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대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차별적 태도 연구

        최국환 국립특수교육원 2003 특수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연구한 것이다. 총 239명의 남·여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장애인에 대한 일반적 태도를 측정하는 SADP(Scale of Attitudes toward Disabled Persons)를 수정하여 신체장애인과 정신장애인으로 구분한 후 학생들을 대상으로 태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장애인이 정신장애인보다 더 호의적으로 평가받았고, SADP의 세 하위척도 상에서도 동일하게 평가받았다. 이전에 장애인을 만나본 적이 있다고 보고한 학생들은 장애인을 만나본 적이 없다고 응답한 학생들보다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교육연한과 관련하여 대학원생들은 대학생들보다 더 호의적인 태도를 보여주었으나 남·여 학생들 간 태도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재활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tial attitudes of Korean student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A total of 239 Korean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cale of Attitudes Toward Disabled Persons(SADP) was modified to differentiate mental disabilities from physical disabilit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Korean students showed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an those with mental disabilities, and the same holds for the 3 subscales of SADP. Years of education and contact experiences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found to induce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disregarding the types of disabilities. No gender difference was found in this stud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특수교육, 재활학, 공학전공 학생들의 성격유형과 장애인에 대한 태도

        최국환 한국직업재활학회 2011 職業再活硏究 Vol.21 No.2

        This study was to exam students'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ir academic fields and personality types. A total of 132 students in the fields of special education,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engineering participated in this study. Scale of Attitudes for the Disabled Persons(SADP-R) and MBTI were utilized.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while no attitudinal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student group in rehabilitation and the group in special education,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disability-related groups(special education, rehabilitation) and the group in engineering. The three SADP subscale scores also produced significant attitudinal differences. Student groups in rehabilitation and special education fields were found to have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than their counterpart, the student group in engineering fields. ISTJ was the most prevalent type indicator among students in the rehabilitation field, and ISFJ was the most for students in special education field. For students in engineering fields, the combined personality types of ST and NT were the most prevalent personality types and SF and NF were the least combined types. Personality showed a partial influence on attitude formation among students across all students participated in.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attitude variables, including gender, contacts, and years of school experiences.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남․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별 장애인에 대한 태도점수를 비교한 후, 전공특성과 성격유형이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특수교육, 재활학 및 공학을 전공하고 있는 총 132명의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비장애인의 장애인에 대한 일반 태도를 측정하는 Scale of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Persons(SADP)를 사용하였고, 성격유형을 파악하기 위해서 Myers-Briggs Type Indicator(MBTI)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재활학전공 학생들과 특수교육전공 학생들 간에는 유의미한 태도점수의 차이가 없었으나 두 집단 모두 공학전공 학생들과는 태도점수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SADP의 세 하위척도에서도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재활학전공 학생들은 ISTJ가 가장 많았던 반면 특수교육전공 학생들은 ISFJ가 가장 빈도수가 높았다. 공학전공 학생들은 ST형과 NT형을 중심으로 표현되는 성격유형들로 분포되어 있었고 SF와 NF의 조합성격유형의 빈도가 극히 적었다. MBTI의 성격유형은 전공에 따라서 차별적 변별이 나타났고, 부분적으로 태도점수 상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별 특성과 성격유형 그리고 태도변인에 관한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재활복지 전문 인력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관련변인 연구

        최국환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2 재활복지 Vol.16 No.4

        본 연구는 재활복지 전문 인력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사회복지사, 상담사, 간호사 및 치료사를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태도의 차별성을 검증하고 태도관련 변인들을 살펴 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총 173명의 남녀 재활복지 전문인력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조사도구로는 일반인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 SADP(Scale of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Persons) 가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사회복지사들은 치료사들보다 태도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상담사와 간호사들 간 태도점수의 평균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SADP 의 세 하위 척도들 가운데 낙관-인권척도(OH) 에서만 집단 간 유의미한 태도점수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성별 요인은 본 연구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교육수준 및 친분관계 여부는 태도점수상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 the attitudes of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attitude variables, including gender, years of education, and contact experiences. The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re consisted of social workers, professional counselors, nurses, and therapists. A total of 173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Scale of Attitudes for the Disabled Persons(SADP) was utilized to measure mean differences of the groups and properties of its related variables.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 social workers reveal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an the therapist group, however no difference were found between other professional groups. Only Optimism-Human Right scale(OH) was found to have group difference in subscale categories, and a gender difference was fou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Issues on Extended Employment Services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Legal Borderline

        최국환 한국직업재활학회 2022 職業再活硏究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issues on extended employment services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PWD) in legal borderline in South Korea.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articles and reports were reviewed focusing on definition of vocational disability, extended types of disabilities based on research and litigation cases, employment service and policy issues, and role of vocational evaluators. Vocational disability is regarded as various evaluation areas of encompassing one’s vocational and social life dimensions. Extended types of disabilities were reported by the national legal systems and litigation cases and based on the preliminary studies about vocational aspects of disability, current status of extended types of disabilities were illustrated as follows: ADHD, Cerebellum Atrophy, PTSD, CRPS, OCD, BIF, Narcolepsy, and Tourette Syndrome. The roles of vocational evaluators in the process of eligibility determinations for employment services were reviewed and comparisons were made based on differential employment service and policy in terms of countries, including USA, Japan and Australia. The countries illustrated were found to have run their own evaluation services for potential recipients of employment services. It is suggested that legal nomination of extended types of disabilities and its associated employment services needed to be dispatched to PWD in legal borderline in the future. Professional training and identity issues were discussed in a way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social integration of potential recipients for employment services.

      • KCI등재

        장애유형별 구인·구직 및 취업현황에 대한 추세분석 연구

        최국환 한국직업재활학회 2012 職業再活硏究 Vol.22 No.1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워크넷에 저장된 원자료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고용정보시스템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유형별․직종별 구인․구직 및 취업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직업교육 및 직업재활의 발전적 방향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추세분석을 위해 2003년부터 2007년도까지 한국고용정보원의 워크넷을 통한 원자료와 한국장애인고용정보시스템의 2010년 통계자료를 활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의 구인․구직 및 취업건수는 연차별로 점진적으로 증가하였고, 장애유형에 따라서 구인․구직 및 취업분야는 직종별로 차이점이 발견되었으나 일반적으로 ‘환경, 인쇄, 목재, 가구, 공예 및 생산단순직’으로 구인․구직 및 취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취업률의 평균은 청각장애인이 가장 높았고, 장애유형별·직종별 구인․구직 및 취업현황에 있어서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전체 직종의 구인배율은 1.0 이하로 낮게 산출되었고 구인배율이 높은 직종일수록 취업률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론 및 향후 직업재활에 대한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job-offering, job-searching, and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erms of the major types of disability which were as follows: physical, visual, hearing, and mental retardati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WORKNET raw-data and the Employment Information System for People with Disability during the year of 2003 to the year of 2010, was analyzed to meet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job-offer, job-search, and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been steadily increased each year, even though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the major types of disabilities. The highest employment rate was found in hearing disability and the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job-offering, job-searching, and employment cases in terms of the types of disabilities. However, most of the occupations were lowly paid and repetitive work categories.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직업유형과 특성이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최국환 한국직업재활학회 2011 職業再活硏究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 the effects of 3 occupational categories and its related attitudinal variables on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A total of 378 people in 3 occupational categor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cale of Attitudes for the Disabled Persons(SADP-R) was utilized in this study.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 social worker group in centers or facilities produced more positive attitude scores than the counterpart groups, the military line officer group and the general occupational group.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military line officer group and the general public group. Gender difference was found within the 2 occupational groups, and a contact and an education variable tended to produce positive impacts on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conclusion and implic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직업유형과 특성이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직업유형으로는 사회복지직, 군장교직 그리고 일반사무직을 대상으로 하였고, 총 378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조사도구로는 비장애인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 SADP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들이 군장교직과 일반사무직에 속해 있는 사람들보다 장애인에 대하여 호의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었으나 군장교직과 일반사무직에 속해 있는 사람들 간의 태도점수에는 차이가 없었다. 하위척도에서도 직업유형에 따른 SADP 태도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각 직업군 내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점이 발견되었고, 주요 태도변인들로 알려진 접촉경험과 교육수준은 장애인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재활상담사 국가자격제도 시행 및 윤리강령 제정을 위한 실천적 과제

        최국환 한국직업재활학회 2014 職業再活硏究 Vol.24 No.3

        This study are aimed to review the implementation of rehabilitation counselor certificationsubmitted by the amendment of Welfare of the Disabled Persons Act, and to suggest aguideline of developing a code of professional ethics for rehabilitation counselors based on anew CRCC code of professional ethics, and finally to propose future tasks required to KSVRand KSVRC. The amendment of Welfare of the Disabled Persons Act includes a part ofrehabilitation counselor credential required for the national certification and an establishment ofKAVRC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rehabilitation counselor education, training andadvocacy. However, along with the enforcement of the amendment of Welfare of the DisabledPersons Act, many tasks are assumed to be resolved, including classification of professionalqualifications, allowance of credit hours, domains of continuing education, certification renewals,etc. Practical strategies, such as rationale of rehabilitation counselor naming, effective divisionof works between KSVR and KAVRC, effective running of educational curriculum(syllabus),development of effective workshop programs, diversification of rehabilitation work roles, etc.,are proposed for future tasks. This study also introduced a procedure and major content of anew CRCC code of ethics in way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a code of professionalethics for rehabilitation counselors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재활상담사 국가자격제도 시행을 위한 장애인복지법 일부개정 법률안의 주요 내용을 고찰해 보고, 윤리규정 제정을 위한 기본 안을 함께 제안해 봄으로써 한국직업재활학회와 한국직업재활사협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장애인복지법 일부개정 법률안은 재활상담사 국가제도 도입에 필요한 자격요건과 재활상담사의 교육과 훈련 및 권익을 도모하기 위한 재활상담사협회의 설립에 관한 주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재활상담사 국가자격제도 시행 이후,전문 인력의 자격등급, 시수인정, 평생교육, 자격갱신 등 해결해야 할 과제들도 산적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가자격제도 추진과정에서 재활상담사 명칭변경의 합리성, 학회(KSVR)와 협회(KAVRC)의 효율적인 업무분장, 효율적 교수요목 운영, 연수과정의 운영, 재활상담사 업무역할의 다변화 등 주요 내용들이 향후 실천전략들로 함께 제시되었다. 한편 본 연구는 미국 CRCC의 윤리규정 전문을 참고로 하여 윤리규정 제정에 필요한 절차와 내용을 소개함으로써 학회와 협회의 윤리규정 제정을 위한 실천적 방향이 제시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