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인가구 문화예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최순화,Choi, Soonhwa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8

        본 연구의 목적은 「2019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1인가구의 문화예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자본, 경제자본, 건강 인식, 거주지역 등을 문화예술 소비의 선행요인으로 설정하였으며, 1인가구 1,755명의 문화예술관람, 문화예술교육, 인구통계학적 자료를 추출하여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 관람 횟수가 '0'인 응답자가 다수라는 자료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영과잉음이항 모형을 적용하였다. 1인가구의 학력은 순수 및 대중예술 관람 가능성과 횟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아동기 및 청소년기 문화예술 교육, 소득, 건강 인식, 거주지역은 문화예술 유형별 소비 가능성과 소비량에 선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여기에는 다양한 경험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1인가구의 고유한 특성이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1인가구에 집중하여 문화예술 소비의 결정변수를 파악함으로 관련 연구의 발전에 기여하고, 관련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끝으로 심리사회적 변수 도입 등 후속 연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culture and art consumption of one person households using 「2019 National Art and Culture Activity Survey」. Based on previous research, cultural and economic capital, health perception, and residence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1,755 single household data on cultural attendance, art education, and demographics were extra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model was employed as cultural attendance variable includes many zeros. It was found that educ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ultural attendance possibility and frequency. However, art education in childhood, income, health perception, and residence were found to have selective effects,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single households influences the findings. This study contributes to developing relevant research by focusing on the single households and provides implications to boost cultural consumption. Finally,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such as considering psychographic variabl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소비자의 브랜드 사랑 : 스턴버그의 삼각이론을 통해 본 소비자-브랜드 관계

        최순화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07 마케팅논집 Vol.15 No.4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사랑은 소비자-브랜드 관계 중 최상의 품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존 브랜드 관계 연구에서 주로 적용한 브랜드 애착을 포괄하는 상위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브랜드 사랑을 스턴버그의 사랑의 삼각이론을 바탕으로 사랑의 3대 요소인 친근감, 열정, 신뢰를 브랜드 사랑의 하위 차원으로 적용하여 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항목을 개발하였다. 또한 브랜드 사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브랜드 추억, 자아표현, 평가)과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결과적으로 브랜드 사랑은 소비자가 브랜드의 실수를 용인하고 인내하는 헌신적 관계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관계에서의 사랑의 개념을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적용함으로써 브랜드 관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뿐 아니라 소비자의 사랑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브랜드 관리자들에게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sumers' emotional relationship with brands, especially a relationship of love. 'Love' is the highest order among the types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s as consumers' love for a specific brand comprehends the concepts of brand preference and attachment, which were mostly referred to explain emotional relationships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Based on Sternberg's Triangular Theory of Love, this study applied three dimensions of love - intimacy, passion, and confidence - to explain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of love. It was found that consumers' love for brand is influenced by a consumer's memory with the brand, self-expressiveness of the brand, and the consumer's evaluation on the brand quality. Also brand love was found to influence brand commitment, that means consumers show understanding and mercy even when the loved brand falls in disgrace. This study contributes to develop theoretical base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to brand managers.

      • KCI등재

        여성 고령층의 디지털 정보 활용과 삶의 만족도 연구: 인터넷 서비스 이용을 중심으로

        최순화 한국여성경제학회 2022 여성경제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of the elderly female, who are perceived as digitally vulnerable,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among the subgroups. Using 「2020 Digital Information Gap Survey」, the sequential effects of self efficacy and perceived usefulness of elderly women on the use of Internet service and life satisfaction we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self efficacy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Internet service use, which had a posi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level of Internet service use, such as living information, e-commerce, financial transaction, and public services, was compared by age, education, and income groups. It was found that the groups of 70s or older, with an educational background below middle school, and with an monthly income of less than 3 million won showed significantly low usage of Internet services, especially in e-commerce and financial transaction service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activating Internet service use and resolving the digital divide of elderly women were proposed.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취약계층인 여성 고령층을 대상으로 디지털 정보 활용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하위집단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2020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를 사용하여 여성 고령층의 자기효능감, 지각된 유용성이 인터넷 생활 서비스 이용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순차적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유용성 수준이 높을수록 인터넷 서비스 이용 수준이 유의하게 높아지고, 이는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연령, 학력, 소득집단별 인터넷 생활정보, 전자상거래, 금융거래, 공공서비스 이용 수준을 비교한 결과 70대 이상, 중졸 이하 학력 집단, 소득 300만 원 미만 집단이 타 집단보다 유의하게 서비스 이용에 소극적이고, 특히 전자상거래, 금융거래 서비스에서 이용 수준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고령층의 인터넷 서비스 이용을 활성화하고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