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경부 상피내종양과 침윤성 자궁경부암에서의 Fhit와 p53 단백 발현양상

        주선하 ( Seon Ha Joo ),명나혜 ( Na Hye Myong ),박진완 ( Jin Wan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12

        목적 : 자궁경부 상피내종양과 침윤성 자궁경부암에서의 Fhit와 p53 단백 발현양상을 분석하고 침윤성 자궁경부암에서 Fhit 단백 발현 소실과 임상병리학적 변수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 10예의 저등급 편평상피내병변, 16예의 고등급 편평상피내병변, 그리고 21예의 침윤성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자궁경부 상피내종양과 침윤성 자궁경부암에서의 Fhit와 p53 단백 발현양상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이용하여 반정량적 Objective : To evaluate Fragile histidine triad (Fhit) and p53 expression pattern in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m (CIN) and invasive cervical cancer, and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oss of Fhit and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of invasiv

      • KCI등재
      • KCI등재

        저등급 자궁내막간질육종

        박충학(Choong Hak Park),주선하(Seon Ha Joo),박호범(Ho Beom Park),서영훈(Young Hoon Suh),김동희(Dong Hee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1

        Uterine sarcomas are relatively rare tumors of mesodermal origin that constitute 2-6% of uterine malignancies. Uterine sarcomas include endometrial stromal sarcoma (ESS), leiomyosarcoma (LMS), malignant mixed m llerian tumor (MMMT) of both homologous and heterologous type, pure heterologous sarcomas, blood vessel sarcomas, and lymphoma. Endometrial stromal tumors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1) endometrial stromal nodule, 2) low-grade stromal sarcoma or endolymphatic stromal myosis, and 3) endometrial stromal sarcoma. The low grade endometrial stromal sarcoma is very rare. It shows occasional local recurrence, which might arise from endometrial stroma, from adenomyosis, and rarely from endometriosis.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low grade endometrial stromal sarcoma of the uterus in a 54-year-old woman, which is presented with a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폐경여성에서 프로제스테론 유발시험과 자궁내막 두께의 연관성

        곽민정 ( Min Jung Kwack ),주선하 ( Seon Ha Joo ),김광환 ( Kwang Hwan Kim ),박충학 ( Choong Hak Park ),박진완 ( Jin Wan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8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무증상 폐경여성에게 호르몬 치료 전에 자궁내막의 평가를 위한 선별검사로서 프로제스테론 유발검사 결과가 자궁내막 두께와 연관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총 9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질식초음파를 이용하여 자궁내막의 두께와 혈중에스트로젠 농도를 측정한 후 프로제스테론 유발검사를 시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32%가 프로제스테론 유발검사 양성이었으며, 이중 75.9%가 자궁내막두께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orrelation of progesterone challenge test (PCT) and endometrial thickness as a primary screening test for endometrial pathology in postmenopausal women prior to hormonal replacement therapy (HRT). Methods

      • KCI등재

        일측성 질폐쇄를 동반한 중복자궁

        윤문희 ( Moon Hee Youn ),곽민정 ( Min Jung Kwak ),김지은 ( Ji Uen Kim ),장문건 ( Mun Geon Jang ),주선하 ( Seon Ha Joo ),진건 ( Keon Ji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8

        Uterus didelphys with unilateral obstructed hemivagina is indeed a very rare congenital anomaly due to Mullerian duct malformation. The most common clinical presentation is pelvic pain and dysmenorrhea shortly after menarche, in associated with the findin

      • KCI등재

        유도분만시 경질투여에 의한 Prostaglandin E₁ (Misoprostol) 과 Prostaglandin E₂ (Dinoprostone) 의 안전성과 유효성의 비교

        이원기,박진완,주선하,허의종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3

        목적: Prostaglandin E₁(Misoprostol)과 Prostaglandin E₂(Dinoprostone)의 경질투여에 의한 유도분만에서 두 약제의 안전성과 유효성의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유도분만이 불가피한 111명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무작위로 추출하여 dinoprostone 56명과 misoprostol 55명으로 나누었다. dinoprostone 사용군은 3mg을 8시간 간격으로 질 후원개부에 6회까지, misoprostol 사용군은 misoprostol 1정 200μg의 1/4인 50μg을 질 후원개부에 8시간 간격으로 6회까지 투여하였다. 약제투여를 시작한 후 진통(10분에 30초이상으로 지속되는 진통이 3번이상 규칙적일 때)이 유발되거나, 자궁경부가 90%이상 소실되고 경관개대가 3cm이상인 경우, 또는 태아심음곤란증이 유발되는 경우에는 약제투여를 중지하였다. 결과: 양군사이에 임신부의 연령, 임신주수, 분만력, 키, 몸무게 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유도분만 시작 직전에 시행한 내진검사에서 Bishop점수는 misoprostol 사용군(4.38±1.29)이 dinoprostone 사용군 (3.81±1.52)보다 중앙값이 유의하게 낮았다(P$lt;0.05). 질식분만까지 소요시간은 misoprostol 사용군에서 750.8±518.8분, dinoprostone 사용군에서 1264.1±730.7분으로 misoprostol 사용군이 약 500분 빨리 분만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P$lt;0.001). 여기서 초산부와 경산부로 나누어 비교한 경우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분만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인 빈맥수축, 과자극증후군, 양수내태변배설, 태아심박동이상, 급속분만, 제왕절개분만율을 비교한 바, 빈맥수축은 misoprostol 사용군에서는 7예(12.73%), dinoprostone 사용군에서 1예(1.79%)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lt;0.05), 급속분만도 misoprostol 사용군에서는 12예(21.82%), dinoprostone 사용군에서 4예 (7.14%)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lt;0.05). 과자극증후군, 태아심박동이상, 양수내태변배설, 제왕절개분만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모체합병증의 비교에서 오심, 구토는 misoprostol 사용군에서는 2예(3.64%), dinoprostone 사용군에서 4예(7.14%)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산후출혈도 misoprostol 사용군에서는 1예(1.82%), dinoprostone 사용군에서 1예 (1.79%)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출생시 태아의 체중 및 1분, 5분 Apgar 점수에서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결론: 이상으로 보아 misoprostol질정을 이용한 진통유발은 dinoprostone질정보다 효과적이고 또한 더욱 경제적이고 안전하며, 태아와 산모에 대한 합병증에서도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앞으로도 misoprostol의 약리작용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여 이상적인 투약경로 및 투약간격을 확립하기 위해 더 많은 시도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Our purpose was to compare the safety and efficacy of intravaginally administered misoprostol(PGE₁) versus dinoprostone(PGE₂) for labor induction in a prospective controlled trial. Method: One hundred eleven patients for labor induction (including preterm rupture of membranes)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either misoprostol 50μg or dinoprostone 3mg intravaginally. The interval of doses was 8 hours after first dose, with a potential maximum of six dose until active labor pain was achieved. Results: Among 111 patients enrolled, 55 were randomized to receive misoprostol 50μg and 56 to receive dinoprostone 3mg with every 8 hours interval intravaginal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cept in Bishop score(3.81±1.52 vs 4.38±1.29, P$lt;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dications for labor induction. The interval of induction to delivery was shorter in the misoprostol group(750.8±518.8min) than in the dinoprostone group(1264.1±730.7min). Delivery within 24 hours after administration occurred more often in the misoprostol group than in the dinoprostone group (86.3% vs 65.2%, P$lt;0.05). More than two doses for completion of delivery were frequent in dinoprostone group(36.96% vs 9.8% in misoprostol group, P$lt;0.05). Additional Oxytocin augmentation was needed more commonly in the misoprostol group(3.64%) than in the dinoprostone group(14.29%)(P$lt;0.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between two groups in total oxytocin doses and indications. Tachysystole occurred more often in the misoprostol group (12.73% vs 1.79% in the dinoprostone, P$lt;0.05) Precipitating delivery occurred more commonly in the misoprostol group(21.82% vs 7.14% in the dinoprostone group, P$lt;0.05). No differences in the cesarean section rate, fetal heart rate abnormalities, hyperstimulation syndrome, meconium staining, fetal outcome (Apgar score at 1 and 5 minutes, birth weight), and marternal outcome (nausea and vomitting, postpartum bleeding) were noted. The cost of misoprosl is one hundredth cheaper than dinoproston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etal outcome and maternal outcom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ravaginal misoprostol(PGE₁) is a safe drug for labor induction which is more effective and cheaper compare to intravaginal dinoprostone(PGE₂).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