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LF에 기반한 Remote Debugger의 call stack watch view 구현에 관한 연구

        주상민 ( Sang-min Joo ),김홍규 ( Hong-kyu Kim ),문승진 ( Seung-jun Moo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4 No.1

        멀티미디어 디지털 기기의 발전은 Mobile Phone의 사용량 증가로 대두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는 일도 시급한 상황이다. Mobile Phone 사용 중 작동이 멈춘다거나 하는 문제는 그 사용자 수에 비례하여 발생 빈도나 위험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이런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사전에 철저한 테스트를 해보고 시행착오를 겪어봐야 완벽한 제품으로 시중에 내놓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기존의 하드웨어와 연결해서 사용 하던 디버거와는 다르게 Remote Debugger는 이러한 문제점을 툴을 통해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찾아내어 고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Remote Debugger를 구현하기 위한 부분 중 call stack watch view 에 대해 논의 하려고 한다.

      • 도시가로에서 나타나는 공간구성방식의 특성 및 유형에 관한 연구-강남대로변 노선상업지역 가로변건축물을 중심으로-

        주상민(Joo. Sang-Min),이정형(Lee. Jung-Hyung) 대한건축학회 2004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it would have intension to give the starting point to regard the streets and building on the street as a set which forms the urban space, to discover the order showed up and formal property which it possesses by analyzing its method of spatial constitution and to understand the system of urban street space, over all our nation by on the basis of this, it would propose the desirable guide over urban design and technique over urban design to improve the environment over urban street space understanding from the dimension over interrelation relating the constitution method of street space with the building on the street.<br/> <br/> <br/> <br/>

      • KCI우수등재

        유형별 슈퍼블록이 가로활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서울시 강남구 역삼2동을 사례로 -

        주상민(Joo, Sang-Min),김지엽(Kim, Jee-Yeop) 대한건축학회 201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5 No.10

        This study tried to prove why a low-rise residential block is more vitalized than in a superblock consisted of an apartment housing complex. To do this, two adjacent superblocks in Yeoksam 2-dong were selected as a case study among superblocks of residential area in Gangnam, Seoul. It adopted the concept of "complexity", "Osmosis", "Vitality" and "Permeability" for evaluation indexes to measure street vitality. As a result, four indexes were clearly higher in low-density residential superblocks than apartment housing complex superblocks. First, the superblocks for apartment housing complexes showed a lower "complexity" because large-scale parcels for an apartment housing complex reduces a possibility for various land uses. Second, smaller blocks improved "osmosis" compared to larger blocks, and the larger the block, the less likely it is that buildings and streets penetrate activity. Third, as the apartment complex block became larger, the number of accesses decreased. Thus, it did not provide vitality to the streets. Fourth, high permeability was shown in the low-density superblocks, while that of the superblock consisted of apartment housing complexes was very low because the entrance of the complexes entrance is closed to the public.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n apartment housing complex may hamper street vitality and deteriorate the quality of urban environments.

      • KCI등재

        제주도에서 채집된 Rattus norvegicus와 R. tanezumi의서식지 유형과 형태적 특성

        김태욱 ( Tae Wook Kim ),주상민 ( Sang Min Joo ),오아름 ( Ah Reum Oh ),박소진 ( So Jin Park ),한상현 ( Sang Hyun Han ),오홍식 ( Hong Shik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7 No.5

        한국산 집쥐속(Rattus)에 속하는 동물들을 2005년 4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제주도의 각처에서 채집하여 형태학적, 유전학적 종 동정과 형태적 특성, 2차 성적이형, 서식지 유형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제주도에서 포획된 Rattus 속 야생쥐들은 Rattus norvegicus와 R. tanezumi로 확인되었고, R. rattus는 확인되지 않았다. R. norvegicus는 제주도 내 각처에서 특히, 주택 밀집지역의 인가 내-외부에서 채집되었고, 일부는 자연환경인 해안이나 경작지, 산림에서 관찰되기도 하였다. R. tanezumi는 동물 사육 농장의 내외부에서만 확인되었다. 형태적 특성으로 R. norvegicus는 꼬리길이(TL)와 귀의 길이(EL)가 R. tanezumi에 비해 짧고, 이들 형질의 머리-몸통 길이의 비율인 T_HR, E_HR 등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인구밀집 지역인 도심과 농촌 지역의 R. norvegicus와 개체군 사이에서는 도심지역 개체군의 체중이 더 무거운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R. norvegicus에서는 2차 성적이형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R. tanezumi는 암컷이 수컷에 비해 더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p<0.05). 현재까지 보고된 연구결과와는 다소 다른 종의 분포와 서식환경을 보여주고 있는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추가연구를 통해 제주도와 한반도 포유류상의 재검토와 함께 서식지 분포 양상과 생태적 특성 등을 명확하게 구명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secondary sexual dimorphism, and habitat patterns of Korean Rattus animals collected on Jeju Island from April 2005 to October 2012. Two wild rat species, namely R. norvegicus and R. tanezumi were identified on Jeju Island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data; however, R. rattus, which had recorded formerly, was not found in this study. Individuals of R. norvegicus were captured from urban, rural, and natural habitats, while those of R. tanezumi were specially found in animal farms and the surrounding areas. Comparing of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wo species, R. norvegicus had a shorter tail and ears than R. tanezumi (p<0.05), and the ratios of tail length and ear length to those of head-body length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two species (p<0.05). The body weights (BW) of urban populations of R. norvegicus were significantly heavier than those of rural populations (p<0.05). No secondary sexual dimorphism was found in R. norvegicus, but females of R. tanezumi showed heavier BW than those of males (p<0.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records for the existence of R. tanezumi and to confirm the animal fauna and elucidate the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from further studies using extensive sampling and detailed investigations on Jeju Island and also on the Korean Peninsu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