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섬유주절제술 후 발생한 Streptococcus Cristatus 원인의 지연성 안내염 1예

        최곤수(Gon Soo Choe),김훈동(Hoon Dong Kim),안병헌(Byung Heon Ahn),정종진(Jong Jin Jung)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1

        목적: 섬유주절제술 후 발생한 Streptococcus cristatus (S. cristatus) 원인의 여과포 관련 안내염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좌안 섬유주절제술 수술을 받은 지 2년 후 발생한 좌안 통증과 시력저하를 주소로 59세 여자 환자가 내원하였다. 좌안 시력은 안전수지였고, 세극등현미경검사에서 상부 결막에 얇아진 백색의 여과포, 심한 결막충혈, 전방 내 염증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안저는 관찰되지 않았다. 항생제 투여에도 전방 내 염증 소견은 호전되지 않았고, 염증성 막과 전방축농이 동반되었다. 즉시 유리체절제술, 유리체내 항생제주사를 시행하였다. 유리체 검체의 세균배양검사 결과 S. cristatus가 동정되었으며, 수술 7일 후 염증 소견은 점차감소하였다. 수술 후 1개월째 안내염 재발 소견은 없지만, 좌안 최대교정시력은 여전히 안전수지로 유지되고 있다. 결론: 국내에서 아직 보고된 적 없는, 섬유주절제술 후 S. cristatus에 의한 지연성 여과포 관련 안내염을 보고하는 바이며, 섬유주절제술 후 발생한 안내염에서 그람 양성구균이 자랄 경우 S. cristatus에 의한 안내염의 가능성도 고려해야 하겠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late-onset bleb-associated endophthalmitis caused by streptococcus cristatus (S. cristatus) after trabeculectomy. Case summary: A 59-year-old woman presented with left ocular pain and visual disturbance. She had undergone trabeculectomy of the left eye 2 years ago. At the initial visit, she was only able to count fingers from the left eye. Whitish thin bleb, conjunctival injection, and inflammation were observed in the left anterior chamber, and the fundus could not be visualized. Despite administering topical and systemic antibiotics, the chamber reaction worsened, and hypopyon and inflammatory membrane were noticed the next day. Vitrectomy with phacoemulsification and intravitreal antibiotic injection was performed, and the intravitreal antibiotic injections were repeated over the next two days. Bacterial culture of vitreous fluid showed a growth of S. cristatus 5 days after the surgery, and inflammation improved after 7 days. One month later, she was still only able to count fingers from the left eye, but there were no signs of endophthalmitis. Conclusions: Postoperative endophthalmitis after glaucoma filtering surgeries caused by S. cristatus has not been reported previously from Korea.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Korean case of late-onset bleb-associated endophthalmitis caused by S. cristatus. If gram-positive cocci are grown in samples from the patients with endophthalmitis after trabeculectomy, resident oral microflora such as S. cristatus should be considered as the causative pathogen.

      • KCI등재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애플리버셉트로 교체투여 후 추적 관찰 중 나타나는 제한적 치료 반응

        최곤수(Gon Soo Choe),김종우(Jong Woo Kim),김철구(Chul Gu Kim),김재휘(Jae Hui Kim)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9

        목적: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애플리버셉트로 교체투여한 후 발생하는 애플리버셉트에 대한 제한적 반응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으로 라니비주맙 치료를 시행 받다 애플리버셉트로 교체투여한 70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시행하였다. 애플리버셉트 약제에 제한적 반응이 나타난 빈도와 시기를 확인하였으며, 제한적 반응을 보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사이에 시력 결과를 비교하였다. 추가적으로 제한적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애플리버셉트로 교체투여 후 약 1/5에서 약제에 대한 제한적 반응이 나타났다. 교체투여는 진단 후 평균 16.2 ± 12.7개월 시점에 시행되었는데, 교체투여 후 평균 34.7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15안(21.4%)에서 평균 22.0 ± 13.9 개월에 제한적 반응이 나타났다. 교체투여 시부터 최종 추적 관찰 시까지 시력저하 정도는 제한적 반응을 보인 안에서 평균 logMAR 0.34 ± 0.41로 그렇지 않은 경우의 평균 0.06 ± 0.20에 비해 유의하게 더 큰 값을 보였다(p=0.002). 또한 제한적 반응이 나타난안은 그렇지 않은 안에 비해 최초 진단부터 애플리버셉트 교체투여까지의 기간이 더 짧았으며(p=0.012), 교체투여 전까지 시행된 라니비주맙 주사 횟수가 더 적었다(p=0.016). 결론: 애플리버셉트로 교체투여 후 약제에 대한 제한적 반응이 나타나는 경우 시력예후가 더 나쁜 경향을 보였다. 애플리버셉트 교체투여가 더 빨리 시행되는 경우 약제에 제한적 반응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limited response to aflibercept after switching to aflibercept in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70 eyes with neovascular AMD that were initially treated with ranibizumab and then switched to aflibercept. The incidence and timing of the limited response to aflibercept were identified and visual outcome was compared between eyes with and without limited response. In addition, factors predictive of limited response were analyzed. Results: A limited response to aflibercept was noted in approximately 1/5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switching to aflibercept in neovascular AMD. Switching to aflibercept was performed at a mean of 16.2 ± 12.7 months after diagnosis. During the mean 34.7 months of follow-up after switching, limited response was noted in 15 eyes (21.4%) at a mean of 22.0 ± 13.9 months after switching. The degree of reduction in visual acuity was mean logMAR 0.34 ± 0.41 in eyes with limited response and mean 0.06 ± 0.20 in eyes without (p = 0.002). In addition, the duration between the diagnosis and the switching was shorter (p = 0.012), and the number of ranibizumab injections before switching was lower (p = 0.016) in eyes with limited response than in eyes without. Conclusions: Patients who showed limited response to aflibercept after switching to aflibercept showed a worse visual outcome. The probability of having a limited response is higher when the switching is performed earlier.

      • KCI등재

        샤임플러그-플라시도원반 방식 사진기와 새로운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계의 전안부 계측치 비교

        최곤수(Gon Soo Choe),김국영(Kook Young Kim)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1

        목적: 샤임플러그-플라시도원반 혼합방식의 전안부 사진기(SIRIUS?? [Costruzione Strumenti Oftalmici, Florence, Italy])와 새로운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계(ANTERION?? [Heidelberg Engineering Inc., Heidelberg, Germany])을 이용하여 전안부 계측치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총 74명, 101안을 대상으로 SIRIUS?玲? ANTERION?瑛막? 측정한 전안부 계측치를 분석하였다. 두 장비로 측정한 중심각막두께, 전방깊이, 각막곡률값, J0, J45 성분, 각막윤부직경을 비교하였다. 결과: SIRIUS?玲? ANTERION?瑛막? 측정한 중심각막두께는 각각 558.69 ± 44.65 및 540.26 ± 36.57 μm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와(p<0.005),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0.915). 전방깊이는 각각 3.34 ± 0.53 및 3.34 ± 0.51 mm (p=0.856)로 측정되었고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0.966). 두 장비로 측정한 각막윤부직경(p<0.005, r=0.875), 평균각막곡률값(p=0.017, r=0.967) 및 J0 성분(p<0.005, r=0.933)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SIRIUS?玲? ANTERION?瑛막? 측정한 전방깊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중심각막두께, 각막윤부직경, 각막곡률값, J0 성분은 유의한 차이를 보여 두 장비는 임상에서 상호호환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We compared anterior segment measurements obtained using a Scheimpflug-Placido topographer (SIRIUS??, Costruzione Strumenti Oftalmici, Florence, Italy) and a new anterior module for a swept-sour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ystem (ANTERION??, Heidelberg Engineering Inc., Heidelberg, Germany). Methods: Anterior segment measurements were evaluated in 74 eyes of 101 patients with the two devices. Central corneal thickness (CCT), anterior chamber depth (ACD), corneal refractive power (K), J0 (Jackson cross-cylinder with axes at 180° and 90°), J45 vector (Jackson cross-cylinder with axes at 45° and 135°), and white-to-white corneal diameter (WTW) measurements obtained using the SIRIUS?? system and the new anterior segment module of ANTERION?? were compared. Results: The mean CCTs measured by SIRIUS?? and ANTERION?? were 558.69 ± 44.65 and 540.26 ± 36.57 μm, respectively.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5), and there were high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methods (r = 0.915, p < 0.001). The mean ACD measurements were 3.34 ± 0.53 and 3.34 ± 0.51 mm (p = 0.856), respectively, for SIRIUS?? and ANTERION??. The measurements were strongly correlated (r = 0.966, p < 0.001). The measurements of WTW, total mean K, and J0 obtained with the two systems differed significantly (p < 0.005, p = 0.017, and p < 0.005, respectively), with high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systems (r = 0.875, r = 0.967, and r = 0.933, respectively; all p < 0.001). Conclusi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surements of K, CCT, WTW, and J0 between the two devices. Agreement analysis suggests that SIRIUS?? and ANTERION?? should not be used interchangeab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