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브랜드 특성 및 비주얼 아이덴티티 구성요인에 기초한 사례조사

        차은수 ( Eun-soo Tchah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3

        연구배경 최근 무브랜드는 ‘브랜드가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기존의 의미를 넘어 새로운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브랜드의 정의 및 개념 변화, 디자인 경향을 파악을 위한 사례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브랜드의 개념 변화를 이해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하여 일반 브랜드와의 디자인적 요인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헌조사를 통해 무브랜드의 본질, 개념 변화 추이, 종류에 관해 고찰하고, 무브랜드 디자인 특성 및 비주얼 아이덴티티 구성요인에 기반하여 사례조사를 실시한다. 조사대상은 무브랜드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기업 경쟁력 및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국내외 8개 기업이다. 연구결과 사례조사를 통해 무브랜드 특성이 무브랜드 비주얼 아이덴티티 요인에 전반적으로 반영되어 있으며, 특히, 상표 지향 무브랜드가 상품정보 지향 무브랜드에 비해 이들 요인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단순성, 편의성, 효율성이 환경성, 모듈성에 비해 보다 적극적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결론 무브랜드의 본질 및 시기별 변화 추의를 살펴봄으로써 상품정보 지향 무브랜드와 상표 지향 무브랜드로 구분하여 정의하고, 무브랜드 특성을 편의성, 단순성, 환경성, 모듈성, 효율성으로, 무브랜드 비주얼 아이덴티티 요인을 심볼/로고, 서체, 컬러, 패키지, 광고, 웹사이트로 규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례를 분석하여, 무브랜드 특성이 무브랜드 비주얼 아이덴티티 구성요인에 긍정적 가치를 창출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Background Recently, non-brand is recognized as a new concept beyond the existing meaning of ‘no brand exists'. Nevertheless, there is a lack of case studies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concept changes, and design trend of non-brand. Henc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changes of non-brand, and analyze the difference of design components with general brands through case studies. Methods This study examines the nature, conceptual change and types of non-bran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onducts case research on the basis of non-brand design characteristics and visual identity components. The research targets are 8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that have high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consumer awareness by reflecting non-brand characteristics. Result The case study shows that non-brand characteristics are generally reflected in non-brand visual identity components, and in particular, the brand-oriented non-brand is more actively utilizing these components than the product-oriented non-brand. Inaddition, simplicity, convenience, and efficiency were more actively applied than environmental factor and modularity. Conclusion By examining the nature of non-brand and trend per period, it was defined by dividing it into brand-oriented non-brand and product-oriented non-brand. In addition, for the non-brand case study, non-brand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into convenience, simplicity, environmental factor, modularity, and efficiency, and non-brand visual identity components were defined as symbols/logos, fonts, colors, packages, advertisements, and websites. By analyzing the cases based on these, the characteristics of non-brand were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creating positive value for the non-brand visual identity components.

      • KCI등재

        논문 : 사용자 컨텍스트(context)를 고려한 쇼핑 어플리케이션 디자인연구 -기내 엔터테인먼트(In-flight entertainment)시스템을 중심으로-

        박인영(주저자) ( In Young Park ),김명지(공동저자) ( Myeong Ji kim ),정이슬(공동저자) ( Yi Seul Jung ),차은수(공동저자) ( Eun Soo Tchah ),이현진(교신저자) ( Hyun Jean Lee ),전수진(교신저자) ( Soo Jin Ju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3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개인화된 관심과 사용자의 개입을 촉진할 수 있는 기내 서비스 개발에 대한 필요성은 점점 더 증가하고 있으나, 기내 미디어와탑승객의 컨텍스트를 고려한 콘텐츠 및 서비스 디자인 방식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내오락(in-flight entertainment)용 디스플레이를 기반으로 하여 여행하는 지역 및 문화와 관련된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랙티브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쇼핑경험과 컨텍스트에 대한 현상학적 이론 고찰을 통해 여행자의 컨텍스트적 정보에 기반한 탐색적 쇼핑 경험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화적 브라우징이 정보 구조에 반영되어야 함을 확인하였고, 설문조사,관찰, 현장 인터뷰를 통해 쇼핑 경험에서 구현되어야 할 핵심 정보들을 선별하였다. 최종 디자인 프로토타입에서는 여행 목적지의 지도, 문화 스타일이미지, 선호 스타일 퀴즈로 구분된 세 가지 대화 경로를 통해 사용자가 화장품 쇼핑 관련 정보와 선호 스타일을 탐색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결론에서는 기내 탑승객이라는 컨텍스트에 초점을 맞춘 쇼핑 서비스가 사용자의 여행지에 대한 기대감을 높일 수 있고 문화적 탐색 욕구와 연계된 쇼핑활동을 장려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need for in-flight service supporting personalized interest and user engagement is increasing with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s provided by in-flight media service and passenger’s context is still insufficient.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proposing the interactive shopping experience, which offers shopping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context. The explorative shopping experience as an interactive activity of tourists’ contexts is selected to be a research topic based on a shopping experience framework and phenomenological theory. In order to select core functions and contents to provide, the study executed survey, observation and interview of Chinese tourists in Seoul. aThe final prototype is designed for users to search contextual shopping information through the next three options: choosing the photos of tourist attractions, selecting preferred shopping style, and solving a quiz. It is discussed that a contextual shopping service might transform the in-flight shopping experience by mediateing the conversational relation between context and u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