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 노멀(New Normal) 시대의 교육목회

        채혁수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72

        전 세계가 코로나 바이러스로 몸살을 앓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와 비대면이 지속되면서, 개인 자아는 심리적으로 점점 더 불안해하고, 모일 수 없는 공동체는 그 존재적 정의에 수정을 가해야 할 형편이다. 이러한 위기는 새로운 표준과 기준을 요구하고 있다. 교회도 예외는 아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교회는 이전의 예배와 목회 등에 새로운 기준을 가지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신앙 공동체인 교회는 이전과는 달라진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를 정립해야 하기도 한다. 이것은 말씀에 비추어, 항상 개혁해야 하는 개혁교회에게는 당연한 과제인 것이다. 어쩌면 말씀 속에 그 본질을 회복해야 하는 교회에게는 이 코로나의 위기가 순전함을 회복하는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적 관점에서 뉴 노멀(new normal) 시대의 교육목회를 위한 제언을 시도하려 한다. 이를 위해 먼저 II장에서는 코로나 시대의 교육목회에 있어서 뉴 노멀의 필요성에 관하여 살펴 볼 것이다. III장에서는 뉴 노멀 시대의 교육목회의 과제를 개인 자아와 공동체의 기능 회복을 중심으로 알아 볼 것이다. 결론격인 IV장에서는 뉴 노멀시대의 교육목회적 대안을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의 공동체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제시해 보려고 한다. 아무쪼록 마리아 해리스(Maria Harris)와 하비콕스(Harvey Cox)가 강조한 사도행전에 나타난 초대교회의 다섯 가지 직능들이 존 웨스터호프 3세(John Westerhoff III)와 레슬리 뉴비긴(Lesslie Newbigin), 그리고 본회퍼의 교회, 신앙공동체 이해에 의해 회복되어져, 오늘날 교육목회의 뉴 노멀을 위한 작은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 The world is suffering from the COVID-19. As social distancing and non-face-to-face communication continue, individuals become more anxious, and communities that cannot be gathered are required for redefinition of their existences. This crisis requires new normal. The church is no exception. As a community of faith, the church must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ies in this situation. Maybe, it is not wondered that the reformed church must always be reformed. The COVID-19 crisis is a chance to restore the purity for the church. Thus, this study attempts to offer several suggestions for educational ministry in the new normal from a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The structu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 is an introduction part. In chapter II, I find the necessity of a new normal of the educational ministry in the COVID-19 era. Chapter III examines the task of educational ministry in the new normal, focusing on the recovery of the function of the individual self and the community. In the conclusion part, chapter IV offers several suggestions for the educational ministry in the new normal, focusing on Dietrich Bonhoeffer's understanding of the community. I really hope that five functions of the early church in Acts emphasized by Maria Harris and Harvey Cox, should be restored for the educational ministry by the understandings of the faith community as a new normal by John Westerhoff III, Leslie Newbigin, and Dietrich Bonhoeffer. I also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 help for suffering people in the COVID-19.

      • KCI등재

        심리학적, 신학적, 문화상황적 관점으로 본 통전성을 지향하는 영성교육

        채혁수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2

        현대를 살아가는 신앙인들이 가지는 큰 고민 중 하나는 영성의 부재(不在)와 고갈(枯渴)일 것이다. 그러면, 이 영성이란 대체 무엇인가? 안타깝게도 우리들은 너무나 쉽게 우리가 알고 있고 또 믿고 있는 범위 내에서 영성을 정의하고 단정 지으려 한다. 그렇다면 나의 규정적 영성의 정의와 한계를 넘어서는 포괄적인 영성, 그래서 다름과 더불어 대화가 가능한 수용성 있는 통전적 영성이란 무엇일까? 통전성은 몰분류성의 어수선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통전성은 관점의 배제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이에 본고에서는 북미(北美)에서 많이 사용되는 영성신학 입문서라 할 수 있는 마이클 다우니(Michael Downey)의 Understanding of Christian Spirituality에 나오는 현대 영성의 분류에 근거한 심리학적, 신학적, 문화상황적 관점으로 본 통전성을 지향하는 기독교 영성교육에 관하여 살펴보려고 한다. 인간내면의 실존적인 요구에 근거한 심리학적 이해들, 교회연합을 위한 통전적 영성의 신학적 이해들, 그리고 다문화 다종교사회인 한국적 상황 속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전해질 수 있는 기독교의 영성교육은 어떤 정의를 가지며, 어떤 이론적 기초위에 세워져야 할 것인가? 이에 본 논문은 통전성을 지향하는 기독교영성교육의 심리학적, 신학적, 문화상황적 바탕이론에 관하여 연구해 볼 것이다. 우리는 먼저 현대 영성의 유형들에 근거한 통전적 영성이해의 필요들에 관하여 살펴 볼 것이다. 1) 영적 목마름 속의 현대인들의 실존적이며 심리학적 요구와 2) 우후죽순(雨後竹筍)처럼 생겨나 지금은 그 교파의 수조차 헤아릴 수 없이 갈라진 교회의 연합적 필요에 대한 신학적 부응(副應) 그리고 3) 타 종교인과 함께 살아가야 하는 다문화, 다종교의 한국적 상황 속에서 대화의 접촉점으로서의 통전적 영성이해의 필요들을 짚어보려 한다. 두 번째로 이러한 1) 심리학적, 2) 신학적, 그리고 3) 문화, 상황적 필요들을 토대로 통전적 영성에 관하여 그 특징들을 중심으로 정의 내릴 것이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살펴본 이해와 정의를 바탕으로 현장에서의 실천적 적용으로써의 통전적 영성을 지향하는 기독교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시도해 보려 한다. 심리학적, 신학적, 문화상황적 관점으로 본 통전성을 지향하는 영성교육의 방향성은 어떠하여야 하는가? 첫 번째로 통전적 인간 내면의 치유를 위한 관계성 회복의 기독교 영성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 교회연합과 일치를 위한 기독교 영성교육이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앎과 삶을 이어주고, 인간의 내적영성과 외적영성을 이어주는 상황을 고려하는 통전적 영성교육이 되기를 소망한다. One of the biggest issues we modern-day Christians face is the absence and exhaustion of spirituality. Then, what is the spirituality? Unfortunately, we so easily confine the definition of spirituality in the limits of our knowledge and belief. Then, what is the holistic spirituality which is receiptable, enables dialogues with otherness, and expands beyond boundaries of normative definition and limitation of spirituality? On this point, wholeness does not mean unclassified. Even though it is holistic, holistic spirituality would need certain perspectives. Therefore, this study will examine the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toward wholeness based on psychological, theological, cultural-contextual perspectives by employing Michael Downey’s classification of today’s Christian spirituality based on Understanding of Christian Spirituality, which is one of the popular introductory texts for the spirituality in North American seminaries. How do we effectively teach spiritual education in a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existential needs of human mind, a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holistic spirituality for the church unity, and a cultural-contextual understanding of Korean multi-cultural and religious context? Furthermore, how do we establish this theory? Thus, I will offer suggestions for the theoretical bases of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toward wholeness. In developing this study, firstly, I will discuss a need of understanding the holistic spirituality.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I will elaborate existential and psychological needs of contemporary man as an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I also will delve into ecumenical needs of world church as an intra-relational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Furthermore, from a cultural and contextual perspective, I will deal with the dialogue with other religions. Second, I will provide a definition of holistic spirituality in light of the above psychological, theological, and contextual bases. In addition, I will describe characteristics of the holistic spirituality arising from these perspectives. Finally, I will offer several suggestions concerning holistic spirituality for the Christian education. What should spiritual education toward wholeness based on psychological, theological, cultural-contextual perspectives be? First, it should be a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for restoration and healing of relationship in human mind. Second, it should be a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for the ecumenical church union and unity. Last, it should be a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to consider contexts in order to connect knowing and living with inner spirituality and outer spirituality of human beings.

      • KCI등재

        모차르트 음악에 대한 신학적 미학적 고찰과기독교교육적 적용

        채혁수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8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9

        Karl Barth says, "Take your Bible and take your newspaper, and read both. But interpret newspapers from your Bible." Following Barth's saying, how do we deliver our precious Gospel to the next generation which is very familiar with the internet and cyber world? This study is a trial that interprets Wolfgang Amadeus Mozart's music through the eyes of small boy who sits on the shoulder of three giant theologians' [According to Barnard of Chartres] for the next generation. This study is a kind of practical reinterpretation and aesthetic application for the church context. The structu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I will explore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s of three theologians (Karl Barth, Reginald Ringenbach, and Hans Küng) concerning Mozart's music. Based on these three theologian's opinions, in chapter III, I will provide practical theological applications to Mozart's music. Chapter IV will examine practical approaches of these applications in the church context by the use of Christian aesthetic educational eyes. In chapter V, I will conclude the thesis with limitation and suggestions for the next step of this study. I really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 step stone that connects past music, present theology, and future education for the inter-generational study and practical theology through theological interpretation and Christian aesthetic application of Mozart's music. 칼 바르트(Karl Barth)는 “당신의 성경을 들라. 그리고 당신의 신문을 들라. 그리고 이 둘을 읽으라. 하지만 당신의 성경으로 신문을 해석하라.”고 말했다. 이 바르트의 말처럼, 우리는 인터넷과 사이버 세상에 익숙한 다가오는 세대들에게 어떤 공통분모를 가지고, 어떻게 복음을 전할 수 있을 것인가? 이 논문은 과거, 시대를 대표했던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의 음악을 오늘날의 신학으로 해석한 세 명의 신학 거인의 [샤르트르의 버나드 (Barnard of Chartres)의 말처럼] 어깨위에 올라앉은 작은 난장이의 눈이 되어 간학문적 교육(intergenerational education)을 위해 모차르트의 음악을 실천신학적으로 재해석하며, 교회현장을 위한 기독교 미학 교육적 적용을 시도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먼저 II장에서는 칼 바르트, 레기날드 링엔바하(Reginald Ringenbach), 그리고 한스 큉(Hans Küng)의 모차르트 음악에 대한 신학적 해석들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III장에서는 이들 학자들의 해석을 근거로 모차르트 음악에 대한 실천신학적 적용을 시도해 보려 한다. IV장에서는 이러한 모차르트 음악을 기독교 심미적 교육의 눈으로 교회현장에서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를 모색해 보며 V장의 결론에서 그 한계와 나아갈 바들을 제시해 보려 한다. 이 연구가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잇는 모차르트의 음악의 신학적 해석과 기독교 미학 교육적 적용을 통해, 신앙의 선배들과, 지금세대, 그리고 다가올 세대를 잇는 간세대적이며 실천신학적인 작은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신정론과 기독교 교육적 적용

        채혁수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3

        "Oh Dear God, where are you when we face suffering?" Christians and theologians have a responsibility to answer this tough question against the secular world. When we should teach paradox, we also face paradoxical difficulties frequently according to "theodicy". Is it the paradox of truth itself or originally containing fundamental contradiction? Christian education has the purpose to deliver truth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accordance with this purpose, how does Christian education answer the questions based on theodicy? Christian education as a practical theology may find the answers in the connection with other fields like systematic theology and church history. How can Christian education respond to this question, which should regard contexts of humans’ lives and must not ignore the answer for this question as a non-hierarchical and practical field? This study is a trail of these answers for this question; furthermore, this study tries to interpret and apply its answers into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in terms of theodicy. The structu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II, I will examine the definition of theodicy and categories of interpretations for theodicy. In chapter III, I will explore the streams of interpretations for theodicy in Church history and consider the potential and fluidity for change as a new conceptual theodicy. In chapter IV, I will strive to find a suitable interpretation for theodicy in Christian education. Last, completing this study, in chapter V, I will suggest several points of applicationfortheodicyinChristianeducationalfields. “하나님은 그때, 그 고통의 순간에 어디에 계셨습니까?” 신학은 세상의 이 당돌한 질문 앞에 답하려 고민하고 있다. 에피쿠로스의 주장처럼 역설(paradox)을 가르쳐야 할 때 우리는 난처함을 경험한다. 신정론. 이것은 과연 진리의 역설적 모습인가? 아니면 원초적 모순인가? 진리의 세대적 전수를 목적으로 하는 기독교교육은 상황이 가져다주는 신정론적 질문에 어떻게 성경적 진리에 근거하여 답할 수 있을까? 슐라이에르마허(F. D. E. Schleiermacher)가 말한 것처럼 신학의 꽃과 열매에 해당하는 실천신학인 기독교교육은 나무의 줄기인 교회사와 조직신학가운데 연계적 해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성을 무시한 위계적 상위의 초현실적이고 초상황적인 형이상학이 아닌, 삶의 정황 속에서의 응용되어야 실천신학인 기독교교육은 이러한 상황으로부터 기인한 생생한 고난의 질문 앞에 서 있다. 이 연구논문은 이러한 신정론의 질문에 대하여 기독교 교육적 해석을 통해 답하며, 더 나아가 현장에서의 기독교 교육적 적용을 시도하려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II장에서는 신정론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신정론의 해석에 따른 분류들을 살펴보고 III장에서는 교회의 역사 속에서 신정론의 해석에 대한 흐름들을 통한 변화적 가능성과 유동성을 알아볼 것이다. IV장에서는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신정론에 대한 해석을, 그리고 마지막 V장에서는 신정론의 기독교 교육적 현장적 적용점을 살펴보며 신정론과 기독교 교육적 적용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 KCI등재

        아씨시의 프란시스(Francis of Assisi)의 영성과 기독교 교육적 적용 - 가난정신 속에 담긴 영성을 중심으로 -

        채혁수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4

        아씨시의 프란시스(Francis of Assisi), 본고는 인류역사상 가장 예수님을 닮았던 사람이라고 평가되는 프란시스의 가난정신 등 그의 영성을 다시 주목해 보고, 오늘 날 현장에 적용시켜본 연구이다. 오늘날 인류는 물질적 풍요 속에 정신적이고 영적인 빈곤을 경험하고 있다. 나라와 나라, 그리고 각 나라 안에서의 불평등한 경제구조속의 최소 생존의 근원이 되는 식량의 분배, 심지어 국경을 넘어 침입해 들어오는 미세먼지로 말미암아 순간마다 들이 마시는 공기와 물마저도 좋은 것과 나쁜 것의 불균등한 섭취가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생태계의 위기는 사실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이미 위기의 세계는 ‘지구의 허파’라는 아마존을 잃어가고 있다. 결국 우리는 파괴되는 자연과 더불어 불안한 생존의 미래를 바라보게 되었다. 토마스 베리(Thomas Berry)는 이러한 생태위기의 시대를 사는 우리가 “생태대(the Ecozoic era)”를 살아가고 있다고 말한다.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은 파괴되어 줄어가는 자연으로 인해 역설적으로 먹을거리와 입을 거리들이 풍부해 졌다. 풍부함은 또 다른 문제를 불렀다. 청년들은 더 나은 조건을 위해 서로 경쟁하며 더 많이 차지하려 한다. 자라나는 학생세대들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사상을 주입적으로 교육받는다. 그러나 반면 이러한 물질적 풍요 뒷면에 영적인 가난이 찾아왔다. 기준과 표준이 모호한 시대 속에 살아가는 사람들은 그들의 인생을 순종하여 던질 푯대를 발견하지 못한 채 요가, 묵상 등 정신적인 해탈 내지는 다스림으로 그들 영혼을 만족시키기를 원하지만 그 길을 찾지 못하고 있다. 어쩌면 그러기에, 육적으로는 편리하고 배부르나 영적으로는 더욱 불편하고 배고픈 부족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이에 본고는 보이는 것으로는 가난했지만 영적으로 풍요로웠던 아씨시의 프란시스의 영성 중 가난정신을 다시 되짚어 보며, 이 시대, 특히 청년들과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필요한 예수님의 정신을 프란시스를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먼저 II장에서는 프란시스의 생애와 영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III장에서는 프란시스 사상의 중심이 되는 가난정신의 영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볼 것이다. IV장에서는 이러한 무한경쟁과 청년실업시대를 살며 예배할 여유가 없기에 교회를 떠나는 청년세대들을 위해 프란시스의 가난정신의 오늘날 교회현장에서의 영성 교육적 적용을 시도해 볼 것이다. 마지막 장인 V장에서는 앞으로의 미래 자라나는 세대를 위한 제언으로서 프란시스의 영성교육의 시사점들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Some people says that Francis of Assisi is the person most like Jesus in human hist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ay attention to the spirit of poverty of Francis’ spirituality. Humankind has still faces poverty in abundance while the modern society is getting richer. The unequal distribution of food for the minimum source of survival is the main problem internationally. Most countries are even struggling to find quality air breathe and water to drink.. The crisis of the ecosystem has created a severe problem on Earth. The world has already been losing the Amazon, ‘the lungs of the earth’ in large parts. Thomas Berry named the current era of this ecological crisis “the Ecozoic era.” The world is filled with goodies for mouths and bodies but those have caused the destruction of nature. The young men will be competing with one another for better conditions. School children are taught and trained by this idea. On the other hand, however, spiritual poverty has begun to show another way in this affluent world. In this age no standards exist and canon is vague. People have failed to find the way to dedicate their lives. Some people spend a lot of their time doing yoga and meditating for spiritual peace and comfort but they fail easily. Our contemporaries are living rich and prosperous lives, but they are hungry and live in need both mentally and spiritually. Therefore,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spirit of poverty of Francis of Assisi who lived a life that was materialistically poor but spiritually abundant. I am very glad to seek the spirit of Jesus Christ through Francis especially for young people and the next generation.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II, I will research and discuss Francis of Assisi’s spirituality and his life. In chapter III, I will examine Francis’s spirit of poverty in more detail. In chapter IV, for young adult groups leaving the church for reasons such as unemployment and hectic lives, I will introduce and apply Francis’s spirit of poverty specifically to them. Finally, in chapter V, I will offer several suggestions with educational perspectives based on Francis’s spirituality for the next generation.

      • KCI등재

        종교개혁자 루터에게 나타난 기독교 교육적 함의 - 예수의 인자 자의식과 성도의 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 -

        채혁수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7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으며, 한국교회의 침체와 성도감소, 특히 교회학교, 중고등부와 청년부의 쇠퇴를 보며, 청소년, 청년기의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자아정체성 확립의 중요성을 되새겨 봄으로, 이로 인한 다음세대인 교회학교와 청년층의 부흥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논문의 필요와 목적이다. 본 연구는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가 어떠한 역사적 정황과 생애적 상황 속에서 자아정체성을 찾아나갔는지를 심리학적으로 살펴보며, 그 본(本)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의 인자정체성속에서 한국교회와 성도들의 정체성위기를 돌파 할 기독교 교육적 제언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역사적 인물인 루터의 자기발견 내지는 개성화가 선행연구인 청년루터에 대한 역사적 심리학적 연구를 시도한 에릭 에릭슨(Erik H. Erikson)이 말한 자아정체성(self-identity)과의 관계들을 통해 살펴보며, 그 대안적 제시로 오늘날 한국교회 성도의 그리스도인 자아정체성확립이라는 과제 속에 예수의 인자정체성을 통해 그 실마리를 찾아보려는 것이다. 루터라는 종교개혁자의 개혁사상이 인간 마르틴의 자아 정체성과 함께 어떻게 확립되어 나갔는지를 먼저 선행연구인『청년루터』를 통해 살펴보고,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의 이러한 자아정체성의 갈등과 부모의 이미지 속 하나님에 대한 투사들을 어떻게 극복하고, 자기발견 내지는 개성화를 이루었는지를, 칼 융(C. G. Jung)이 말하는 “의식,”과 그리고 “개인무의식”과 “집단무의식”의 요소들 속에 루터를 대입시켜 보며, 분석 심리학적 측면으로 다루어 볼 것이다. ‘우리는 그리스도인으로 어떠한 정체성을 가져야 하며, 또 어떠한 정체성을 가진 그리스도인으로 자라나는 세대를 양육해야 할 것인가?’ 이 실천신학적이고 기독교교육학적인 질문들의 대답을 위한 분석으로 본고는 랄프 타일러(Ralph W. Tyler)가 말한 교육학의 두 체(screens) 중 하나인 심리학을 사용할 것이다. 기존 발달심리학, 그중에서도 사회적 발달심리학으로 역사속의 인물 루터를 탐구하였던 에릭슨의 선행연구를 본으로 하여 융의 분석심리학의 주장들을 빌려와 페르조나를 벗고, 그림자를 극복하여, 자기를 찾아 개성화를 이루어 종교개혁의 대업을 이루었던 루터의 전인적 정체성 확립의 모습 속에서 그가 역사적으로 갈구했던 성경 속 예수님의 인자로서의 메시야정체성의 본을 통하여 그 해답을 찾으려는 것이다. Facing the 500 year anniversary of the Reformation, this study will explore an alternative to reform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nd Christians with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We Korean Christians have experienced an absence of self-identity as Christians. What should we Christians identity with? And how should we Christian teachers teach the next generation, with a healthy identity based on a sound theological confession? In order to respond to these questions, this paper has the following components: First, through a psychological approach, this study will explore how Martin Luther's identity is to be established by Erik Erikson's theory. Second, applying Luther's case to C. G Jung's elements of personal unconscious and collective unconscious, this paper will deal with the process of Luther and how he had overcame his shadows in his period of growth and found 'the self' through individualization. Third, in order to get a clue to solve the task of the identity crisis of Korean Christians, this paper will explore the son of man Christology from the perspectives of systematic theology and biblical theology. Luther was a man who fought to overcome his complex with a balance between archetype and complex and his shadow with a balance between ego and shadow. He tried to get over distorted images of parents and God in personal unconscious and collective unconscious. Finally, he accomplished the Reformation, finding a balanced, harmonized, and holistic self. With the help of Jung's psychological perspective, I will trace a historical person, Luther, in this study, based on the psycho-historical study of Luther by Erik Erikson and theological approaches about the Son of Man Jesus as precedent studies. Through Martin Luther's case study, examining how he looked forward to his identity, I would like to offer several suggestions about Christian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ir identity crisis for Korean Christians with a role model of Jesus Christ's Son of Man identity.

      • KCI등재

        기독교 영성교육에 있어서 회심과 양육의 통전적 결합에 관한 연구: 십자가의 요한의 “영혼의 어두운 밤” 개념을 중심으로

        채혁수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8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6

        In the 500 years since the Reformation, The Korean Church has experienced internal and external disturbances and crisis of oneness. Internally, there are the hereditariness of the senior pastor position and attacks of heresy such as Shinchunji. Externally, The Korean Church meets a problem of taxation of religious men. Seeking the reason of The Korean Church's problems, some say it causes an indiscriminate acceptation of Church members. Others say, even though obedience of Jesus’ commitment (Matthew 28:19-20) does not matter, the problem is the absence of a nurturing system for new believers in The Korean Church. From that comes The Korean Church's ignorance of Paul’s command in the Bible: nurturing of mature and pious Christians (1 Timothy 4:7-8). What comes first? Propagation of Christianity or the nurture of mature Christians? This issue leads to a dispute between two Jameses in the Christian Education department: James W Fowler and James E. Loder. This study will deal with the debate between 'conversion's priority' and 'nurture's priority' as one of Christian Education's classic battles dating back to 1981. This educational issue also relates to spiritual theology's issue about the debate between spiritual formation based on God's immanence and spiritual exercise based on God's transcendence. To this point, in spiritual education,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dark night of the soul of St. John of the Cross as the meeting point of these two extremes. Thus, first of all, this study will explore Fowler and Loder's theories. After that, I will trace the dark night of soul of St. John of the Cross as an answer to the dispute. The structu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Ⅱ, I will deal with the dispute between conversion and nurture in Christian Education. In this chapter, I will explore the conversations of Fowler's stages of faith, Loder's transforming moments, and each opinion in more detail. In chapter Ⅲ, I will explain three traditional ways of spirituality to the union with God: Imitation of Christ, Pilgrimage, and an ascent to union with God. Through the third way, I will find the meeting point of Loder's (conversion) and Fowler's (nurture) theories. In chapter Ⅳ, I will deeply examine a representative model of a way of an ascent to union with God, the dark night of the soul of St. John of the Cross. In chapter V, as an applied part, I will conclude this study by offering suggestions for the future and the task of Christian education fields.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의 오랜 논쟁중 하나인 회심과 양육에 대하여 다룬다. 종교개혁이 일어난 후 500주년을 보내며, 한국교회는 내부적으로는 담임목회의 세습과 신천지와 같은 이단들의 공격들이 있고, 외부적으로는 종교인 과세의 문제를 맞고 있다. 양적성장을 고집하던 한국교회는 질적인 우려의 대상이 되어, 세상을 변화시켜야 할 교회가 오히려 세상의 염려를 받고있는 실정이다. 그러면 그토록 추구하던 양적성장은 어떠한가? 1994년 이래 교회의 고속 양적성장 마져도 멈춰 버렸다. 무엇이 문제인가? 무분별한 교인영입을 목표로 한 행사성, 내지는 단회성의 전도적 회심집회가 문제인가? 아니면 예수의 유언적 명령인 전도에는 문제가 없으나, 바울의 성경적 명령인 경건한 그리스도인을 키우는 꾸준하고 계속적인 제자훈련을 통한 양육의 부재(不在)가 문제인가? 이러한 회심-양육논쟁은 이미 기독교교육학계의 오래된 난제이다. 제임스 로더(James E. Loder)의 회심에 기반한 ‘변형이론’과 제임스 파울러(James W. Fowler)의 양육에 기반한 ‘신앙발달이론’의 논쟁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비단 기독교교육의 논쟁만은 아니다. 영성학에서도 그 근본문제에 있어서는 이 화두를 벗어나기 어렵다. 긍정신학과 부정신학에 각각 바탕을 둔 영신수련(spiritual exercise)과 영성형성(spiritual formation)도 결국 이러한 긍정의 길(via positiva)을 강조하는 하나님의 내재성(Immanence)과 부정의 길(via negativa)을 강조하는 하나님의 초월성(transcendence)중 어떤 것에 기인하느냐의 문제로 비슷한 양상으로 전개된다. 이에 본고는 이러한 논쟁의 중재를 위한 접촉점을 십자가의 요한의 “영혼의 어두운 밤”에서 찾고자 한다. 왜냐하면 영성형성의 하나님과의 일치를 향한 상승모델 중 십자가의 요한의 “영혼의 어두운 밤”에서 회심은 양육으로 이어지고 이 양육은 또 다른 회심을 필요로 하며 연결되어 가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처럼 회심, 양육, 그리고 이 둘의 만남의 장으로서의 십자가의 요한이 주장한 “영혼의 어두운 밤” 개념을 통해 회심과 양육의 연속선상의 기독교 영성교육적 적용점을 찾아가는 연구이다.

      • KCI등재

        세대통합의 영성교육 - ‘실천-이론-실천’ 모델을 적용한 존 웨스터호프 3세의 이론을 중심으로 -

        채혁수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6

        한국교회는 고령화되어가고 있다. 그 가운데, 발생한 코로나 19의 상흔은 크다. 1995년부터 감소하던 한국교회의 교회학교는 코로나로 인하여 존폐의 위기에 놓였다. 대안은 없는가? 줄어든 교회학교를 강소형(强小形)으로 다시 일으키고자 하는 시도들 이 일어나고 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세대통합예배이다. 이 연구는 그동안 뒷전으로 밀려 있던 교회학교를 교회의 전면으로, 아이들이 소외되던 성인 중심의 예전에서 공 동체 전체 구성원이 참여하는 예배로, 일생을 교회력과 함께, 예배를 일상으로 이어, 앎이 삶이 되고 신앙이 실천이 되는 세대통합의 영성교육을 살펴보는 논문이다. 돈 브라우닝(Don S. Browning)과 리처드 오스머(Richard R. Osmer)가 주장하는 실천적 현장의 도전-> 이론적 근거-> 다시 실천적 현장으로의 “실천-이론-실천 (practice-theory-practice)” 모델의 도식을 따라 먼저 특별히 실천의 현장의 도전인 금당동부교회의 세대통합 예배의 사례를 들며(실천적 장의 도전), 존 웨스터호프 3세 (John H. Westerhoff III)의 영성교육에서 그 신학적, 기독교교육학적 이론적 근거들 을 살펴보고(이론적 근거), 다시 실천적 현장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시도해 보려 한 다(다시 실천으로). 이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I장인 서론에서는 포스트 코로나(post-corona) 시대를 맞는 오늘날의 한국교회의 교회학교의 위기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연구의 진행 과정을 설명할 것이다. 본론격인 II장에서는 실천적 현장의 도전인 금당동부교회의 세 대통합예배와 그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알아볼 것이다. III장에서는 영성과 교육의 재 개념화를 통한 이음줄을 놓으며, IV장에서는 세대통합적 영성교육을 위한 그 이론적 근거로 존 웨스터호프 3세의 신앙 공동체-문화화 패러다임(a community of faith-enculturation paradigm)을 살펴볼 것이다. V장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다시 앞으 로의 실천적 현장의 세대통합 영성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시도해 볼 것이다. 마 지막 결론인 VI장에서는 논문을 요약하며 앞으로의 과제와 연구의 의의들과 한계를 되짚어 보고자 한다. The result of COVID-19 is much more bitter than we expect. The church schools of Korean churches, which started reducing from 1995, now faces a crisis of existence. How do we solve this problem? Are there any alternative solutions? There are several trials to overcome the situation and make a small but strong church school. One of them is through inter-generational worship. This study hopes t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spiritual education for the inter-generation which has characteristics that church schools hope to revive, such as; including children in community’s participant worship and reestablishing the connection between knowing and doing and between lifetime and worship with church calendar in the whole life journey. In the scheme of Don S. Browning and Richard R. Osmer, “the challenges of praxis -> theory -> to the practice (practice-theory-practice), firstly, I will give an example of the inter-generational worship service of the Geumdang Eastern Presbyterian Church in this thesis. Under this scheme, secondly, I come back to the theory of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of John Westerhoff III. Lastly, I will try several suggestions for the practical fields. The structu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 as an introduction part, will address Korean church schools in the situation post-COVID-19. In chapter II, I will examine the inter-generational worship service of the Geumdang Eastern Presbyterian Church and its Christian educational meanings. Chapter III will be a connector between spirituality and education with it’s re-conceptualizations. In chapter IV, I will pay attention to a community of faith-enculturation paradigm of John Westerhoff III as the theoretical base for inter-generational spiritual education. Based on this, in chapter V, I will offer several suggestions for future inter-generational spiritual education in practical field. Finishing this thesis, in chapter VI, I will summarize the study and find the meanings and limitation of th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