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캠핑 브랜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BI) 구축 및 전략 - 감성·인지적 접근을 기반으로 한 빅 데이터 및 마켓조사를 중심으로 -

        최수아 ( Choi Soo-ah ),이애진 ( Li Ai-zhe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3 No.-

        오늘날 국내 캠핑인구는 500만이 넘었고, 캠핑관련 산업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미국, 유럽과 일본 등 캠핑선진국에 비해 다소 미흡한 캠핑 문화와 수입 캠핑브랜드의 높은 의존도가 문제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산 캠핑 브랜드의 정착과 글로벌화 브랜드 육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캠핑 브랜드 정체성 수립과 차별화 전략을 위한 자료 제공을 위해 감성·인지적 접근을 통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감성적 접근을 위해 ‘캠핑, 캠프, 캠핑 브랜드, 캠핑 디자인’을 키워드로 빅 데이터 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으며, 인지적 접근을 통해 해외 유명 캠핑 브랜드 17개와 국내산 브랜드 10개에 대한 마켓조사를 실시하였다. 빅 데이터를 통한 조사 결과 소비자들의 정보 교류 경로를 유추할 수 있었다. 캠핑 관련 연관어 및 마켓조사를 통해 브랜드 가치를 형성하는 주요 요소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세계적인 유명 브랜드의 경우 각자의 브랜드 정체성이 뚜렷하며 독자적인 브랜드 스토리와 로고 디자인, 상품 디자인, 색채를 구축하고 있었으며 일관성을 지니고 있었다. Nowadays, in Korea, the number of campers is increased over 5 million. Many Korean camping brands have excellent qualities however, a lot of times weak brand identities to be globally 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helpful sources to have strong brand identities, add more values based on related word research from big data and market research. The data is to be analysed by sensible & cognitive approaches. The keywords for the sensible research are ‘camping, camp, camping brand, and camping design’. Then 17 representative oversea brands and 10 Korean brands were analysed for the market researches. From related word research from big data, we can find out the thinking process of potential consumers, how people communicates to exchange information, and what can be the sources to add brand values. Also from the market researches, we were able to find that successful brands have distinctive brand identities, stories, logos with representable colors and they continuous produce signature designs and own way of color matching.

      • KCI등재

        캠핑 브랜드 아이덴티티(BI)의 가치 창출을 위한 연구

        최수아 ( Choi Soo-ah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6 No.-

        세계 캠핑시장 규모는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크게 성장하고 국내 캠핑 시장도 2000년 이후 급성장하였지만, 세계 시장에서 국내산 캠핑 브랜드의 인지도는 현저히 낮고 국내 시장에서조차 해외 수입 브랜드 의존도는 높다. 이에 선행 연구 고찰과 전문가 심층 면접을 통해 국내산 캠핑 브랜드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제안한다. 독자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BI) 확립, 적합한 브랜드 포지셔닝, BI의 실행, 관리 및 유지가 필수적이다. 또한 일관적인 BI를 유지하면서 시대 흐름에 맞는 트렌드와 소비자 추이를 반영하는 등 장기적인 비전을 갖고 투자하고 노력해야 한다. 브랜드 가치 창출의 성공 사례를 살펴보기 위해 총 6개의 해외 캠핑브랜드 콜맨, 스노우피크, MSR, 바우데, 힐레베르그, 피엘 라벤과 전통을 활용한 타 분야의 경우를 사적 고찰하였다. 이어 국내산 캠핑 브랜드 노스피크의 BI 리뉴얼을 통한 가치 창출과 신규 브랜드 개발을 통한 가치 창출을 도모할 수 있었던 사례를 소개했다. The world’s camping market has been growing centrally U.S. and European markets, and there also has been a rapid growth in S. Korea after 2000. However, Korean camping brands have not been successful in the overseas market, and also is not dominating the Korean market either. The biggest challenge for domestic brands is recognition of the brands according to studies and the specialist survey interview. Therefore, domestic companies need to focus on developing individual ‘Brand Identity’, a proper brand positioning, operating of practice, managing, and maintaining. Also with the continuation of keeping the same brand concept and identity, trends and customer needs will need to be applied on top of it. The researches on brand identities of internationally known successful 6 camping brands such as Coleman, Snow peak, MSR, Vaude, Hilleberg, Fjall raven and on successful brand stories with tradition are studies. Also, case studies on a camping brand renewal of Northpeak and a new brand development process have proceeded. The status of current Korean camping brands and suggested directions to add values were presented throughout the study.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복식문화의 근,현대화 과정에 나타난 미국화의 특성

        최수아(Soo Ah Choi) 한국복식학회 2011 服飾 Vol.61 No.3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from the traditional Korean Han-bok to today`s modernized fashion, The Republic of Korea received the most influences form the United States among other western countries. The U. S. A. was the primary country who helped to release S. Korea from Japanese colonization in 1945, and provided the most economic and military aids after the Korean War in 1950.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find out the traits of Americanization in modern Korean fashion through sociocultural evidences and reference pictures. The Americanization can be defined as the U. S. A. influencing cultures of other countries, and sometimes resulted in the substitution of a given culture with American culture. Americanization generally is a part of westernization. The analogous terms for Americanization, are Coca-colonization, McDonaldization, Starbuckslization, and Hollywoodization. The theories related to Americanization are theory of economic determination, global system theory, conspiracy theory, modernization theory, and theory of dependence. However, Americanization of Korea cannot be explained in one single theory, but only can be explained as a hybrid of two cultures. There also is a critical viewpoint of de-Americanization. Americanization of Korea were studied in three important chronicles, a period of modernization (1945-1950s), a period of industrialization & popularization( 1960s-1970s), and a period of consumerization(1980s-present). The traits of Americanization in the process of modernizing Korean fashion, were found as simplicity, functionality, popularity( kitsch & mimicry), anti-traditional ethics(unchastity & skin revealing), and materialism(lavishness & trends).

      • KCI등재

        논문 : 국내 신규 남성가방브랜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소재 및 디자인 개발 -(주)삼덕상공 신규 가방브랜드의 소재 및 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노승완 ( Seung Wan Roh ),최수아 ( Soo Ah Choi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산학연협력연구로 진행된 중소기업의 남성가방 경쟁력 강화를 위한 브랜드 기획의 1차년도 진행에 이은 2차년도 신규브랜드의 소재 및 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이다. 삼덕상공(주)은 60여 년 동안 피혁제품을 포함한 군수용품과 경찰용품을 생산했다. 그러나 본 기업이 기술력 축척으로 인해 국내 가방산업계로서의 충분히 도약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확실한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구축과 디자인력의 부재로 해외 및 국내 시장의 도약에 제약을 받고 있다. 이에 본 과제에서는 삼덕상공(주)의 신규 남성가방브랜드 컨셉에 부합하는 강성 자카드 개발과 기업에서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방검(방인) 용도의 아라미드 소재의 사용과 폐가죽을 활용한 디자인적 적용 방안이 개발되었다. 또한 브랜드 컨셉에 부합하기 위해 클래식(Classic), 캐주얼(Casual), 기능성(Functional)의 세 개 라인의 디자인 시제품 개발이 진행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침체되었던 국내 남성가방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본연구가 중소기업의 전략적 기획에 대한 사례의 자료로서 사용되기를 기대 한다. This is a case study of an academic-industrial cooperative work regarding to the new man`s bag brand, and specifically about the 2nd year work process, which are material and design developments. A medium sized company, Samduk commerce Inc. in Korea, has over 60 years of experiences in manufacturing leather goods for Korean armies and police officers. The company already has a men`s bag brand, and was recognized with its high qualities, however, stronger identity for the brand and the resources of designs are needed. This project is proceeded to launch a new brand with stronger identity, and create representative designs which will later promote to be a successful global brand. This study is about the second year process to develop a new fabric(more durable Jacquard), trying new methods of using aramid fiber, and leather left pieces to make environmental friendly products. The designs are developed in three classic, casual and functional lines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 The cooperation of academic and industry is still on process to continually develop identified designs for this new brand "Jefyll". This study will distribute as a case study to promote medium to small sized bag companies in Korea.

      • KCI등재

        레이 카와쿠보의 패션에 나타난 일본 전통복식 미학 특성 연구

        이애진(Ai Zhen Li),최수아(Soo Ah Choi) 한국복식학회 2015 服飾 Vol.65 No.8

        This study is a theoretical research based on prev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es. The case study proceeded by collecting images from periodicals such as International Men``s magazine GQ, First of all website(www.style.com) and Vogue website(www.vogue.com) were viewed. The images were selected had shapes, colors, and motives with Japanese aesthetic traits from Comme des Garcons’ men``s Collections of 2011 F/W to 2016 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ossible sources of forms and expressive methods of future fashion through Japanese traditional aesthetics of Rai Kawakubo’s fashion world. Designers are expected to continue on using traditional aesthetic beauties of other countries as sources of modern fashion.

      • KCI등재

        중국 전지공예(剪紙) 기법 분석 기준에 따른 현대 패션디자인의 사례 연구 - 2015 S/S ~2019 S/S 컬렉션을 중심으로 -

        순샤오동 ( Sun Xiaodong ),윤지영 ( Youn Ji-young ),한정민 ( Han Jung-min ),최수아 ( Choi Soo-ah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9 No.-

        본 연구는 중국 전통 전지공예 기법에 대한 고찰과 이를 바탕으로 현대 패션에 표현된 사례를 전지공예 기법의 고유 특성에 따라 분석하고자 했다. 서적과 선행 연구를 통해 중국 전통 전지공예 기법을 분석한 후, 현대 사례로는 vogue.com의 최근 5년 컬렉션 자료를 사적 고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첫째, 전통 전지공예 표현기법의 단색전지는 양·음각을 주기법으로하며 현대 패션에서 세밀한 강약 대비효과를 표현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 패션디자인의 예술적이면서 세밀한 장식적인 효과를 전달할 수 있다. 둘째,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디자인 사례를 전통 전지공예 기법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고 그에 따른 대표적 미적가치를 찾을 수 있다. 셋째, 전통 전지 공예 기법 분석과 현대 패션디자인 적용 사례 분석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 종사자들에게 창의적이고 무한한 활용 가능성을 제공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inspected the Chinese traditional paper cutting methods than based on the findings, the techniques and forms of shape of modern fashion were analysed, then analyzed their characteristics. The tradition paper cutting methodology was studied from books, and earlier studies, the case studies of modern fashion were collected from last five collections viewed from the webpage-vogue.c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a following: firstly, Yin and Yang carving of monochrome paper cutting technique was often used to express the delicate contrast beauty in modern fashion designs. They were be able to convey artistic and decorative effect of Modern fashion design. Secondly, we found out the own aesthetic values from modern fashion design cases which were analysed by the Chinese paper cutting methodologies. Thirdly, Chinese paper cutting provided unlimited creativities and possi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can provide a solid foundation to inherit the technique and multidirectional developments in various design field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