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원의 학생평가 유형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

        주재홍(Jaehong Joo),주라헬(Rachel Ju),홍소정(Sojung Hong)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4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원이 선호하는 학생평가 방법을 유형화하고, 하위 잠재 집단 간의 차이를 탐색하여 수업 질 제고를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22년에 실시한 대학 교수·학습 과정에 관한 교수 설문조사(National Assessment of Faculty Engagement in Teaching; NAFET)에 응답한 5,213명의 교원 데이터를 활용해 인간중심 접근 방법인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여 교원의 학생평가 양상을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의 학생평가 양상에 따라 ‘지필평가 지양형’, ‘전통적 평가 지향형’, ‘전반적 학생평가 경시형’, ‘협력 중심 평가 지향형’, ‘개인 작성 평가 지향형’, ‘다면평가 지향형’의 6개 프로파일이 유의하게 식별되었다. 둘째, 본 프로파일을 예측하는 요인은 대학의 연구 및 교수학습 지원, 학과의 교육 과정 및 시스템, 교원의 연구 및 교수학습 지향성 모두 교원이 특정 프로파일에 속할 확률에 대해 유의한 효과를 가졌다. 특히 예측 요인에 대한 교원의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다양한 학생평가를 활용하는 집단에 속할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프로파일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선정한 학습자의 학업 역량에 대한 인식, 동료 교원의 인정, 그리고 교원의 학과 적합성 수준은 일부 집단에 한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 질 제고를 위한 교원, 학과 및 학교 차원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 방향성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student assessment styles preferred by university faculty and explore differences between sub-potential groups to derive interven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instruction. This study examined faculty’s student assessment styles by conducting latent profile analysis using data from 5,213 respondents to the National Assessment of Faculty Engagement in Teaching in 2022. The main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ix profiles were significantly identified based on faculty’s student assessment styles. Second, the university’s research support and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the department’s curriculum and system, and the faculty’s research orient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orientatio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to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each profile. In particular, a higher awareness of predictive factors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a group employing various student assessment. Fin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learners’ academic competency, recognition by co-faculties, and the perception of department fit when examining differences by the each profile. Based on these results, we deriv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roles of faculty, departments, and university institutions in improving instructional quality. We also discussed the research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국민연금소득 만족도 변화 유형에 따른 개인 소득 및 삶의 만족도 차이 비교

        홍소정 ( Hong Sojung ),주재홍 ( Joo Jaehong ),주라헬 ( Ju Rachel ),장창성 ( Jang Chang Sung ) 한국사회보장학회 2024 사회보장연구 Vol.40 No.2

        본 연구는 국민연금 수급자의 연금소득 만족도 변화 추이에 따른 집단을 유형화 하고, 예측 및 결과 요인을 통해 각 집단의 특성을 면밀히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종 식별된 집단의 분류 및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노령연금 외 소득 유무를 적용하였으며, 결과 요인으로는 삶의 만족도를 건강 상태, 경제 상태, 사회적 관계로 구분하여 각 집단의 삶의 만족도 차이의 유의성을 비교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민연금연구원에서 제공하는 『국민노후보장패널』 5차(2013)~9차(2021)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연금소득 만족도 변화 궤적은 비선형 성장모형이 가장 적합했으며, 연구 모형 분석을 통해 관찰 변수에 따른 이질적인 하위 집단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국민연금 수급자의 연금소득 만족도 변화 추세에 따라 (1)만족도 감소후증가형, (2)만족도 유지형, (3)만족도 증가후감소형의 총 3개 집단을 식별하였다. 각 집단에 속할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이전 근로 소득과 부동산 소득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집단은 건강 상태를 제외하고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민연금제도의 효과성 제고와 성숙 단계로 발전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노년층의 안정적인 노후생활에 필요한 정책적 제언에 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groups based on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national pension satisfaction among beneficiaries, and to closel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through predictor and outcome factors. To identify and compose these groups, we applied the presence of income other than the old-age pension as a predictor factor. As outcome factors, we compared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groups, categorized into health status, economic status, and social relationship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we utilized data from the 5th (2013) to 9th (2021) waves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provided by the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 non-linear growth model was most suitable for satisfaction with national pension benefits, and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model confirmed the existence of heterogeneous subgroups based on the observed variables. According to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pension satisfaction among national pension beneficiaries, we identified three groups: (1) Decrease-Increase Group, (2) Maintenance Group, and (3) Increase-Decrease Group. Previous earned income and real estate income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each group. Additionally, we confirmed that the group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except for health statu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the national pension system and advancing it to a mature stage, as well as policy recommendations for ensuring a stable retirement life for the elderly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