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Individual Learning and Team Atmosphere

        Mahl Geum C. Choi(최맑음),Hyun Chin(진현),Eunmi Chang(장은미)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16 연세경영연구 Vol.53 No.1

        개인의 성향(orientation)은 행동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로 다루어져 왔으며, 이것은 학습(learning) 영역에서도 의미 있게 연구되었다. 즉, 개인의 학습지향성이 높을수록 학습행동도 증가한다는 논의가 이루어져왔다. 개인의 학습지향성과 학습행동의 관계는 비교적 명확한 주장이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학점과 같은 개인 목표를 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방식으로 실증하였다. 그러나 개인 목표가 아니라 회사 전체의 목표 달성이 중요한 기업을 대상으로 한 개인의 학습성향과 행동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대기업의 엔지니어들을 대상으로 실제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개인의 학습활동을 실증하되, 기업 내 팀의 영향을 받는 상황 변수를 포함하여 다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26개 팀의 569명의 엔지니어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학습성향과 학습행동은 개인수준에서, 상사의 지원과 심리적 안정감은 팀 수준에서 위계적 선형 모델을 수립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의 학습지향성이 증가할수록 학습행동이 증가하였다. 또한 학습지향성과 학습행동간의 정적 관계를 팀 내부의 심리적 안정감이 더욱 강화시켜 주고 있음을 실증하였다. 반면, 상사의 지원은 학습지향성과 학습행동간 관계를 조절하지 않았다. 이 결과에 대한 해석과 시사점을 다루었다. An individual’s learning goal orientation has been regarded as a strong determinant of learning behavior. However, in a team-based work environment where team members frequently interact with colleagues and a supervisor to perform projects, contextual factors also play critical roles in shaping learning behavior. Using a sample of 569 engineers from 26 teams in an electronic components company, the present research has examined the effects of two team-level moderators, supervisory support and psychological safety. After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was executed, the results showed that a team’s psychological safety enhanced the impact of learning goal orientation on learning behaviors, while supervisory support did not. This suggests that learning goal orientation triggers effects on learning behaviors in team whose members perceived high level of psychological safety more than in teams perceiving low level of psychological safety. Th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team atmosphere of allowing mistakes as well as being open to diverse opinions and ideas. The shared psychological safety belief perceived from the atmosphere enhances learning behaviors of members who possess learning goal orientation. Interpre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included.

      • KCI등재

        MTM 환경하에서 리더의 임파워먼트가 구성원의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은미(Eunmi Chang),진현(Hyun Chin),최맑음(Mahl-Geum Choi) 한국인사조직학회 2021 인사조직연구 Vol.29 No.1

        환경 변화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임파워먼트나 창의적 행동과 같은 이슈들은 더욱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나아가서, 요즘은 MTM(Multiple Team Membership) 현상이 보편화되어 한 구성원이 하나의 팀에만 소속되지 않고 동시에 여러 프로젝트 팀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 산업 불문하고 MTM의 증가는 눈에 띄지만, 특히 지식 근로자들의 경우에는 더욱 두드러진다. MTM은, 한 구성원이 동시에 여러 팀에 관여하는 상황인데, 각 팀은 각각의 리더가 관리하기 때문에 한 팀원은 동시에 여러 명의 리더와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임파워먼트 관련 논의들은 한 명의 리더를 전제로 하고 있어서 같이 MTM으로 변화된 현상을 잘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MTM에서는 팀의 활동 목표, 고객, 활동 시기 등에 있어서도 차이가 많아서 상황이 복잡할 수 있다. 여러 개의 팀에 관영한다는 것은 업무 과다, 시간 결핍, 역할 갈등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20세기 중반 Simon의 논의에서 시작된 관심이론(Attention-based view)는 이러한 현상에 가장 적절한 이론적 시각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 이론은 업무 환경에서 구성원들의 관심의 초점과 분산이 그들 행동의 가장 핵심적인 원인이 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관심이론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MTM 상황에서 팀원들이 인지하는 대표 리더의 임파워먼트가 창의적 행동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MTM의 여러 특성들이 이러한 효과를 어떻게 조절하는 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사회과학분야의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2019년 5월에서 7월 중에 서베이를 실시하였고총 423명을 대상으로 MPlus를 활용하여 경로모형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대표 리더의 임파워먼트 인지는 창의적 행동에 의미있는 효과를 보이는데, 그 과정은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다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MTM 요소들 중에서는 역할 갈등이 부정적인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시간배분인지는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부분적으로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리더십 논의와 관심 이론을 병합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Leader empowerment and employee creativity are critical sources of organizational competitive advantage in today’s turbulent business environment. Accordingly, these issues have been widely explored in previous studies but have not been considered within a multiple team membership (MTM) context. MTM has grown rapidly, and is now a popular form of management practice, especially in knowledge-intensive jobs that require employees to undertake complex, uncertain, and non-routine projects. MTM represents simultaneous affiliations with several project teams, indicating exposure to several leaders, colleagues, roles, and atmospheres. Thus, leadership effects may vary along with the dynamics created by MTM contexts. In the present research, we relied upon the attention-based view as the overarching theory and empirically examined the research agenda with a sample of 423 professional researchers. Using the Mplus 7.4 statistics package, we found results supporting our assertion that the mediation processes of the focal leader’s empowerment leads to creative employee behaviors via their perception of creative self-efficacy. Among the MTM factors, role conflicts negatively moderated the effect of the focal leader’s empowerment on creative self-efficacy, while the positive moderation effect of time allocation was marginally significant. The results support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MTM context in understanding empowerment and creativity.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are inclu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