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랑가>의 구성과 변화

        최동현 ( Choe Tong Hyon ) 판소리학회 2015 판소리연구 Vol.39 No.-

        이 논문에서는 창으로 불려진 <사랑가>를 대상으로 하여 그 내용과 구성 그리고 통시적 변화를 밝히려고 하였다. 그 결과 <사랑가>는 선정성의 제거와 대중의 재미 또는 흥미 유발이라는 두 가지 가치 사이에서 갈등하면서 발전된 것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선정성 제거를 위해서는 육체적 사랑을 표현하는 ‘말롱질’과 ‘어르는 노래’, 성행위를 연상시키는 ‘궁 자 노래’를 빼거나, ‘옷 벗기기’를 마지막에 배치함으로써 <사랑가> 전체를 ‘말로 하는 <사랑가>’로 바꾸었다. 그러나 선정성을 모두 제거해 버리면 재미 또는 흥미가 반감되어 버린다. <사랑가>에 대한 흥미는 어느 정도 선정성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응민 바디에서는 ‘말롱질’을 제거하면서도 ‘어르는 노래’를 살려두었으며, 정정렬 바디에서는 ‘사후 기약’에서 가장 선정적인 ‘맷돌 노래’를 남겨 두었다.또 한 가지 일관된 흐름은 보다 정상적인 남녀관계를 지향하는 방향으로의 흐름이다. 그래서 기방 풍속을 연상시키는 ‘태도 보기’를 대부분의 <사랑가>에서 뺐고, 이 도령을 ‘내 사랑’에서 정식 부부 관계에서나 쓸 수 있는 ‘낭군’, ‘서방’ 등의 호칭으로 바꾸었다. 그러면서도 ‘태도 보기’를 일부에서 끝까지 남겨 두기도 했다. 아무리 자유연애가 널리 퍼진 사회적 풍조를 고려한다고 해도 두 사람의 관계를 정상적인 관계라고만 우겨댈 수 없는 갈등이 그 관계 속에 내재해 있기 때문이다. 결국 현존 <사랑가>는 그러한 갈등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find out the contents, compositions and diachronic changes of Pansori Sarangga(Love Song). To conclude, Sarangga was developed in the conflicts of two opposite values. The one is to eliminate the lasciviousness and the other is fun or enjoyment in its literature.To eliminate the lasciviousness, the parts of literature those express physical love were eliminated, And a certain section of Sarangga was rearranged to make it innocent. But in some Sarangga lascivious part was still left. This was a strategy that not to lose the fun or enjoyment of Sarangga.Another consistent direction is the change of expression of Sarangga literature toward a normal relationship between Chunhyang and Master Lee. So most parts of the Sarangga literature those express the situation of entertainment establishment were removed. The name that Chunhyang calls Master Lee was changed from ‘my love’ to husband.And yet the play that expresses the behaviour in the entertainment establishment were remained in some Literature.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Chunhyang and Master Lee was not able to entirely accepted in spite of the change of society. So the Sarangga in existence is the results of those conflicts.

      • KCI등재

        판소리 완창의 탄생과 변화

        최동현 ( Choe Tong Hyon ) 판소리학회 2014 판소리연구 Vol.38 No.-

        우리 시대 가장 중요한 판소리 공연 방식의 하나로 자리잡은 완창은 판소리사의 초기부터 있었던 공연 방식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판소리의 서사적 구조, 당시의 공연 관습이나 장소 등을 통해서 짐작할 수 있다.근대적인 판소리 공연은 서양식 무대에서 시작된 이른바 ‘협률사’ 공연이었다. 처음에 이 공연 방식은 장안사나 광무대와 같은 극장 무대에 여러 명의 남녀 소리꾼이 동시에 출연하여 일부분씩 부르는 방식이었다. 1920년대 후반에는 ‘명창대회’라는 것이 등장한다. 명창대회의 장소는 극장인데 한꺼번에 여러 명창들이 출연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명창대회는 협률사 이후 계속된 극장식 공연으로 다수의 다양한 종목의 창자들이 출연하는 옴니버스 공연 형태였다.몇몇 증언을 통해서 알 수 있는 해방 후의 공연 상황은 다음과 같다. 우선 공연장은 가설 무대나 극장, 혹은 창고였지만 근본적으로는 프로시니엄 무대였다는 것, 1부와 2부로 나누어 1부에서는 승무, 병창 혹은 기악, 토막 판소리, 잡가, 대가의 판소리 등을 부르고, 2부에서는 단막극이나 남도잡가를 불렀다는 것이다. 해방 후의 협률사식 공연은 이처럼 거의 유형화되어 있었다. 판소리 창자들은 자기가 잘하는 대목을 항상 부르니까 다 잘 부를 수밖에 없었지만, 날마다 반복되는 공연의 청중들은 매번 달라지므로 공연 종목 또한 바꿀 필요가 없었다. 그래서 판소리는 이제 토막소리밖에는 부르지 않게 되었다.1960년대 들어 판소리는 절멸의 지경에 이른다. 이러한 상황에서 박동진은 1968년 9월 30일 판소리 완창을 창안한다. 박동진에 의해 창안된 판소리 완창은 멸실 위기에 처한 판소리에 대한 관심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완창에서 판소리의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였고, 소리꾼들도 희망을 가지고 너도나도 완창을 시도하였다. 이는 판소리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었다.판소리에 대한 관심의 고조에 발맞춰 뿌리깊은나무사에서 시도한 판소리 감상회는, 완창은 아니지만 전판 공연을 함으로써 잃어버렸던 온전한 판소리 작품의 복원에 결정적인 공헌을 하였다. 그 후 판소리 완창은 소리꾼이라면 응당 거쳐야 할 필수적인 과정이 되었다. 이를 대표하는 것이 국립극장 완창 판소리 발표회이다. 국림극장 완창 판소리 발표회는 1985년 3월 30일 성창순의 <심청가>로부터 시작하여 2013년 12월 31일까지 총 255회를 공연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중후반에 이르면 판소리 완창은 얼마나 어린 나이에, 얼마나 긴 시간을 부르는가를 다투는 기록 경쟁처럼 되어 버렸다. 당연히 판소리 완창의 효용에 문제가 제기되었다.판소리 완창은 판소리 창자들에게는 전판을 한 자리에서 공연할 수 있는 공력을 닦게 하고, 판소리 경연대회나 판소리 공연의 양상을 바꾸어 놓았으며, 수많은 명창과 명고수, 귀명창이 탄생하게 하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하였다.그러나 판소리 완창은 판소리 본래의 공연 방식이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창에 집착하다보니 예술성은 망각되고 공연자의 나이와 공연 시간이 관심의 주된 대상이 되어 버렸다. 전통 판소리는 사적인 공간에서 시간 제약 없이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판소리가 한 자리에서 다 부르기에는 너무 긴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그런데 이를 공적인 공간에서 한 번에 다 부르려다보니 자연히 여러 가지 문제를 노정하게 되었다.판소리 완창은 이제 그 형식의 변화를 꾀할 때가 되었다. 소리꾼이나 고수나 청중이나 편안한 가운데 판소리의 예술성을 최고도로 발휘하고 음미할 수 있는 새로운 완창의 양식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것은 판소리 본연의 특성을 회복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나 현대 판소리는 전통 시대와는 다른 환경에 놓여 있다. 따라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만 한다. 단속적(斷續的) 완창이 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birth and change of pansori full version singing performance(완창).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s.The full version singing performance of pansori was not original style of pansori performance. That could be easily assumed by the structure, performance conventions and performance place of pansori. Major pansori performances from formative period to the end 19th century were partial pansori singing performance(부분창). And full version singing performance was secondary.The modern pansori performance started on the western style theater called Hyeomryulsa(협률사) in 1902. The partial pansori singing was performed on that stage. The western style performance could not accept the full version pansori. singing performance. The full version of pansori. is too long to perform at once on one stage. So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almost of all pansori performance was partial singing performance, which was performed in western style theater with other traditional musics and dances. We can call it an omnibus performance.Around 1960's, pansori. was at the brink of death. Because the audience of pansori were continually decreasing on the one hand, and the singer who can sing a full version pansori became sparse on the other hand. In 1968, Bak Dong-jin tried full version pansori singing performance. It won a great success. It brought about a sensational attention. After that performance many full version pansori singing performance were designed like as Ppurigipeunnamu(Deep Rooted Tree) Pansori Concert, Gungnipgeukjjang(National Theater) Pansori Full Version Concert, etc. Ppurigipeunnamu(Deep Rooted Tree) Pansori Concert contributed to reestablish the full version pansori. Gungnipgeukjjang(National Theater) Pansori Full Version Concert started in 1984. It has won the most authoritative full version pansori concert for 30 years.In the middle of 1990's, pansori full version singing performance changed. The age of the singers became younger and younger. At last, the elementary schoolchildren comprised the most part of that performance. So, many people claim that pansori full version singing performance should be changed.In this study I suggested a serial singing performance as an alternative. It would be the true to the nature of pansori and make pansori performance more artistic.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문화 변동과 판소리

        최동현 ( Tong Hyon Choe ) 판소리학회 2011 판소리연구 Vol.31 No.-

        이 논문은 판소리의 공연문화의 변동과 판소리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씌어졌다. 이 논문에서는 이전의 연구 결과를 충분히 활용하면서 현상을 기술하는 데 그치고자 하였다. 다만 20세기 이후 전체를 아우르던 쇠잔기는 1964년을 기준으로 쇠잔기와 보존기의 둘로 나누어 각 시기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첫째 시기는 판소리의 형성기인데, 이 시기의 판소리는 제의에서 놀이로 존재했다. 문희연을 비롯한 특별한 행사에 그 행사를 빛내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가지 놀이 중 하나로 판소리가 향유되었던 시기였다. 공연장소는 전정이었다. 두 번째 시기는 전성기로서 1902년까지인데, 이 시기의 판소리는 중상층의 오락과 유흥에서 노래로 향유되었다. 판소리가 그 자체로 향유되기 시작하면서, 판소리는 예술적으로 크게 발전하였고, 이 과정에서 이름을 얻은 사람들이 명창으로 이름을 남겼다. 공연장소는 방중으로 바뀌었다. 세 번째 시기는 쇠잔기로서 1902년부터 1964년까지이다. 이 시기에 판소리의 공연장소는 극장이 되었으며, 공연 종목은 창극, 또는 협률사 형태로 다른 공연 종목과 함께 공연되었다. 향유층은 일반 대중이 되었고, 판소리는 흥행 예술이 되어 상품으로 존재했다. 이 시기의 끝에 판소리는 여성국극을 끝으로 판소리는 완전히 몰락하였다. 그리하여 판소리는 상품으로서의 존재 가치를 완전히 상실하게 되었다. 네 번째 시기는 보존기로서 국가가 판소리의 보존과 전승에 관여하게 된 시기이다. 이 시기의 판소리는 민족문화 유산으로 그 가치가 재발견되어 고급예술이 되었다. 공연장소는 극장이었으나, 완창발표회라는 양식이 도입되어 판소리 단독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부르는 형식이 유행하였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설립된 기관에서도 판소리와 창극을 공연하였다. 이 시기 청중은 각성된 지식인과 학생이 주류를 이루었고, 원형 유지를 중요한 원칙으로 삼아 사진소리가 유행하게 되었다. 각급 교육기관에 판소리 전공을 두어 학생을 가르치게 된 것도 이 시기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이다. 이 시기 판소리 공연의 가장 큰 특징은 무료 혹은 거의 무료로 공연된다는 점이다. 이제 판소리는 자생력을 완전히 잃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지원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완전히 잃고, 더불어 판소리로부터 감흥을 느낄 수 있는 적극적 향유층도 갖지 못한 판소리가 언제까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에 힘입어 생존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판소리 관련자들의 대오각성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lo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e of pansori performance and the pansori itself.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former studies were fully adopted. Therefore in this study I am going to concentrate on the description of being. But the declining period that covers the period from 2,000 to present, will be divided into declining period before 1964 and the preservation period after 1964 in this study. The first period is the formative period of pansori. In this period, the pansori was enjoyed as a play in the rites. The pansori performance was held to celebrate the special events for example passing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 place of performance was a court. The second period is the period of prosperity. This period is from the end of the first period to 1902. In this period pansori was enjoyed as a song in the middle and upper class`s pleasure and amusement. The pansori was highly developed as an art. In this process, many singers became famous as a pansori myeonchang(maestro). The place of performance was changed from a court to a room. The third period is the period of declining. This period is from 1902 to 1964. In this period the pansori performance was held in the theater. The major form of performance was the changgeuk(pansori theater) or hyeopryulsa (package performance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 The class of audience was the mass of people. The pansori became an popular entertainment. And pansori was considered as a goods. At the end of this period the pansori was throughly declined and lost the value of a goods. The fourth period is the period of preservation. In this period the government intervened in the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of pansori. The pansori was reevaluated as a major national cultural asset. The place of performance was a theater. But the form of performance was wanchang (singing a pansori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Many provincial governments established the changgeuk company. So the most of the performance were held for free. The audience of this period were the intellectuals and the students. It is very distinguishing that pansori is taught in many art schools. Now the pansori throughly lost the power of self-existing. The pansori is preserved by the financial support of government. But the future of pansori is very uncertain. Because the pansori had lost its value as a goods and there are not so many positive audiences who can feel the emotion of pansori.

      • KCI등재

        판소리의 유네스코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 경위와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

        최동현(Tong hyon Choe) 판소리학회 2023 판소리연구 Vol.56 No.-

        이 논문은 판소리가 유네스코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Proclamation of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에 선정된 경위와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에 대해 정리하고자 집필되었다. 2008년 6월 무형문화유산 당사국 총회에서는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협약 운영 지침’이 제정되었다. 이 지침은 총 3장으로 되어 있는바, 긴급보호목록(Urgent Safeguarding List)과 대표목록(Representative List) 등재 절차, 기금과 국제기금, 협약에 참가한 기관 및 단체 등을 자세하게 규정하였다. 이에 따라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 사업이 시작되었다. 그 경위는 다음과 같다. 2000년 10월 17일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정식 신청 종목 한 종목과 잠정목록 5종’을 선정하였다. 이에 앞서 ‘사단법인 유네스코 순천협회’ 이태호 회장은 2000년 7월 <건의서 - 무형문화재 구전문화(판소리), UNESCO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위한 사업계획(안)>을 만들었다. ‘유네스코연맹 전북협회’(회장 윤석길)에서도 2000년 9월 14일 ‘걸작 등록 추진에 따른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 2000년 10월에는 남원에서 ‘유네스코 한국위원회’가 주최하는 ‘무형문화재 보존을 위한 워크숍’을 개최했다. 문화재청이 판소리를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에 신청하기로 결정한 다음 전라북도는 판소리학회와 손을 잡고 사업을 진행했다. 신청서를 작성하기 위해서 판소리학회 회장 대행을 맡고 있던 김진영 교수가 집필위원을 구성하였다. 집필위원은 김진영 교수, 최동현 교수, 김종철 교수, 김현주 교수, 박일용 교수 등 5명으로 구성되었고, 이보형 선생이 자문을 했다. 영어 번역은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생이었던 나수호(본명 Charles La Shure. 현 서울대학교 국문과 교수)에게 맡겼다. ‘관리’와 ‘실천 계획’은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에 요청해서 받은 ‘한국의 무형문화재 보호정책’과 ‘보존관리와 활용에 관한 문화재 기본 계획’을 토대로 작성하였다. 전라북도와 문화재청은 2002년 2월 6일 ‘걸작 등록신청서 작성 관련 회의’를 갖고, 신청서 및 사진첩 제작은 전라북도가 담당하고, 영상물 제작은 전라남도와 문화재청이 담당하는 것으로 결정을 했다. 사진첩 제작은 ‘한국유네스코연맹 전북협회’가 맡았다. 영상물 제작은 KBS의 최공섭 PD가 담당했다. 문화재청과 외교통상부는 2002년 6월 14일 판소리의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 후보 신청서를 제출하였다. 본래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은 2003년 6월 30일에 이루어질 예정이었으나 지체되어 11월 7일에야 이루어졌다. 판소리가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선언된 것을 언론이나 판소리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창조적인 인간 천재의 걸작으로서의 뛰어난 가치”에 주목한다. 그 결과 마치 걸작 선언이 자국문화의 상대적 우수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조치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다. 물론 그런 뛰어난 가치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이것이 다른 문화에 대한 우월성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님을 깊이 인식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summarizes how pansori was proclaimed a “Masterpiece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by UNESCO and its value as world cultural heritage. In June 2008, UNESCO’s General Assembly of the Parties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nacted the “Guidelines for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se guidelines consist of three chapters: the first stipulates in detail the procedures for registration, an urgent safeguarding list, and representative list; the second concerns funds and international funds; and the third chapter lists th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the agreement. Accordingly, the Proclamation of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project was launched. The process for pansori was as follows. On October 17, 2000, one officially applied list and five provisional lists of Masterpieces of Human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were selected. Prior to this, in July 2000, Lee Tae-ho, the Chairman of the UNESCO Suncheon Association, created a plan for registration of pansori as UNESCO World Heritage. On September 14, 2000, the UNESCO Federation Jeonbuk Association (Chairman Yoon Seok-gil) held a “policy meeting according to the promotion of masterpiece registration.” In October 2000, a workshop hosted by the UNESCO Korean Committee was held to preserv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ft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decided to apply for the registration of pansori as a Masterpiece of Human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Jeollabuk-do teamed up with the Pansori Society to implement the project. In order to complete the application, Professor Kim Jin-young, who was acting chairman of the Pansori Society, formed a writing committee consisting of five members: Professors Kim Jin-young, Choi Dong-hyun, Kim Jong-chul, Kim Hyun-joo, and Park Il-yong, with Lee Bo-hyung consulting. The English translation was entrusted to Na Soo-ho (real name Charles La Shure), currently professor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at that time a graduate student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management and action plans were prepared based on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Policy” and “Basic Cultural Heritage Plan on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received upon request from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ivision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Jeollabuk-do an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eld a meeting on February 6, 2002, where it was decided that Jeollabuk-do would be in charge of the applications and photo albums, while Jeollanam-do an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ould produce the videos. The photoalbums were produced by the Korean UNESCO Federation Jeonbuk Association. KBS producer Choi Gong-seop was responsible for producing the video. On June 14, 2002,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submitted an application for pansori to be included in the Proclamation of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The proclamation was originally scheduled to take place on June 30, 2003, but it was delayed and only took place on November 7. When pansori was declared a “Masterpiece of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the media and pansori lovers noted the statement of its “outstanding value as a masterpiece of creative human genius.” Furthermore, there is a tendency for a masterpiece declaration to be taken as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measure of the relative excellence of its culture. Of course, while it is true that this recognition indicates great worth, it is necessary to remember that this does not presuppose superiority over other cultures.

      • KCI등재

        20세기 판소리 전승과 미적 감수성의 변화

        최동현 ( Choe Tong Hyon ) 판소리학회 2016 판소리연구 Vol.42 No.-

        이 논문은 20세기 판소리의 변화는 외적인 조건의 변화가 향유층의 변화로 이어지고, 변화된 향유층에 의해 판소리의 내적 변화가 유도되었을 것이라는 전제로부터 출발하였다. 이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한 것은 20세기 초 판소리 공연장의 변화와 이에 따른 향유층과 향수 방식의 변화이다.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판소리의 향유 방식에 큰 변화가 있었다. 제일 먼저 들 수 있는 것은 폐쇄형 공연장의 등장이다. 전통시대의 공연 공간은 일상 공간이었다. 그러므로 전통적인 공연장은 용도가 존재를 결정하는 그런 공간이다. 그러나 공연장을 따로 설치하게 되면서부터는 공연 공간이 일상과는 떨어져 따로 존재한다. 그리고 그곳에서만 공연이 열린다. 곧 존재가 용도를 결정하는 그런 공간이다. 폐쇄형 공연장의 특성은 공연 장소와 시간의 항시성과 규칙성, 공연 공간의 폐쇄성 그리고 반복성이다. 서울에서부터 시작된 회사 체제의 폐쇄적 공연은 1907년 이후에는 지방으로 퍼져나간다. 서울의 옥내 공연장에서의 공연을 도시형이라고 한다면, 포장을 치고 여기저기 옮겨 다니면서 공연을 하는 옥외 공연장에서의 공연 방식은 농촌형이라고 할 수 있다.두 번째로 들 수 있는 향유 방식의 변화는 유성기의 등장이다. 음반을 통한 판소리 향유의 특징은 시 · 공간적 제약의 극복과 반복성이라고 할 수 있다. 19세기 말까지의 공연은 시간에 대한 제약이 없었다. 그런데 20세기 들어 폐쇄적 공연장이 들어서자 공연 시간에 제약이 생겼다. 게다가 몇몇 공연 곡목만을 반복해도 되었다. 음반은 이러한 현상을 더욱 심화시켰다. 따라서 20세기 들어서 판소리 향수 방식은 단속적 완결형으로부터 분절적 반복형으로의 전환으로 설명할 수 있다.20세기 초 폐쇄적 공연장의 설립과 음반의 발매로 판소리 향유층의 성격이 변하면서 판소리도 변하게 되는데, 이를 한 마디로 말하면 ‘통속화’라고 할 수 있다. 통속화의 구체적인 내용은 첫째, 판소리를 구경거리로 대하는 태도, 둘째, 혼자 부르는 판소리에서 여러 사람이 무대에 등장하여 부르는 판소리로의 변화, 셋째, 음악성의 축소이다.20세기 초 구경거리화된 판소리의 감성적 특징은 슬픈 곡조와 기교적인 소리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판소리에서 슬픈 가락 곧 계면조가 늘어났는데, 이는 서민적 감성이 더 중요하게 작용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슬픈 곡조인 계면조는 우조와 평조에 비해서 시김새가 복잡하고 화려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기교적인 소리로 이어진다. 이러한 특성을 강조하는 소리는 서편제 판소리이다. 그래서 현대 판소리에서는 서편제 판소리가 전승에서 우위를 차지하게 되었다.이 논문에서는 20세기 판소리 전승과 미적 감수성의 변화를 밝히려고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의는 20세기 초에 머물렀다. 그 이유는 근본적으로는 그 주제가 한 편의 논문으로는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무거운 것이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20세기 초에 이루어진 변화가 그 이후 계속되었다는 판단을 했기 때문이기도 했다. 20세기 후반의 판소리에서 공연 장소나 방식에 큰 변화는 없었다. 변한 것은 판소리가 존재하고 있는 사회문화적 환경 속 판소리의 위치이다. 그러므로 20세기 후반 이후의 판소리를 평가하는 방법은 완전히 달라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nge of Pansori based on its appreciation and audience.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Pansori theatre was changed from an outdoor stage to an indoor stage. Subsequently, the audience was changed from the upper classes to the public. The manner of performance changed from the way of intermittent completion to segmental repetitions. The appearance of gramophone accelerated these changes.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Pansori bacame popularized owing to the emergence of an indoor theatre and the gramophone. The details of Pansori popularization were as belows.① Pansori became a kind of spectacle.② Several singers performed together on stage.③ The diminution of musicality.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popularized Pansori 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are plaintive melody and artful singing method. This implies that the folksy sensibility begins to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ever in Pansori. This manner of practicing Pansori is “Seopyeonje” or Western province style Pansori. Consequently, in the contemporary Pansori transmission, Seopyeonje became dominant style.

      • KCI등재

        판소리의 대중화를 통한 힐링과 복지

        최동현(Choe Tong-hyon) 국어문학회 2015 국어문학 Vol.58 No.-

        이 논문은 판소리의 대중화를 통한 힐링과 복지 실현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그 가능성을 보여준 “전주시민 한 소리 하기” 프로그램의 운영과 성과를 소개하기 위해 씌어졌다. 이 논문에서는 판소리를 힐링과 복지라는 실제적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먼저 음악의 기능과 치료에 대하여 살펴보고, 판소리를 포함한 전통음악을 통한 음악 치료의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다음으로 이 논문에서는 몇 가지 음악 심리치료의 방법에 판소리를 접목해서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았다. 노인복지의 측면에서는 노년기 정체성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판소리를 통한 ‘회상’, ‘음악 자서전’ 만들기를 예로 들었다. 지역사회복지의 측면에서는 판소리가 민속으로서의 치료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판소리의 대중화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판소리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각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사회복지관이나 주민자치센터, 평생학습기관 등의 이용을 제안하였다. 전주시평생학습센터의 “전주시민 한 소리 하기”는 지역사회복지와 판소리 대중화, 심리치료 등의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the realization of Healing and Wellbeing through Pansori popularization and to introduce the proceedings and results of “Jeonju Citizen’s One Pansori Song Singing Movement.” The function of music and the music therapy were firstly surveyed in this study. And secondly I tried to find out the possibilities of Pansori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therapy. In addition, I tried to make programs of music therapy through Pansori. For the welfare for the aged, I proposed the ‘recollection’ and ‘making autobiography’ using Pansori music. For the local social welfare, Pansori can be used as a folk therapy. For this purpose Pansori popularization is compulsory. For the Pansori popularization we can use the Social Welfare Center, Community Center and Lifelong Learning Center. It was identified that “Jeonju Citizen’s One Pansori Song Singing Movement” had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Pansori popularization and psycho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