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동스트레스가 흰쥐 뇌 조직 내 TH, BDH와 CRH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천영일(Yong-Ri Qian),김윤식(Yoon-Sik Kim) 대한의학유전학회 2007 대한의학유전학회지 Vol.4 No.2

        목적 : 카테콜라민은 교감신경계에서 신경전달물질이며 스트레스자극에 의해 활성화된다. TH와 DBH는 카테콜라민 합성에 매우 중요한 효소이다. CRH는 스트레스 반응에서 방출되는 호르몬이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부동스트레스가 흰쥐 뇌에서 TH, BDH와 CRH 유전자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법 : 2시간 동안 부동스트레스와 무처치 흰쥐의 뇌에서 TH, DBH와 CRH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하였다. TH, DBH와 CRH 유전자 발현은 RT-PCR과 western blotting analysis에 의해 정량하였다. 결과 : 부동스트레스 흰쥐 그룹의 뇌와 부신에서 TH와 DBH 유전자발현은 정상그룹보다도 약 2-3배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CRH유전자는 약 1.5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 이번 연구는 흰쥐의 뇌와 부신에서 TH, DBH와 CRH 유전자는 스트레스 자극에 의해 발현이 활성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Catecholamines are the neuro-transmitters in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SNS) and are activated by stress stimulus. Tyrosine hydroxylase (TH) and Dopamine-β -Hvdroxylase (DBH) are very important enzymes in the catecholamine synthesis. Corticotropin releasing hormone (CRH) is released in the process of reacting to stress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effects immobilization stresses have on the expression of T H. BDH and CRH mRNA in a rat's brains. Methods: We compare expression levels in rat's brains of T H. DBH and CRH mRNA induced by immobilization stresses between the test group and controled group. The expression levels of T H. DBH and CRH mRNA are measured by RT-PCR and the Western Blotting Analysis (WBA). Results: In brains and adrenal glands of the immobilization stress group, the expression levels of T H and DBH mRNAs are significantly two to three times higher (P<0.01), and CRH mRNAs are approximately one and a half times higher (P<0.05) than those of controlled group.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xpression levels of T H, DBH and CRH mRNAs are activated by stress stimulus in a rat's brains and adrenal glands.

      • KCI등재

        정상 자궁근조직과 자궁근종조직에서 FSTL1 유전자 클로닝 및 발현양상

        김윤식 ( Yoon Sik Kim ),김재성 ( Jae Sung Kim ),천영일 ( Yong Ri Qian ),이미홍 ( Mei Hong Li ),김지은 ( Ji Eun Kim ),예영 ( Yea Young Chun ),기광수 ( Kwang Soo Kee ),전홍성 ( Hong Sung Cheon ),김성준 ( Sung Ju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6

        목적 : 정상자궁근조직과 자궁근종조직사이에서 다르게 발현되는 유전자 클로닝 및 발현양상을 비교ㆍ분석을 위한 실험을 실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광주기독병원 산부인과에서 2002년 9월부터 2003년 9월까지 자궁적출술, 근종절제술, 제왕절개술을 받은 25명의 환자의 정상자궁근조직과 자궁근종조직에서 total RNA를 분리하였다. Differential display PCR에서 분리된 유전자를 클로링하여 유전자염기서열분석을 하였으며, PCR을 이용하여 자궁근종조직과 정상자궁근조직사이에서 유전자 발현비의 양상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유의치 검증은 paired t test을 이용하여 p<0.05로 하였다. 결과 : Differential display PCR에 의해 분절된 유전자는 FSTL1으로 자궁근종조직과 정상자궁근조직에서 FSTL1의 발현비의 양상을 보면, 생식연령기 여성에서는 정상자궁근조직 및 인접 정상자궁근조직에서 자궁근종조직보다 유의하게 )p<0.05)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반하여 폐경연령기 여성에게서는 자궁근종조직에서 유의하게 (p<0.05) 높게 나타났으며, 인접 정상자궁근조직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자궁근종 축소 호르몬치료군에서 1.4-1.6배 유의하게 (p<0.05) 높았고, 폐경기 증상완화 비치료군에서 1.6-2.0배 유의하게 (p<0.05) 높았다. 결론 : FSTL1의 작용기전은 확실하지 밝히지 못했지만, 자궁근종조직과 정상자궁근조직의 발현양상을 비교ㆍ분석해 볼 때 자궁근종에서의 FSTL1은 estrogen에 의해 직ㆍ간접적으로 조절되는 자궁근종성장억제인자일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o study the influence and cloning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human female normal myometrium and uterine leiomyoma tissue. Methods : In this experiment, human uterus tissues (n=25) were taken for total RNa isolation by using Trizol reagent. Differential display was performed by using GeneFishing^TM DEG Kit and processed to cDNA sequencing and gene cloning for Follistatin-like 1 (FSTL1). Data were analyzed with the image Master VDS software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fined as p<0.05 by paired t test results. Results : FSTL1 mRNA expressio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9p<0.05) in normal and adjacent normal myometrium tissues than uterine leiomyoma tissue of women int the reproductive age. Whereas in the menopausal age, FSTL1 mRNA expressio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uterine leiomyoma than normal myometriu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terine leiomyoma and adjacent normal myometrium. Conclusion : Although the mechanisms of FSTL1 gene were uncertain, FSTL1 seem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growth of uterine leiomyoma, it also might be related to the regulation of uterine leiomyoma growth inhibiting factors by modulating Follistatin related protein gene (FLRG)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