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메타버스 소비자 가치와 브랜드 태도 연구: 브랜드 사랑과 관여도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미연 ( Choi Miyeon ),박진성 ( Park Jinseong ),이형석 ( Lee Hyungseok ) 한국소비자학회 2024 소비자학연구 Vol.35 No.3
최근의 브랜드는 메타버스 특성을 반영한 마케팅 전략으로 소비자에게 가상 경험을 제공하여 소비자와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소비자의 긍정적인 브랜드 경험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브랜드에 대한 강한 사랑의 감정, 유대감, 애착 등의 감정으로 연결된다. 이에 본 연구는 메타버스 내에서 경험하는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를 기반으로 브랜드 태도의 관계를 검증하고, 그 과정에서 사랑의 삼각이론(친밀감, 열정, 신뢰)과 관여도의 관계를 실증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SPSS PROCESS macro model(80)을 통해 분석한 결과, 소비자의 가치는 친밀감, 열정, 신뢰와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관여도와 브랜드 친밀감, 열정, 신뢰의 다중매개효과 검증 결과, 관여도와 브랜드 친밀감, 신뢰는 브랜드 태도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지만 열정은 유의하지 않은 관계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메타버스의 경험 가치를 가치기반수용모델의 이론적 틀로 하고, 사랑의 삼각이론을 적용하여 가상환경 내 소비자 경험에 따른 지각된 가치와 브랜드 사랑, 관여도를 통합적으로 고찰한 데에서 연구의 확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실무적으로는 소비자의 가상 경험으로 형성되는 브랜드 사랑, 특히 열정을 유발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의 수립 필요성을 제기하며, 소비자와 브랜드 관계에 있어 친밀감과 신뢰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유지할 수 있는 전략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years, brands have been using marketing strategies incorporating metaverse characteristics to form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through virtual experiences. Positive brand experiences foster strong feelings of love, bonding, and attachment to the brand.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attitudes and consumers' perceived value within the metaverse,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iangular Theory of Love (intimacy, passion, and trust) and involvement. Results from the SPSS PROCESS macro model(80) revealed that consumer value significantly related to intimacy, passion, and trust. The mediation effect test showed involvement, brand intimacy, and trust significantly mediated brand attitude, while passion did not. This study extends research by using metaverse experience value within the Value-Based Adoption Model and applying the Triangular Theory of Love to examine perceived value, brand love, and involvement in virtual environments. Practically,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marketing strategies that trigger brand love, especially passion, through consumers' virtual experiences. It also provides strategic implications for continuously strengthening and maintaining intimacy and trust in consumer-brand relationships.
최미연(Miyeon Choi),문덕수(Deoksoo Moon),김현주(Hyeonju Kim)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본 연구에서는 VMD(Vaccum Membrane Distillation)의 유입수의 온도와 농도를 달리하였을 때의 생산수의 성분 변화를 살펴보고, VMD 생산수를 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에 적용할 경우 용수로써 적합한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열에 의한 상변화와 분리막 기술을 결합한 해수 담수화 기술인 막증류 기술(Membrane Distillation, MD)은 소수성 분리막을 중심으로 온도차에 의한 증기압을 구동력으로 사용하는 공정이다. 이 때 투과측에 진공압을 걸어 주어 생산수를 얻는 형태가 VMD이다. VMD는 기존의 증발법에 비해 낮은 온도로 운전가능하며, RO 공정에 비해 운전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량이 적고 100%에 가까운 염제거율을 가진다. 또한 유입수의 염분 농도에 생산수의 수질이 크게 변하지 않아 고농도의 염분을 가진 농축수를 처리하기에 적합하다. 물 전기분해에 의한 수소 제조기술에는 PEM형수전해, 고온수증기전해, 알칼라인수전해 등이 있으며, VMD 생산수를 이들 기술에 적용하여 수소 생산가능성을 알아보았다. In this study,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the produced water when the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of the influent of VMD(Vacuum membrane distillation) were changed were examined, and whether VMD produced water was suitable as water when applied to water electrolysis for hydrogen production was analyzed. Membrane distillation(MD) is a seawater desalination technology that involves phase change via heat and membrane technology. The driving force behind MD is the vapor pressure generat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ides of a hydrophobic membrane. VMD is a derivative technology used to desalinate seawater by generating vacuum pressure on the permeate side. VMD can be carried out at lower temperatures compared to evaporation methods, and it consumes less energy than RO process. Also, it is suitable for the treatment of concentrated water with a high salt concentration, because the quality of the water obtained after distillation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salinity of the feed water. Hydrogen production technology by water electrolysis includes PEM-type water electrolysis, hot water steam electrolysis, and alkaline water electrolysis, and the possibility of hydrogen production was investigated by applying VMD production water to these technologies.
사회적 신뢰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언론인 평가와 뉴스정보 신뢰도, 정치사회 관심도를 중심으로
최미연 ( Choi Miyeon ),이형석 ( Lee Hyungseok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24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8 No.1
Trust in media continues to decline, particularly when media fails to meet public expectations of responsibili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erplay between perceptions of media issues, evaluations of journalists, and trust in news, and their collective impact on social trust. Utilizing data from the 2023 Media Acceptanc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Press Promotion Foundatio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evaluations of journalists and trust in new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media issues and social trust. Furthermore, the audience’s level of interest in political and social affair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urnalist evaluations and social trust. Conversely, interest in politics doe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news and social trust.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critical need to reinforce trust in contemporary society by enhancing the overall reliability of media and news, and ensuring that media roles are in line with societal expectations. 언론의 신뢰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 언론 신뢰는 사회적 신뢰를 형성하여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데에 있어 주요 요인으로, 언론 신뢰의 기반인 언론 및 언론인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중요하게 다뤄져왔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신뢰 형성에 있어 미디어 수용자가 인식하는 언론문제 인식과 언론인에 대한 평가 및 뉴스정보 신뢰도, 수용자의 정치사회 관심도의 통합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실시한 <2023 미디어수용자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SPSS PROCESS macro를 통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언론문제 인식이 부정적일수록 사회적 신뢰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론문제 인식과 사회적 신뢰 관계에서 언론인 평가와 뉴스정보 신뢰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언론인 평가와 사회적 신뢰 간 관계에서 언론 수용자의 정치사회 관심도에 따른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뉴스정보 신뢰와 사회적 신뢰 간 관계에서 수용자의 정치사회 관심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현대 사회에서 신뢰가 갖는 의미와 사회의 발전을 위한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언론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사회적 기대를 투영하여 언론 및 언론인, 뉴스정보에 대한 전반적인 신뢰도를 향상시켜야함을 강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