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서울 지역의 동학 활동 연구

        채길순 동학학회 2014 동학학보 Vol.0 No.30

        When Je-Woo Choe Founded Dong-hak Revolutionary Movement in Gyeong-Ju area, Joo-Seo Kim had already led Dong-Hak Movement in Hanyang or Seoul. Chang-Han Choe's in Seoul was the headquarter of the Group Appeal Movement in February 1893. More than 840 Dong-hak followers from Seoul and Suwon region congregated at Boeun-Jangnaeri rally in March. There was a war during Donghak Peasant Revolution from June to July, 1894. 지금까지 동학 및 동학농민혁명사 연구가 전라도 전봉준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점차 지역이나 인물 연구가 확장되었지만 서울지역 동학활동이나 인물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서울지역의 동학 활동과 관련된 역사적인 인물과 사건들이 문헌에 빈번하게 등장한다. 이는 다음과 같다. ① 동학 창도 시기인 1863년에 창도주 최제우가 접주제를 실시하고 13개소에 접소를 설치하면서 “경기(京畿, 서울 ․ 경기) 김주서(金周瑞)”라는 동학지도자가 초기부터 등장한다. ② 1889년 10월, 서울의 동학접주 신정엽(申禎燁, 경성인) 서인주(徐仁周 · 서장옥) 강한형(姜漢馨) 등이 체포되었다. ③ 1893년 광화문복합상소 시기에 동학교도 최창한(崔昌漢)의 집에 본부를 두고 활동했다. ④ 1893년 보은 장내리 집회에 “경성 ․ 수원접(京城 水原接) 840명”의 동학교도가 참가할 정도로 당시 서울 경기 지역에 동학 교세가 성했다. ⑤ 동학농민혁명이 전개될 때 동학교단은 조정이나 청국 일본군의 움직임을 신속하게 포착하고 있었는데, 이는 서울지역 동학교도의 왕성한 첩보 활동을 의미한다. ⑥ 동학농민혁명 시기(청일전쟁 중)인 6-7월에 서울에서 동학교도 23인이 봉기를 획책한 ‘동학당 경성 습격 통모 사건’(東學黨京城襲擊通謀事件)’이 계획되었으며, 1895년에 이 사건에 대한 재판이 진행되었다. ⑦ 동학농민혁명이 끝나자 앞의 ‘동학당 경성 습격 통모 사건’을 포함한 수많은 동학농민혁명 혐의자가 서울로 압송되어 재판이 진행되었다. 이 재판에 서울 지역의 많은 동학교도가 등장한다. ⑧ 동학농민혁명이 끝난 뒤 2세 교주 최시형이 원주 송골에서 체포되어 여주를 거쳐 서울 옥에 갇히자 수많은 동학지도자들이 서울에 잠입하여 동학 활동을 한다. 위 사건에 따르면 서울 지역이 동학농민혁명의 중심에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최시형이 체포된 뒤 서울로 압송되자 동학지도부가 서울로 잠입하게 되고, 이를 계기로 동학 재건에 나서게 된다. 차츰 동학 교세가 성장하고, 뒷날 천도교로 개칭되어 3.1을 운동을 주도하게 된다.

      • KCI등재

        구비 전승담으로 본 홍천 동학농민혁명 전개 양상

        채길순 동학학회 2015 동학학보 Vol.0 No.37

        As stories orally transmitted by the people are based on facts about historic events or reflect the positions of victimized families or witnesses, they tend to let us know facts about history. Contrary to this, literatures written by punitive forces or reported by the government often exaggerate or distort historical facts in order to set force their own contributions or avoid reproachful accusations. Donghak was introduced to Hongcheon area in March, 1869 when Choi Si-hyeong, the second head of Donghak, escaped to Gangwon-do area. With its solidified congregation, Boeunchwihoe was held in March, 1893 to square accounts with Choi Je-woo, the first head of Donghak, and a lot of believers in Gangwon-do area including Hongcheon Daejeopju Cha Gi-seok attended it. When Donghak Peasant Revolution occurred in September, 1894, the Donghak peasant army in Hongcheon secured food attacking Dongchang, the storage of its government office, and got armed. Allied with forces from other regions, it drove on to occupy the government office of Gangreung but had to withdraw after three days on account of conservative Hyangban forces. In the middle of October, the punitive forces of conservative public-private allies were organized to counterattack. The first battle broke out in Jangya-chon of Hwachon-myeon in Hongcheon-gun on October 21st, and it killed 30 or so Donghak peasant soldiers. The Donghak peasant army that withdrew from it built its strongpoints on a small hill in Seoseok-myeon of Pungam-ri and the Hill of Jajak in Jindeung but had to be in retreat after the battle lasting for three days and leading to 800 or so victims. Inside the rough mountain covered with leaves, the Donghak peasant army confronted the punitive forces and initiated the guerrilla war but ended up defeating repeatedly. After that, the leader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cluding Cha Gi-seok and Pak Hak-jo got arrested and executed, which mad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Hongcheon come to an end. Around Pungam-ri, the largest ferocious battlefield of it, there have been a number of orally transmitted stories about the history of Hongcheon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y have been handed down continuously for long. The stories transmitted are mainly about the activiti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Hongcheon area. Also, they are particularly about the enormous scale of victim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who were killed in the Pungam-ri battle, origins of the place names like Jindeung or the Hill of Jajak, witnesses of the corpses, or stories about the ghosts. The stories transmitted reflect how Donghak Peasant Revolution was developed in Hongcheon area entirely. 민중의 입을 통해 전해진 전승담은 역사적인 사건에 대한 현장성이 담겨 있어서, 또는 희생자 유족이거나 목격자의 입장이어서 역사적 진실이 담겨 있다. 이에 비해 토벌 세력에 의해 기록된 문헌이나 관에 보고된 문건은 자신의 공을 내세우거나 문책을 피하기 위해 작성되어 역사적 사실을 과장하거나 왜곡시킬 여지가 있다. 강원도 홍천 지역에 동학이 유입된 것은 1869년 3월, 2세 교조 최시형이 관의 지목을 피해 강원도 지역으로 도피하면서부터였다. 막강해진 동학 교세를 바탕으로 1893년 3월, 정부를 향해 창도주 최제우의 신원을 호소하는 보은취회에 홍천 대접주 차기석을 비롯한 강원 지역의 많은 동학교도가 참여했다. 1894년 9월,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나자 홍천지역 동학농민군은 다른 지역 세력과 연합하여 강릉관아를 점령하여 집강소를 설치하려 했지만 보수 향반 세력의 기습으로 패하고 3일 만에 물러났다. 이들은 흩어지지 않고 관청 창고인 동창을 습격하여 군량을 확보하고 무장에 나섰다. 10월 중순, 지평 맹영재가 이끄는 관민 보수연합 세력의 토벌군이 결성되어 반격에 나섰다. 첫 전투는 10월 21일 홍천군 화촌면 장야촌에서 벌어져 동학농민군 30여 명이 사망했다. 여기서 후퇴한 동학농민군은 서석면 풍암리의 작은 구릉과 진등 자작 고개에 진지를 구축하고 3일 간의 전투에서 800여 명의 희생자를 낸 채 후퇴했다. 동학농민군은 나뭇잎이 떨어진 험한 산속에서 토벌군에 맞서 유격전을 벌였지만 무기의 열세로 거듭 패했고, 결국 동학농민군 지도자 차기석 박학조 등이 체포되어 처형되면서 홍천 지역 동학농민혁명이 막을 내렸다. 최대 격전지였던 풍암리 주변에는 홍천 동학 및 동학농민혁명사와 관련된 구비 전승담이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오고 있었다. 전승담에는 홍천 지역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다양하게 구술되었고, 특히 풍암리 전투에서 사망한 동학농민군의 희생 규모에 대한 전문(傳聞)과 비극성, 진등 · 자작고개에 얽힌 설화와 지명 유래담, 유해 목격담, 귀신 출몰담 등이 담겼다. 이 같은 전승담에는 앞에서 제시한 홍천 지역 동학농민혁명의 전개과정이 온전하게 나타나고 있다.

      • KCI등재

        스토리텔링으로 구성한 조선시대 서소문 지역 민중사 전개과정

        채길순 동학학회 2016 동학학보 Vol.0 No.38

        조선시대 서소문 및 서대문 밖 지역은 민중의 아픈 역사가 새겨진 곳이다. 조선후기에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국토가 황폐화 되었고, 경제도 피폐해졌다. 이런 고난을 극복한 것은 국가 통치자가 아닌 민중 자신이었다. 이에 따라 계급 체계가 흔들리기 시작했고, 정권도 위협 받기 시작했다. 민중들은 국가 권력에 절대 복종이 아닌 모순된 사회 현실에 저항하기 시작했다. 평등사상을 지닌 동학과 천주교의 등장도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이렇게 되자 봉건 보수 지배계층은 개혁주의자들이나 천주교도와 동학교도를 처형 대상으로 삼았다. 조선시대에 서소문 지역에는 죄수를 가두는 감옥이 있었고, 서소문 밖에는 죄수의 목을 베는 처형장이 있었으며, 저잣거리에 삼각대를 세워 머리를 매달아 사람들을 경계했다. 조선 시대에 새로운 세상을 열기 위해 투쟁하다가 주동자들이 처형된 사건은 다음과 같다. 1618년, 사회 개혁을 주장했던 허균이 만조백관 앞에서 공개 처형되었다. 1801년 신유박해에서부터 1839년, 1866년, 1871년까지 60여 년 동안 천주교 신자 84명이 서소문 밖 여러 지역에서 순교했다. 1811년, 평안도 지역에서 난을 일으킨 홍경래와 주동자들이 처형되어 서소문 밖에 효시되었다. 1868년 8월 3일, 정덕기 윤내형 박윤수가 서소문 밖에서 참수되었다. 이들은 제너럴셔먼호 사건 등 잦은 외세 침입의 어수선한 틈에 무능하고 부패한 정권을 무너뜨리려던 사건이었다. 1871년 3월, 이필제는 영해에서 교조신원운동을 위해 영해 부사를 처단하고 관아를 점령했다. 이필제는 끝내 붙잡혀 서울로 압송되어 처형된 뒤 서소문 밖에 효시되었다. 1882년에 부패한 관리를 처단하기 위해 훈련도감의 군병들이 난을 일으켜 정권이 위협을 받게 되었고, 민비(왕비)가 피신하는 사건(壬午軍亂, 임오군란)이 일어났다. 주동자들이 서소문 밖에서 처형되었다. 1881년, 일본의 서구화를 따르자는 위정척사를 상소한 유학자 홍재학이 처형 되었다. 1884년에 정치개혁을 위해 선각자들이 정변을 일으켰으며(甲申政變, 갑신정변), 정부 요인들이 살해되었다. 이 사건 주동자들이 서소문 밖에서 처형되었다. 1894년 10월에 수원의 동학지도자 안승관 김내현이, 12월에 동학지도자 김개남 성재식 안교선 최재호 등이 서울에 압송되어 처형되었고, 서소문 밖에 효시 되었다. 1895년 전봉준과 손화중 김덕명 최경선 성두한 동학지도자들이 교수형으로 처형되었다. 그러나 이들의 처형 장소와 머리가 효시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1895년, 1894년 동학농민혁명 시기에 서울 도성 안에서 난을 일으켰던 ‘동학당 주동자’들이 교수형에 처해졌다. 그러나 역시 처형지와 머리가 효시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1897년 8월, 일본이 조선침략의 일환으로 강행한 대한제국 강제 군대 해산에 저항하여 서소문에서 일본군과 조선군 사이에 전투가 벌어져 조선군이 일방적으로 희생되었고, 시체가 1개월이 넘도록 서소문 밖에 방치되었다. 이때부터 전국으로 독립운동이 전개되었다. 1898년, 동학농민혁명이 끝나자 민주주의 정권을 염원하는 독립협회가 생겨났다. 조선 정권은 독립협회 간부 17명을 체포하여 서소문감옥에 투옥하거나 서소문 밖에서 처형했다. 1898년에 동학 2세 교주 최시형이 서소문 감옥 생활을 했고, 동학지도자 서장옥 손천민이 처형되었다. 조선시대에 서소문 지역은 사회 개혁을 위해 저항한 민중들의 참 ... The area outside of Seosomun and Seodaemun in Joseon Dynasty is the place painful history of people is carved. In the course of suffering from Japanese invasions of Korea and the Manchu war of 1636, a country came to be devastated and the economy got impoverished as well. It was people themselves who got over such hardship instead of national ruler. For this, rank system started to totter and government was also threatened. People started to insist on distorted reality of society, setting absolute obedience toward government power aside. The emergence of Donghak bearing ideology of equality and the Roman Catholic served as significant origin. The feudal conservative ruling class considered Roman Catholic and Donghak followers as target of execution. There was a prison imprisoning the prisoners in Seosomun area and outside of Seosomun, there was an execution ground cutting off the head of prisoners. They hung the head on tripod in order to keep strict watch to people. The cases including executions caused by struggles to open the new world in the Joseon period are as follows. In 1618, Heo Gyun strenuously insisting on social reform was executed in front of all the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of the court. From Catholic Persecution of 1801 up to 1839, 1866, and 1871, 84 Roman Catholics died for their believes in several areas out side of Seosomun. In 1811, Hong Gyeong-Rae and leaders rebelling at the Pyong An area were executed outside of Seosomun. In August 3 1868, Jeong Deok-Gi, Yun Nae-Hyeong and Park Un-Su were executed outside of Seosomun. It was the case intending to break down incompetent and corrupt regime through making the most of a chance of foreign invaders such as General Syeomeon ship case etc. In May 1871, Lee Pil-Jae punished deputy delegate and occupied government office for the sake of Doctrine Identity Movement on territorial waters but came to be caught. They were executed outside of Seosomun. In 1881, Hong Jae-Hak who appeared li learning of following Japanese westernization as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 was executed. In 1882, In order to punish corrupt government official, soldiers on military camp that defended capital city during Joseon dynasty rebelled and the government became threatened, resulting in queen`s escape case. The relevant leaders were executed outside of Seosomun. In 1884, For political reform, the pioneers made uprising(Gapsin Coup) and key figures in the government were murdered. The leaders of this case were executed outside of Seosomun. In October and December 1984, An Seung-Gwan, Kim Rae-Hyeon, Kim Gae-Nam and Seong Jae-Sik , An Kyo-Sun, and Choi Jae-Ho etc were sent to Seoul and executed. They were shown to people outside of Seosomun. In 1895, the Donghak leaders such as Jun Bong-Jun, Son Hwa-Jung, Kim Duck-Myung, Choi Kyung-Sun, and Sung Du-Han were executed. However, the execution place and status of their heads` being shown to people did not become known. In 1894, 1895, the period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Donghak party leaders’ rebelling in castle town in Seoul were executed. However, the execution place and status of their heads` being shown to people did not became known. In 1898, upon the end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dependence Club desiring for democratic political power appeared. Joseon government arrested 17 executives and imprisoned or executed them outside of Seosomun. In August 1897, as a result of resisting on compulsory dispersion of army of Korean empire pushed ahead as a way of Japanese Joseon invasion, the battle occurred between Japanese army and Joseon army. The Joseon army were sacrificed unilaterally and the bodies were left as they were for over one month. From that time on, independence movement was carried out nationally. In 1898, Choi Si-Hyung, religious sect leader of Donghak second generation was imprisoned and executed. The area of Seosomun in Joseon period is ‘historical place’ occurring the e...

      • KCI등재

        김천지역 동학농민혁명 전개 과정과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 사적지를 중심으로

        채길순 동학학회 2016 동학학보 Vol.0 No.4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Gimcheon, and how this historical fact could be introduced to local residents of Gimcheon and visitors using the effective cultural contents. Though the study on the history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around Gimcheon was done from early, it only remained in the academical area and there were not many opportunities to introduce it to the general public. Therefore,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in showing the fact that Gimcheon is the area where the struggles and fights were intense since the time when Donghak was first propagated until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followings are the contents of this study. First, the activities of Donghak leaders(Daejeopju) were actively done, with their several bases around Gimcheon government office. Second, in early August, 1894, Daejeopju Pyeon Boeon with the biggest power among all Donghak members, installed Daedoso at Gimcheon market, which was a transportation hub. Third, when Choi Sihyung’s ‘Giporyeong to nationwide Donghak believers’ was delivered to Gimcheon on September 24th, Pyeon Boeon immediately delivered it to other Donghak leaders in nearby districts and led the armed resistance. Though Donghak peasant troops occupied Seonsan Fortress, many of Donghak peasant troops were sacrifced due to the defeat from the surprise attack of Japanese troops. Besides this, according to Japanese record, there were many Donghak peasants shot around Gimcheon and Gaeryung.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material for developing cultural contents about the history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Gimcheon, and for this, there should be more extensive study done for local history of Gimcheon. Additionally, there should be some explanatory signboards installed around historic sites, and based on this, there should be some tourist routes developed for local cultures or for historical experience around historic sites. For the next step, by making the process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Gimcheon into a story, it should be produced into various cultural contents such as information pamphlet about the history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Gimcheon, tourist maps with themes, leaflets, comics, media using CD, and documentaries, leveling it to sharing targets’ level of education or ages. 이 연구의 목적은 김천 동학농민혁명사적 전개 과정을 살피고, 이런 역사적 사실을 효과적인 문화 콘텐츠를 활용하여 김천 지역 주민 및 이 지역을 찾는 사람들에게 ‘역사적 사실’을 널리 알리는 데 있다. 김천 지역 동학농민혁명사 연구가 일찍부터 이뤄졌으나 다만 학문적 영역에 머물렀고, 일반 시민들에 게 알려질 기회가 별로 없었다. 따라서 이 글의 의의는 김천 지역이 동학 포교시기부터 동학농민혁명 시기에 이르기까지 투쟁활동이 치열했던 지역이라는 사실을 드러내는데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1894년 봄에는 김천 관아 인근 여러 곳에 거점을 둔 동학 대접주들의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둘째, 1894년 8월 초에 동학교도 세력이 가장 컸던 편보언 대접주가 교통 요지인 김천장터에 대도소를 설치했다. 셋째, 9월 24일, 최시형의 ‘전국의 동학교도 기포령’이 김천에 전달되자 편보언은 인근 지역 접주들에게 이를 즉시 전하고, 무장 투쟁에 나섰다. 동학농민군이 선산읍성을 점령했지만 일본군의 기습공격으로 패하여 많은 동학농민군이 희생되었다. 이밖에도 일본군 기록에 따르면 김천과 개령에서 많은 동학농민군이 총살되었다. 이 연구의 가치는 김천 동학농민혁명사에 대한 문화 콘텐츠를 개발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김천 지역 역사 연구 과정이 더 폭넓게 이뤄져야한다. 이어 관련 사적지 안내판이 설치돼야 하며, 이런 토대 위에 지역 문화 관광 코스를 개발하거나, 사적지를 중심으로 역사체험의 답사 코스 개발이 필요하다. 다음 단계로, 김천 동학농민혁명 전개과정을 스토리텔링화 하여, 공유 대상의 연령이나 교육 수준에 맞춰 김천 지역 동학농민혁명사 안내 소책자, 테마 관광지도, 리플렛, 만화, CD매체, 다큐멘터리 동영상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로 제작하여 보급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홍보돼야 한다.

      • KCI등재

        수원 지역 동학농민혁명 전개 과정과 문화 콘텐츠 활용 방안

        채길순 동학학회 2017 동학학보 Vol.0 No.4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development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Suwon and fi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it. In Suwon, Donghak has been propagated from the early days after its foundation, by various Donghak teachers including Seo Jangok, An Seungkwan, Kim Raehyeon, An Gyoseon, Choi Jaeho, Lee Mindo, Na Cheongang, and Lee Changseon. Based on the strong religious influence, Suwon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to protect the ideology including Gwanghwamun joint appeal and Boeun assembly. In 1894, during the late stage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participants occupied the Suwon Castle and continued their fight around Suwon. Kim Wonpal, who led occupation of the Suwon Castle, was executed on the site, before arrest and beheading of An Seunggwan and Kim Raehyun in October 1894 and An Gyoseon and Choi Jaeho in December 1984 in Seoul. Their heads were displayed in the street of Chilpae Market outside Seosomun for three days and then moved to the Gyeonggi regional administrator’s office. After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followers, mainly in the form of Cheondogyo, continued the rebellion including 3.1 Liberation Movement. Comprehensive research on Donghak and Donghak peasant army in Suwon and the surrounding areas, as well as on utilization of the relevant cultural contents need to be conducted. 이 연구의 목적은 수원 지역 동학 동학농민혁명사의 전개과정을 살펴서, 이를 통해 수원 동학의 역사적 의의와 과제를 도출하는데 있다. 방법은 사료 중심의 실증적인 전개이다. 연구의 주된 내용은 수원 지역에 창도 초기부터 동학 포교가 시작되었으며, 서장옥, 안승관, 김내현, 안교선, 최재호, 이민도, 나천강, 이창선 등 많은 동학농민군지도자들의 포교활동을 벌여왔다. 수원은 막강한 교세를 바탕으로 광화문복합상소와 보은취회 등 교조신원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1894년 동학농민혁명 후기에는 수원성 및 수원성 주변 지역에서 투쟁활동을 벌였다. 수원성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김원팔은 수원성 안에서 처형되었으며, 1894년 10월에는 안승관 ·김내현이, 12월에는 안교선 ·최재호가 서울로 압송되어 참수되었다. 이들의 머리는 서소문밖 시장 거리에 3일 동안 효시 되었다가 출신 지역 감영으로 이송되어 지역의 저자거리에 다시 효시되었다. 동학농민혁명 이후에도 천도교를 중심으로 3·1만세운동, 갑진개화운동 등으로 저항적 전통을 이었다. 수원 및 주변 지역의 동학 및 동학농민군 활동에 대한 총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역 문화 콘텐츠 활용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 KCI등재

        영동 지역 동학농민혁명 전개 과정과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채길순 동학학회 2018 동학학보 Vol.0 No.48

        This article is aimed at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Youngdong area and presenting ways to promote cultural contents. Youngdong, one of areas in Chungcheongbuk-do Province, has a regional characteristic from the three areas of Jeolla-do, Gyeongsang-do, and Chungcheong-do province which was suitable for the performance of propagation of religion oppressed by the government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Donghak appears to have been introduced to the Hwangan area since the early days of Changdo. However, full-scale activities began in 1887 with the introduction of Jae-byeok, Jo. The bridge over the Yeongdong and boundary of Hwanggan was extended to the Cheongsan, Okcheon, Boeun, Geumsan, Jinsan, and Gosan, which making it a powerful bridge. Based on this, Ch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Gongju Assembly, Samrye Assembly (1892), the Gwanghwamun Joint Appeal and the Boeun Assembly (1893). On March 8, 1894, the prelude 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as held in Jinsan and Geumsan where King Jae-byeok, Jo was captured. In September, about 10,000 East-Eastern farmers in the Yeongdong area came together to seize and arm by themselves. Byung-hee, Son separately led 10,000 Donghak Peasant in Gyeonggi & Chungcheong area and advanced to Nonsan, joining Bong-joon, Jeon and Donghak Peasants in Jeollanamdo Province to form a coalition and launch the attack to Gongju Castle. During this time, the unit of Donghak Peasant of Hwanggan Okcheon, and Youngdong defeated local soldiers at the Hoedeok area and advanced to Daegyo located northeast of Gongju. Donghak Peasants, who lost the fight against Japan, joined the main team led by Byunghee Son. When Donghak Farmers entered into Gongju in the Youngdong area, Gyeom-jae, Lee a former prison officer, fought with Donghak Peasants in Seokseong-ri, Jung-gu on November 5, killing 40 people. Donghak Peasants’ Army in Chungcheong area retreated from Woogeumchi, Gongju to Imshil’s Saeok, which was defeated by Japanese new weapons. In this case, Donghak Peasants’ Army meets Si-hyung, Choi a second-generation teacher, moves north along the Sobaek Mountains, takes 18 major and small battles, and takes over the Youngdong Hwanggan government. They have a big fight at the Yongsan Market Place, and Bob enters back into the Booksil, Boeun and loses huge one. As the core forces of Donghak Peasants’ Army declined, the Japanese army of local conservatives and local militias staged a crackdown on Donghak Peasants, and many of them were arrested and executed. Other than Jae-byeok, Jo as the leader of Donghak in Youngdong area, there are Pan-seok, Lee ·Chul-joong, Kim·Tae-pyeong, Kim·Go-mi, Kim·Aun-soon, Bae·Kwang-bong, Park·Il-hoe, Song·Il-chang, Song·and Hak-gil, Bae. The cultural contents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e Youngdong area should be approached through comprehensive measures such as storytelling, re-adjustment of historical sites, promotion of local history& education activities, and development of research courses. 이 연구의 목적은 충청북도 영동지역 동학농민혁명의 전개 과정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한 문화콘텐츠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충청북도 영동은 전라 경상 충청 3도를 접한 지역적인 특성으로, 조선 말기에 정부로부터 탄압을 받는 종교 동학이 포덕 활동하기에 적합한 지역이었다. 황간 지역에는 동학이 창도 초기부터 유입된 것으로 보이지만 본격적인 활동은 1887년 조재벽의 입도로 비롯되었다. 조재벽의 포교 범위는 영동 황간경계를 넘어 청산 옥천 보은 금산 진산 고산 지역으로 넓혀서 막강한 교세를떨쳤다. 조재벽은 이런 교세를 기반으로 교조신원운동인 공주취회 삼례취회(1892년), 광화문복합상소와 보은취회(1893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1894년 3월 8일, 조재벽 접주는 금산에서 기포하여 금산 진산에서 기포하여 전투를 치러 동학농민혁명의 서막이 올랐다. 9월 재기포 시기에는 영동 황간 지역 1만여 명의 동학농민군이 일제히 일어나 영동 황간 관아를 점령하여 무장한 뒤 진을 쳤다. 이와는 별도로 손병희가 1만 명의 경기 충청 지역 동학농민군을 이끌고 논산으로 진출하여 전라 지역 전봉준 동학농민군과 합류하여 연합군을 형성하여 공주성 공격에 나섰다. 한편, 이와 같은 시기에 영동 황간 옥천의 동학농민군은 회덕 지명장터에서지방군을 물리치고 나서 공주 동북쪽 대교로 진출했다. 대교전투에서 패한동학농민군은 손병희가 이끄는 본진에 합류했다. 영동지역 동학농민군이 공주로 들어간 시기에 교도대 대관이었던 이겸재가 11월 5일 청산 석성리에서 동학농민군과 싸움을 벌여 40명을 포살했고, 11 월 8일에는 양산장에서도 동학농민군과 싸움을 벌여 50 명을 포살했다. 충청지역 동학농민군은 공주 우금치에서 일본 신무기에 눌려 크게 패해 임실 새목치까지 후퇴했다. 여기서 동학농민군은 2세 교주 최시형을 만나 소백산맥을 따라 북상하면서 18차례의 크고 작은 전투를 치르고, 영동 황간 관아를 다시 점령한다. 이들은 용산장터에서 큰 싸움을 치른 뒤, 보은 북실로 들어가 크게패한다. 동학농민군 중심 세력이 쇠퇴하자 지역 보수층을 중심으로구성된 민보군, 지방군 관군 일본군이 동학농민군 토벌에 나섰고, 영동 황간지역의 많은 동학농민군이 체포되어 처형됐다. 영동지역 주요 동학지도자로 조재벽 외에 이판석, 김철중, 김태평, 김고미, 배순안, 이관봉, 박추호, 송일회, 손해창, 백학길, 강팔석 등 많은 지도자들이활동했다. 영동지역 동학농민혁명사의 효과적인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은 연구에 이어 역사적 사실을 근간으로 한 스토리텔링화, 사적지 정비, 향토사 홍보 및 교육 활동, 답사코스 개발 등 종합적인 대책을 통해 접근해야 한다.

      • KCI등재

        원주 동학농민혁명사 전개 과정과 문화 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채길순 동학학회 2018 동학학보 Vol.0 No.49

        이 연구의 목적은 원주지역의 동학 및 동학농민혁명사의 전개과정을 살피고, 문화 콘텐츠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원주지역에 동학이 일찍부터 유입되어 동학교도가 많았고, 동학농민혁명 시기에는 이들의 투쟁이 두드러졌다. 특히 원주지역에는 한석룡 김화보 장우근 박삼석 김기순 김진해 김점복 손재규 안재풍 등동학지도자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이들은 공주취회, 광화문복합상소, 보은취회와 같은 교조신원운동에 주도적으로 활동에 나섰다. 따라서 동학농민혁명시기에 투쟁이 치열했으며, 토벌 시기에는 인명 피해가 켰다. 현재 원주 지역 동학농민혁명사 연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으며, 따라서원주 동학농민혁명사에 대해 별로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원주군청 홈페이지에 동학 관련 소개가 없고, 관광지도에는 동학농민혁명사 관련 유적지 소개가 없다. 이에 비해 정읍시청, 고창군청, 남원시청, 보은군청 등 홈페이지에는동학농민혁명사 관련 역사와 유적이 다양하게 폭넓게 소개되어 있어서 대조를 보이고 있다. 원주 지역의 동학농민혁명사에 대한 저변 확대를 위해서는 향토사학 연구가 선행되어야하며, 홈페이지에 자료를 올려 지역 주민과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 문화콘텐츠 구축 단계는 ① 문화콘텐츠 계획② 기본 사료 수집 정리 ③ 문화콘텐츠 구축과 홍보 단계로 정리 된다. 원주지역 동학농민혁명사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은 첫째, 지역 역사 연구 결과를 시청 홈페이지에 탑재하고, 기왕에 건립된 시설에 대한 소개와 함께, 새롭게 알려진 사적지에 대한 안내 표지판이나 표지 석을 설치해야 한다. 이에대한 사례는 미흡하나마 동학농민혁명의 중심 지역이라 할 정읍시청, 고창군청, 남원시청, 보은군청의 문화콘텐츠 활용이나 홈페이지를 참고할 만하다. 이 연구의 결과에 대한 기대효과는 문화콘텐츠의 지역적인 특성화이다. 예컨대 일정한 테마를 세워 원주 송골에서 여주나루까지 ‘최시형 고난의 길 체험 둘레길’ 제정, 동학유적 관광지도 제작, 지역 역사에 대한 리플렛, 스토리텔링에 따른 만화 및 동영상 제작, CD매체 제작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 활용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In Wonju area, Donghak had been introduced earlier with many believers and their struggles were remarkable during the period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Especially, the activities of Donghak leaders were outstanding in Wonju including Suk Ryong Han, Hwa Bo Kim, Woo Gun Jang, Sam Suk Park, Ki Soon Kim, Jin Hae Kim, Jum Bok Kim, Jae Kyu Son, Jae Poong An, and so on. They leaded Founder’s Remission Movements such as Gongju Assembly, Gwanhwamun Joint Appeal, and Boun Assembly. Hence, struggling was serious during the period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casualties were significant during the suppression period. To date, few studies on the histories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Wonju had been conducted, so little was known on the history. Hence, no introduction related to Donghak was found in the homepage of Wonju County Office and no introduction on the historical site related to Donghak Peasant Revolution was in the travel map. In contrast, a variety of histories and historical site introduction related to Donghak Peasant Revolution were established in the homepages of Jungeup City Hall, Gochang County Office, Namwon City Hall, and Boun County Office. To expand the base on the history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Wonju, studies on the local history should be preceded and the data should be uploaded in the homepage so as to share the information with the local inhabitants. Developmental steps of cultural contents can be summarized as 1) planning of cultural contents 2) collection and summary of basic historical records, and 3)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cultural contents. Utilization plans of cultural contents on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Wonju are first to upload the study outcomes on the local history in the homepage of City Hall and to establish the signboards or signing stone on the newly known historical sites together with introduction of existing facilities. Related cases can be referred to the cultural contents utilization or homepages of Jungeup City Hall, Gochang County Office, Namwon City Hall, and Boun County Office. The core of the cultural contents is characterizations of the region. For example, various plans of cultural contents utilization should be prepared such as establishment of ‘experiencing tracking road of Shi Hyung Choi’s road of hardships’ from Songgol to Yeoju port upon making some themes, developments of Donghak travel map, leaflet on the history, cartoon and animation by storytelling, CDs, and so on.

      • KCI등재

        동학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 양상 연구

        채길순 동학학회 2017 동학학보 Vol.0 No.44

        동학농민혁명을 소재로 쓴 소설은 동학소설과 동학농민혁명을 소재로 쓴 소설로 구분되는데, 우리 문학사에서 동학소설은 거의 언급되지 않았다. 특히 지금까지 동학농민혁명을 소재로 쓴 동학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자료탐색 수준이 될 것이며, 연구 범주가 넓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동학소설은 동학 및 천도교 계통의 교단에서 포교 목적이거나 동학의 사상이나 교리를 선양할 목적으로 교인 혹은 교단에 우호적인 작가에 의해서 쓰인 소설을 말한다. 동학소설은 1910년대에 신소설과 함께 등장했으며, 동학소설 소재의 시대적인 배경은 1860년대 동학창도에서 3·1민족해방운동, 일제강점기가 중심이었다. 연구 목적은 동학 및 동학농민혁명사에서 여성의 역할 혹은 여성 인물 양상 고찰이다. 연구 방법은 동학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 양상을 1910년대, 3·1운동 이후 1920년대, 일제 후반기인 193,40년대로 나눠서 탐구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동학소설에 나타난 여성인물 양상은 시대에 따라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녔다. 첫째, 1910년대 동학소설에 나타나는 여성상은 박해를 받은 남편을 대신하여 박해를 받는 여성 상이거나, 종교적 믿음이 강한 여성, 남편에 순응하여 교인이 된다는 교술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둘째, 3·1운동 이후 1920년대 동학소설은 앞 시대의 포덕 소설적 특성을 이어가면서, 박해소설이 전면에 등장하는 등 한층 진보된 내용을 담는 변화를 보인다. 셋째, 일제강점기 후기인 193,40년대의 동학소설은 두 시기로 나뉜다. 전기의 동학소설이 애정, 고아, 가난, 비애 등을 소재로 하여 포교 목적으로 진행됨으로써 일제 검열의 예봉을 교묘하게 비켜갔지만, 후반으로 넘어가면서 동학농민혁명사에 직접 접근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후기는 흥미 위주의 애정물로 변화하면서 교리를 구색으로 끼워 넣는 식으로 변질되어갔다. 동학소설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들은 남자 중심의 동학농민혁명사에서 희생된 남성으로 인한 아픔을 대신 겪거나, 남편에 순응하여 교인이 되거나, 이미 열성적인 여성 교인이 되어 포교에 힘쓰는 여성 인물 등이다. 동학소설의 한계를 지적한다면, 교단의 존폐 위기 상황에서 포교와 교리전달이라는 이념적인 한계 때문에 문학적 영토를 넓히지 못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 교단의 비전문적인 작가들에 의해 역사적인 사건을 교단 중심의 사건으로 이해함으로써 역사적인 의미가 다양화되지 못했다. 이 같은 원인으로 일반 문학사로 연결될 만한 고리를 획득하지 못했으며, 교단의 방침을 전하는 도구로 전락하거나, 교단 분열 같은 교단 내부의 사정에 따라 동학소설의 내용이 민감하게 반영되는 한계를 들 수 있을 것이다. The novel that writes about Donghak Peasant Revolution is divided into ‘Donghaksoseoul(=東學小說)’ and Donghak Peasant Novels, of which latter rarely mentioned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particular, until now, there has not been a researches on the female characters in ‘Donghaksoseouls. Therefore, the range of this research must be extensive and used as a research data. ‘Donghaksoseoul’, refers to a novel written by a writer who is closely related to the church or denomination for the purpose of propagating the ideology and doctrine of Donghak in Donghak(Chondokyo) and Donghak system. ‘Donghaksoseoul’, emerged along with ‘shinsoseoul(=新小說)’ in the 1910s, and the background of ‘Donghaksoseoul', was centered on 3.1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in Donghak Changdo in the 186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 of female characters in the role or history of women during Donghak and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research method is to divide and explore female characters in ‘Donghaksoseoul’, into the 1920s, the 1920s after 3.1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and the 1930s and 1940s during the latter half of Japanese colonial era.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pattern of female characters in ‘Donghaksoseoul’,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ime period. First of all, the ‘Donghaksoseoul’, in the 1910’s portrays female characters who are persecuted on behalf of a persecuted husband, a woman with strong religious faith, and one who conforms to her husband’s belief. Second, after the 3.1 movement, the ‘Donghaksoseouls’, of the 1920s show the changes by including the advanced contents such as the appearance of the persecution novels on the front, while continuing the folk novel characteristics of the previous era. Third, ‘Donghaksoseoul’, in the late 1930s and 1940s are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previous cleverly avoids censorship from Japanese imperialist by focusing their theme on affection, orphans, poverty, and sorrows. Yet in the latter period, the novel attempts a direct access 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History.However, in the latter period, as the purpose of the novel changed into an interest-oriented affection, the doctrine was changed into a mere assortment. The female characters in ‘Donghaksoseouls’, are the ones who suffer from the men's struggles in the male-dominated peasant revolution, or ones who become believers after their husbands. If I point out limits of ‘Donghaksoseouls’, it can be said that their literary boundaries cannot be expanded due to the ideological limitation of the church and the doctrines of Confucianism. In addition, historians have not been able to diversify the meanings by understanding historical events because the message was carried out mainly by non-professional writers of denominations. For such reason, I have not obtained enough grounds to link ‘Donghaksoseoul’, to general literary history. It is due to the limitation of ‘Donghaksoseoul’, that depends on the policy of denomination or its role as a device to propagate, leading its contents to be sensitively changed.

      • KCI등재

        전주성 전투의 전개과정과 문학작품에 나타난 역사적 의미

        채길순 동학학회 2019 동학학보 Vol.0 No.51

        이 연구의 목적은 1894년 동학농민혁명 시기에 전주성 전투가 문학작품에어떻게 형상화 되는지 양상을 살펴, 그 역사적 의미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위해 동학농민혁명 시기 전주성 전투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동학농민혁명을 소재로 한 문학작품에 ‘전주성 전투’라는 역사적인 사건이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 연대 별로, 그리고 전주출신 동학교도를 고찰한다. 연구 내용은 1) 동학농민혁명 초기의 전주성 2) 무혈입성 3) 전주성 전투 4) 청일전쟁과 전주화약 5) 2차 봉기와 동학농민군 토벌 6) 전주 출신 동학농민군 활동 등 시기 별 활동 양상과 전주 출신 인물들의 활약으로 고찰할 수 있다. 동학농민혁명과 전주성 전투 전개 양상과 동학농민혁명을 소재로 한 문학작품과 전주성 전투 양상을 고찰했다. 모든 문학작품은 전주성을 교두보로지배 권력의 핵심인 서울을 향했지만 청일전쟁으로 좌절되었고, 전주화약이이뤄졌다. 비록 제한적이었지만 전주성 집강소를 통해 대중들의 꿈이던 대동 세상을 열었다. 그러나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제의 경복궁 침탈 사건으로 동학농민군은 9월 18일을 기해 다시 일어났지만 서울을 향한 동학농민군의 열망은 공주 우금치에서 좌절되었다. 이 같은 역사적 과정은 일정하게 문학작품에 투영되었다. 전주성 점령은 동학농민군의 목표 점이었고, 전주화약으로 대동 세상을 열었다. 그렇지만 동학농민혁명 당시 전주 출신 동학농민군의 투쟁활동이 많았지만 소년 장수 이복룡 외에 이들의 행적에 대해서는 다뤄지지 않았다. This paper reviews how the battle of Jeonju Fortress is depicted in literature during the Donghak Farmers’ Revolution in 1894 to identify its historical meaning. To that end, the way the developments of the battle of Jeonju Fortress was depicted in literature that addresses Donghak Farmers’ Revolution was reviewed for each decade. The Jeonju Fortress battle can be reviewed by focusing on the following aspects: 1) Jenju Fortress during the early months of Donghak Farmers’ Revolution 2) Entry into the fortress without bloodshed 3) Battle of Jeonju Fortress 4) Qing-Japan war and Jeonju Peace Treaty 5) 2nd uprising and suppression of the Donghak Farmers 6) Donghak Farmers from Jeonju or Jeonju Fortress and their activities. All literary works depict the Battle of Jeonju as the starting point where although the core power was centered in Seoul, the Qing-Japan War frustrated many national movements, finally leading to the Jeonju Peace Treaty. Although limited in degree, through the Jeonju Battle gathering, a new world opened up for the mass. But with the victory by Japan in the Qing-Japan War, and the subsequent taking over of Gyeongbok Palace, Donghak Farmers rose again on September 18. The movement, however, was brought to its knees in Wugeumchi in Gongju, without being able to reach Seoul. This historical process was reflected on literary works, with the occupation of the Jeonju Fortress becoming the goal of the Donghak Farmers. A new world opened up with the Jeonju Peace Treaty. But at the time of the Donghak Farmers’ Revolution, despite there being many fights and uprisings, there were not many cases where major figures except for Bokryong Lee, a young fighter, who were depicted as a protagonist in no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