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화장품의 역사와 광고

        최송윤,장한준,이제백,이환명,김도윤,박주훈 호서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7 기초과학연구 논문집 Vol.25 No.1

        현대 화장품의 주된 목적은 신체를 청결히 하고, 인간의 본능적 욕구로 메이크업 등에 의해 자신을 매력있고 아름답게 표현하여 마음을 풍요롭게 하며, 아름답게 나이를 먹으면서 쾌적한 생활을 즐기는 것이다. 그렇다면 인간이 화장을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일까? 본 논문에서는 동,서양의 화장품 역사를 시대별로 분석하여 살펴보고, 화장품의 정의와 광고의 정의에 대하여도 알아보았다. 또한 화장품에 대한 일반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러 대상에 대한 화장품들이 출현하였다. 이에 따라 화장품의 시장은 성장하게 되었고, 또한 산업화에 의해 화장품 시장은 확대되어 많은 회사들이 다양한 화장품을 출시하기 시작하였다. 화장품 광고는 마케팅과 수익에 큰 기여를 하기 떄문에 화장품 시장의 확대와 함께 광고가 같이 성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대별 화장품 역사와 화장품 광고를 병행하여 살펴보았다.

      • KCI등재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 추출물의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미백활성 검증

        최송윤,이제백,염현지,오민정,이진영 한국생명과학회 2024 생명과학회지 Vol.34 No.2

        본 연구에서는 차가버섯의 미백 활성 검증을 통하여 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차가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도도 증가하였으며 1,000 μg/ml 농도에서 82.1%의 우수한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미백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활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MTT assay를 통해 멜라노마 세포(B16F10)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100 μg/ml 이하 농도에서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세포 관련 실험은 25, 50, 100 μg/ml 농도에서 진행하였다. B16F10 cell에 차가버섯 추출물을 처리하여 멜라닌 합성과 관련된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성에 따라 모든 인자에서 단백질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100 μg/ml의 농도에서 TRP-1, MITF는 40.1%, 64.2%의 발현량을 나타내었고 tyrosinase 및 TRP-2는 arbutin 보다 단백질 발현 저해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멜라닌 합성 관련 mRNA 발현 측정을 위해 B16F10 세포에 차가버섯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mRNA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차가버섯 추출물이 미백 활성을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various whitening activities of Inonotus obliquus were assessed for potential use as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When measuring electron donating ability to confirm the antioxidant ability of I. obliquus extract, increased activity was observed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and it was found an outstanding antioxidant capacity of 82.1% at a 1,000 μg/ml concentration. Also,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related to a whitening effect, was found to have inhibitory activity that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viability of melanoma cells (B16F10) using an MTT assay showed cell viability of more than 80% at concentrations below 100 μg/ml. Therefore, cell-related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25, 50, and 100 μg/ml concentrations. By measuring protein expression related to melanin synthesis via treating B16F10 cells with I. obliquus extract, it was confirmed that protein expression was inhibited in all factor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TRP-1 and MITF appeared by 40.1% and 64.2% amount of expression, respectively, at 100 μg/ml concentrations, and tyrosinase and TRP-2 were verified as having better protein expression inhibition than arbutin. In measuring mRNA expression related to melanin synthesis by treating B16F10 cells with I. obliquus extract, it was confirmed that mRNA expression was suppressed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I. obliquus extract has excellent whitening activity and could be used as a cosmetic mater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