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친화적 교육・훈련 환경 조성

        정애경(Ae-Kyung Jung),최나연(Na-Yeun Choi)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2 여성연구 Vol.1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훈련 과정에서 자녀를 가진 여자 박사과정 대학원생 및 입직 초기 전문가가 학업/일-돌봄 양립과 관련하여 경험하는 어려움을 탐색하고 모성벌칙(motherhood penalty)과“새는 파이프라인(leaky pipeline)” 이론을 바탕으로 가정친화적 교육・훈련 환경 조성을 위한 학계의 관심을 촉구하고 향후 과제를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자녀를 가진 20-40대 상담전공여자 대학원생 및 상담전문가 33명을 대상으로 상담자 교육 및 훈련, 일에서 학업/일-돌봄 양립경험을 조사하여 반복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출된 영역은 ‘모순되고 혼란스러운경험’, ‘부정적인 경험의 영향’, ‘개인적이고 관계적인 대처’, ‘학문공동체에 바라는 점’이었다. 본연구는 이론적 논의와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학문공동체가 가정친화적 교육・훈련 환경을 제공해야할 필요성을 논의하고, 개선 영역으로 구성원 인식 및 문화, 제도, 교육・연수・학술대회 환경을 선정하여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experiences of women doctoral graduate students and early career professionals’ difficulty with education/ work-care conflict by applying motherhood penalty and leaking pipeline theory. Based on findings and theory, this research recommend Korean academia to have interests for family-friendly educational and training environment and to discuss future directions. We analyzed the data with a sample of 33 Korean wome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nd women counseling professionals between ages 20-40 through constant comparison method. As a results domains (‘conflicting and confusing experiences’, ‘effects of negative experiences’, ‘individual and relational coping’, ‘wishes from academia’) were emerged. Based on theoretical discussions and research findings, this research discussed needs for academia to provide family friendly educational and training environment. To improve, this research suggested detailed recommendations for academic institution’s cultural and systematic changes.

      • KCI등재

        자기자비 마음챙김 훈련집단과 자기자비 ACT집단에서 심리적 안녕감, 자기자비와 수용의 변화 과정

        김미경(Kim, Mi-Kyeong),최나연(Choi, Na-Yeun) 한국교육치료학회 2024 교육치료연구 Vol.16 No.1

        자기자비는 수용과 밀접한 치료기제로서 수용전념치료(ACT)에서 명시적이고 통합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기자비 마음챙김 훈련집단, 자기자비 수용전념치료(ACT) 집단상담 집단과 통제집단의 심리적 안녕감, 자기자비와 수용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참가자는 자기자비 마음챙김 훈련집단 11명, 자기자비 ACT집단상담 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의 대학생이었다. 자기자비 마음챙김 훈련은 매주 16~20분씩 8회기 시행되었으며, 자기자비 ACT집단상담은 매주 90분씩 8회기 시행되었고, 심리적 안녕감, 자기자비와 수용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서 사전, 중간, 사후, 추수의 총 4 시점에서 얻은 측정치를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자비 마음챙김 훈련을 받은 집단은 심리적 안녕감, 자기자비, 수용이 증가했다가 추수 시점에서 급격히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자기자비 ACT집단상담을 받은 집단은 자기자비가 증가했다가 추수 시점에서 완만하게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자비 마음챙김 훈련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 자기자비와 수용이 증가될 수 있으며, 자기자비와 ACT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졌을 때, 자기자비의 효과가 유지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Self-compassion is a treatment mechanism closely related to acceptance, so it needs to be used as a component of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ACT) explicitly and integratively. This study explored chang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self-compassion, and acceptance among three groups: mindful self-compassion training (n=11), ACT-based self-compassion (n=8), and control (n=8) undergraduates. Mindful self-compassion training comprised 8 sessions of 16 to 20 minutes each, while ACT-based self-compassion group program involved 8 sessions of 90 minutes per week.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changes were analyzed at four time points: pre, mid, post, and follow-up. Results showed that in the training group, the three variables increased but rapidly decreased at follow-up. In the ACT group, self-compassion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slowly at follow-up. These findings suggest mindful self-compassion training enhances psychological well-being, self-compassion, and acceptance. Incorporating self-compassion interventions into ACT helps maintain self-compassion effects over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