenance of vacant land in downtown is treated as a factor that undermine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poils the urban landscape, and decreases the economic vitality of the whole region.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n microclimate in the surrounding area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cenarios targeting the vacant land in Songhyeon-dong, Jongno-gu, Seoul. The status quo, green oriented, building oriented and green-building mediation scenarios were established and ENVI-met wa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pact of changes in wind speed, air temperature and mean radiant temperature (MRT) within 1 km of the target and the target site. The result of inside and 1 km radius the targeted area showed that the seasonal average temperature decreased and the wind speed increased when the green oriented scenario was compared with the current state one. It was expected that the temperature lowered to -0.73 °C or increased to 1.5 °C in summer, and the wind speed was affected up to 210 meters depending on the scenario. And it was revealed that green area inside the site generally affects inside area, but the layout and size of the buildings affect either internal and external area.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as a decision-making support tool for developing Songhyeon-dong area and to be used to reflect the part related to microclimate on the future environmental effects evaluation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