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모 향상을 위한 한약재의 개발 및 효과 확인

        최선경(Sunkyung Choi),조남준(Namjoon Cho),김기광(Kee K. Kim) 한국생물공학회 2016 KSBB Journal Vol.31 No.4

        Hair loss affects both men and women of all ages and often significantly affects social and psychologic health. Recent therapeutic approach for hair loss such as finasteride and minoxidil focused on regulation of hormonal system blood flow. However, long-term use of these drugs caused adverse effects. To develop herbal medicine for therapeutic effect on hair growth, here we screened the 10 medicinal herbs (Red ginseng, Licorice, Ulmus, Barberry root, Lycium root, Rehmanniae radix crudus, Sophora root, Sweet flag, Polygala root, Achyranthes) based on oriental medicine literature. We measured cytotoxicity, anti-oxidant activity, and 5-α reductase inhibitory effect of the herbal medicine on human dermal papilla (DP) cells to investigate therapeutic effect of the herbal medicine. Treatment of the 1% herbal medicine did not show any cytotoxic effects, and cell growth was increased by treatment of the 0.1% herbal medicine. In addition, the herbal medicine showed stronger antioxidant activity than resveratrol and comparable inhibitory activity of 5-α reductase with finasteride. Furthermore, when applied to in vivo mouse model, we also observed increases in the number and length of hair of the herbal medicine-treat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erbal medicine promotes hair growth by its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activity of 5-α reductase and might therefore be a promising hair growth-promoting agent.

      • KCI등재

        북·중 접경지역의 국경 형성과 ‘조선인’의 혼종성

        최선경(Choi, Sunkyung)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9 亞細亞硏究 Vol.62 No.1

        이 글은 북·중 접경지역의 ‘조선인’ 집단이 근대 국가의 생성과 함께 각각 북한과 중국의 공민으로 자리잡는 과정을 추적하면서 조선인 혼종성의 면면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인’은식민시기 전후 한반도에서 만주로 이주한 사람들과 그들의 후손을 지칭한다. 기존 연구들은 글로벌 이주의 맥락에서 이주민들의 혼종성에 주목해왔다. 그러나 북한과 중국에 거주하는 조선인 집단은 초국적 이주의 결과라기보다 국경이 지역 거주민을 가로지른 양상으로 설명될 수 있다. 식민시기 만주 조선인은 일본제국과 다수의 인구 집단인 중국인 세력 사이에서 위치한 종족 집단으로 자리를 잡았다. 해방 이후, 북한과 중국이 성립되고 냉전과 국경 형성이 맞물린 국면에서 조선인 집단은 각각 북한의 중국연고자와 중국 조선족이라는 국가적 경계로 나뉘어졌지만, 사회주의 형제국이라는 묶임이 교차하는 특수한 범주로 존재하게 된다. 북·중의 국경이 강화되는 과정에서도 오랜 역사에 걸쳐 형성된 이동성과 양국 간 사회주의 혈맹 관계는 지역의 거주민들에게 국가 정체성과 종족 정체성이 경합하는 유동의 공간을 허락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조선인’의 혼종성이 북·중 접경지역의 현지화된 실천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identification process and its hybridity of the Koreans who were ethnic Korean migrants in the colonial-era and their descendants in the Sino-North Korean borderland, tracing the trajectories of bordering process in this area. The existing literature has focused on the hybridity as a result of current migration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However, it has not paid sufficient attention how the geopolitical border crossed the residents in the borderland. ‘Koreans in Manchuria’ was an in-between ethnic group between Japanese empire and Chinese people who made up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throughout the colonial era in the region. At the intersection of post-colonial, Cold War and state-building project, Korean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North Korean retrun migrants from China and Korean-Chinese. At the same time, these two groups remained as a special category through the socialist brotherhood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Historical mobility and socialist blood alliance between two countries gave the residents flexible space, allowing them the ability to negotiate their belonging. This paper argues that hybridity of ethnic Koreans is based on localized practices in the region.

      • KCI등재

        `조선민족` 개념의 형성과 변화

        최선경 ( Choi Sunkyung ),이우영 ( Lee Woo Young ) 북한연구학회 2017 北韓硏究學會報 Vol.21 No.1

        연구는 북한 문헌을 분석함으로써, 북한의 `민족` 개념의 변천 과정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건국이래, 북한은 `민족` 개념을 변화시켜 왔으며, 이는 북한의 대내외적 전환점을 반영한다. 북한의 `민족` 개념의 원형은 스탈린의 민족 이론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1970년대 이후 북한의 `민족` 개념은 탈(脫)스탈화 과정을 거쳐, `혈통` 요소를 강조하게 되었고, 1980년대 정립된 개념 정의가 현재까지 이어져 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90년대에 들어서는, 민족 범주를 해외 동포로 확장하였고 조선민족을 동일한 인종으로 구성된 단일민족임을 주장하였다. 또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단군 신화`를 (재)창조하기에 이른다. 북한의 `민족` 개념 (재)구성은 전통의 발명을 통한 `근대 국가 건설`의 과정이자, `초국가적 민족 만들기`의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Minjok` in North Korea by analyzing related texts and documents diachronically. North Korea has changed the notion of `Minjok`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state, which reflected internal and external shifts. The origin of the `Minjok` concept stems from Stalin`s nation theory. However, since the 1970s, the concept was in the process of eschewing Stalin`s theory, instead, the element of `blood relation` was added and emphasized. The notion of `Minjok` which was formed in the 1980s has been maintained throughout the present. Since the 1990s, the range of `Minjok` was extended to overseas Koreans and `Choson Minjok` was described as a `homogeneous nation.` In the process of making `Minjok`, North Korea (re)created `Dangun` myth in order to support its homogeneity. The (re)construction of the `Minjok` concept in North Korea is a process of building a modern state and making a transborder `Minjok` by the invention of tradi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