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도 문섬 산호서식지 주변의 생물생태학적 특성 I. 환경특성과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

        좌종헌,이준백,Choa, Jong-Hun,Lee, Joon-Baek 한국해양학회 2000 바다 Vol.5 No.1

        제주도 문섬주변 연성산호 서식지의 생물생태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1995년 9월부터 1996년 7월까지 격월 간격으로 해양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군집을 조사하였다. 연평균 수온과 연평균 염분은 각각 $17.4^{\circ}C$, 34.06psu 로써 동계에 저온고염, 하계에 고온저염 현상을 보여 산호초 형성에는 부적당한 조건을 나타내었다. 영양염류 분포는 총무기질소가 $0.07{\sim}10.08\;{\mu}M$, 인산-인이 $0.05{\sim}1.70\;{\mu}M$, 규산-규소가 $3.08{\sim}21.86\;{\mu}M$였으며, 연 평균 N/P비는 $9.59{\sim}10.60$의 범위로 외해로 갈수록 낮았고 질소원이 식물플랑크톤의 제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유광층의 깊이는 연평균 32.0 m($18.9{\sim}48.6m$)로 계절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산호의 분포수심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chlorophyll a량의 분포는 $0.12{\sim}1.51\;{\mu}g\;L^{-1}$, 현존량은 $1.5{\times}10^3{\sim}7.0{\times}10^5\;cells\;L^{-1}$의 범위로써 내해가 외해보다 높고 춘계에 대증식을 나타내었다. 식물플랑크톤의 출현종수는 총 55속 128종으로 돌말류 99종, 와편모조류 26종, 규질편모조류 2종, 남조류가 1종이 출현하였고 연중 주로 돌말류로 구성되어 있지만 하계에는 와편모조류의 출현종수가 증가하였다. 우점종은 Paralia sulcata (Ehrenberg) Cleve와 Cylindrotheca closterium (Ehrenberg) Lewin & Reimann 등이 주요종으로서 이들 저서성 돌말류가 산호의 주먹이원으로 작용할 것으로 추정되며, 종다양성 지수의 연 평균은 1.84로 제주도 해안의 일반적인 값보다 다소 낮았다. Environmental factors and phytoplankton community have been bimonthly investigated in order to clarify the bio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ral habitats around Moonsom at the southern Cheju Island from September 1995 to July 1996. Annual mean temperature and annual mean salinity were $17.4^{\circ}C$ and 34.06 psu, respectively, showing lower temperature-higher salinity in winter and higher temperature-lower salinity in summer, which means such conditions are inadequate for coral reef formation. Nutrient concentrations represent that total nitrogen ranged from $0.07{\sim}10.08\;{\mu}M$, phosphate from $0.05{\sim}1.70\;{\mu}M$, and silicate from $3.08{\sim}21.86\;{\mu}M$. The N/P ratio showed the range of 9.59-10.60 with decreasing offshore-ward, which means the phytoplankton community could be limited by nitrogen sources. Annual mean euphotic depth was 32.0m (18.9m-48.6m) with difference according to season and reveals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epth of coral distribution.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of phytoplankton ranged from $0.12{\sim}1.51\;{\mu}g\;L^{-1}$ and standing crops from $1.5{\times}10^3{\sim}7.0{\times}10^5\;cells\;L^{-1}$, showing higher at inshore than at offshore with a blooming in May. A total of 128 species of phytoplankton occurred in all stations, representing 99 spp. of diatoms, 26 spp. of dinoflagellates, 2 spp. of silicoflagellates and 1 sp. of blue-green algae. Diatoms are main taxa in all seasons except for occupying by dinoflagellates in summer. Among dominant species, fParalia sulcata (Ehrenberg) Cleve and Cylindrotheca closterium (Ehrenberg) Lewin & Reimann were predominant and are likely to be main food sources for coral community. Annual mean species diversity index (H') was 1.84, showing lower than around the coast line of Cheju Island.

      • 제주도 한림항과 성산항 일대 식물플랑크톤의 군집동태

        이준백,좌종헌 濟州大學校海洋硏究所 1990 해양과환경연구소 연구논문집 Vol.14 No.-

        제주도 동ㆍ서 연안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동태 및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비교 파악하기위해 한림항과 성산항 주변해역의 정점을 중심으로 1989년 8월부터 1990년 5월까지 매월 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항만 해역에서 공통으로 출현한 종의 비율은 49.2%로써 종조성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Skeletonema costatum, Chaetoceros socialis 등이 두 해역에서 공통적으로 춘계에 75% 이상의 높은 점유율로 우점하고 있었다. 현종량은 한림항에서3,277∼1,952,809, 성산항에서 6,458∼1,799,870 cells/ℓ분포를 보였지만, 대중식의 양상은 한림항은 춘계에 성산항은 추계에 발생하여 계절적으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C-4 법에 의한 일일 기초생산량은 한림항이 0.768∼3.119, 성산항이 0.533-5.889 ㎎ C/㎥/day로 성산항이 높았으며 탄소동화율도 성산항이 한림항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식물플랑크톤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는 한림항은 수온, 용존산소, 총질산-질소(r²=0.467), 그리고 성산항은 염분, 용존산소, 총인산-(r²=0.492)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요인분석에 의한 두 해역의 생태적 특성은 모두 수온의 증가 및 영양염류의 유입과 그로인한 식물플랑크톤의 증가로 나타났다. The phytoplankton dynamics and correlations between phytoplankton commun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western and eastern area of Cheju Island have been monthly investigated at eight stations of Hanrim harbor and nine stations of Songsan harbor from August,1989 to May, 1990. The ratio of common species occurred at two areas was 49.2%, showing the diffrence in species composition. The dominant species, however, of Skeletonema costatum and Chaetoceros socialis, comprised more than 75% commonly at two areas in spring season.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have showed the ranges of 3,277∼1,952,809 and 6,458-1,799,870 cells/ℓ at Hanrim and Songsan respectively, blooming in sping at Hanrim and in fall at Songsan. Daily primary production using C-14 method ranged 0.768∼3.119 and 0.533-5.889 ㎎ C/㎥/day at Hanrim and Songsan respectively, and carbon assimilation number at Songsan has showed higher than at Hanrim as well. The correlations between phytoplankton and environmental factors suggest that water temperature, dissolved oxygen and total nitrate-nitrogen affected the phytolankton standing crops(r²=0.467) at Hanrim, whereas salinity, dissolved oxygen and total phosphate-phosphorous affected it(r²=0.492) at Songsan. From factor analysis, it is speculated that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two survey area is phytoplankton blooming by the increase of water temperature and the inflow of nutrients.

      • 제주도 해안선 주변 부착규조류의 종조성 및 분포

        이준백,좌종헌,김일수 제주대학교 해양연구소 1991 해양자원연구소연구보고 Vol.15 No.-

        The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periphytic diatoms around the coast line of Cheju Island have been investigated at four costal stations from April 1991 to June 1991. During the study period, 71 taxa periphytic diatoms are collected, of which are composed of 11 families, 32 genera, 59 species. 12 unidentified species. More than 20% of periphytic diatoms are occupied by the 12 abundant species. Cucconeis scutellum, Cylindrotheca closterium, Licmophora abbreviata are observed in all the coasts and all the attached substratum, and predominated more than 50% so that these species are the most typical dominant species troughout the study period.

      • 제주도 문섬 산호서식지 주변의 생물생태학적 특성 Ⅱ. 식물플랑크톤의 군집동태와 1차생산력

        이준백,좌종헌,강동우,고유봉,오봉철 제주대학교 방사능이용연구소 2000 연구보고 Vol.14 No.-

        Community dynamics of phytoplankton and primary productivity have been investigated bimonthly from February 1997 to December 1997 in the coastal area around Moonsom of the southern Cheju Island, which is well-known for soft coral habitats in Korea. Average water temperature was 18.5℃ , being stratified from May to September by the seasonal thermocline, while vertically homogeneous in the winter. Euphotic depths ranged from 18.9 m to 45.9 m (average 33.7 m). Chlorophyll α concentrations varied from 0.02 to 0.92 ㎍ · ℓ-1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ranged from 2×103 to 3.9×105 cells · ℓ-1, showing a peak only in the spring. Diatoms occupied 67.5% of the total standing crops, while phytoflagellates, dinoflagellates and others 24.3%, 7.1% and 1%, respectively. However phytoflagellates and dinoflagellates were predominated with 36.6% and 38.7% in June, respectively. There was four dominant species in the study area. Chaetoceros sociales Lauder was dominant species from December to April, Prorocentrum micans Ehrenberg in June. In August, Chaetoceros socialis Lauder dominated in inshore but Paralia sulcata (Ehrenberg) Cleve in offshore. In October, Skeletonema costatum (Greville) Gran dominated the whole area. Daily primary productivity varied from 32.3 to 364.9 mg C · m-2 . day-1 (average 180.7 mgC · m-2 . day-1). Contribution of nanoplankton (<20 ㎛) to daily primary productivity was very high, accounting for 28.0-82.8%. Annual primary productivity is estimated 65.97 gC · m-2 ·yr-1, which is lower than those of the coast of Yellow Sea and the southern waters. Nanoplankton seemed to adopt higher irradiances with Ik values of 190-1,000 □· m-2·s-1 (mean 526.7 □ · m-2·s-1) than total phytoplankton with 140-850 □ ·m-2·s-1 (mean 466.7 □· m-2·s-1).

      • 제주도 동부 연안역의 생물생태학적 기초연구(ll) 우도주변 식물 플랑크톤 군집동태와 일차생산력

        이준백,좌종헌,고유봉,최영찬 濟州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4 基礎科學硏究 Vol.7 No.1

        제주도 동부연안역인 우도해역에서 1991년 9월부터 1992년 6월까지 격월로 식물플랑크톤 동태와 일차생산력의 수평적 및 수직적 정성, 정량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중 출현한 총 출현종수는 89종이며 규조류가 가장 많았고 그 외 와편모조류와 규질편모조류가 출현하였다. 이중 Chaetoceros diadema, C. socialis, Skeletonema costatum, Prorocentrum micans가 계절적 천이경향을 보이면서 우점하였다. 개체수의 월변화는 4,116∼588.68cells/l의 범위로써 11월에 최소치, 3월에 최대치를 보였다. 개체수의 수직분포는 수괴의 수직혼합 및 성층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있다. 수층의 평균 일일 일차생산력은 연안역 (정점1)에서 210.17(4.34∼588.68)mgC/m²/day, 외해역(정점7)에서 309.35(4.25∼804.55)mgC/m²/day를 나타내었다. 미세식물플랑크톤 (<20㎛)의 총 일차생산력에 대한 비율은 연안에서 37.6%와 외해에서 67.6%를 차지하며 외해역에서 더 높은 생산력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의 동화계수는 표층에서 0.17∼12.05mgC/mgChl-a/hr의 범위로써 춘계와 하계에서 높았다. 와편모조류중 Prorocentrum micans의 대발생은 하계의 저염현상과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dynamics and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around U-do, eastern part of Cheju Island from September 1991 to June 1992. During the survey a total of 89 species were identified, comprising mainly diatom, and dinoflagellate and silicoflagellate as minority. Of these, Chaetoceros diadema, C. socialis, Skeletonema costatum, Prorocentrum micans predominated with seasonal succession. The cell number ranged from 4,116 to 812,748cell/l, showing the minimum in November and the maximum in March.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cell number related closely with the vertical mixing and stratification of the water mass. The mean depth-integrated primary productivity was 210.17 (4.34∼588.68)mgC/㎡/day at st.1 (nearshore) and 309.36 (4.25∼804.55)mgC/㎡/day at st. 7 (offshore). The nanoplankton fraction (<20㎛)accounted for 37.4% and 67.6% of total primary productivity at st. 1 and st.7, respectively, representing higher productivities at offshore than at nearshore. Assimilation number by phytoplankton at the surface ranged from 0.17 to 12.05mgC/mgChl-a/hr, showing higher values in spring and summer. Dinoflagellate bloom of Prorocentrum micans may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resence of lower salinity in summer.

      • 濟州道 海岸線周邊 附着硅藻類의 種組成 및 分布

        李埈伯,左宗憲,金日洙 濟州大學校海洋硏究所 1991 해양과환경연구소 연구논문집 Vol.15 No.-

        제주도 해안선주변 부착규조류의 종조성 및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1991년 4월부터 1991년 6월사이에 4개의 해안역 정점에서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중 채집된 부착규조류는 총 71종으로 11과, 32속, 59종, 12미동정종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전 해안에서 출현한 부착규조류중 점유율이 20% 이상되는 우점종은 모두 12종이었다. 전 정점 및 전 부착기질에서 관찰된 Cocconeis scutellum, Cylindrotheca closterium, Licmophara abbreviata 등은 50% 이상의점유율을 보여 본 연구를 통하여 조사된 부착규조류중 가장 대표적인 우점종이라 할 수 있다. The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periphtic diatoms around the coast line of Cheju Island have been investigated at four costal stations from April 1991 to June 1991. During the study period, 71 taxa periphytic diatoms are collected, of which are composed of 11 famillies, 32 genera, 59 species, 12 unidentified species. More than 20% of periphytic diatoms are occupied by the 12 abundant species. Coccneis scutellum, Cylindrotheca closterium, Licmophara abbreviata are observed in all the coasts and all the attached substratum, and predominated more than 50% so that these species are the moat typical dominant species troughout the study period.

      • 제주도 및 추자도 인근 무인도서의 식물상 및 분포조사

        고평열,이가은,좌종헌,송국만,송관필,전용철 제주대학교 아열대농업생명과학연구소 2013 아열대농업생명과학연구지 Vol.29 No.1

        식물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제 주도와 추자도 내에 속하는 55개의 무인도서에서 자생하는 관속식물상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본 조 사에서 확인된 전체 관속식물은 91과의 316분류 군으로 나타났고, 이중 새섬이 112분류군으로 가 장 많은 종 수가 출현하였다. 추자군도의 무인도 에서만 관찰된 식물종은 눈향나무, 꿩의비름 등 41분류군이었고, 제주도 인근 무인도에서만 관찰 되는 식물종은 반쪽고사리, 층층고랭이 등 125분 류군이었다. 섬의 규모가 작아서 식물상이 전무한 곳이 납덕이 등 6개 섬이었으며, 검둥여, 절명이 등 7곳의 섬에서는 5종 미만으로 매우 빈약한 식 물상을 보였다. 분포지역이 가장 넓은 목본식물의 경우 교목으로는 곰솔이, 관목은 사철나무, 우묵 사스래피나무, 돈나무 등의 차례로 가장 넓은 분 포를 보였다. 초본식물로는 밀사초, 참억새, 갯강 아지풀, 계요등, 갯까치수영 등의 순이었으며, 관 찰빈도가 가장 많은 식물은 다년생 초본식물인 밀사초와 참억새로 확인된다. 가장 많은 출현빈도 를 보인 분류군은 국화과로 34분류군으로 가장 많았으며, 벼과, 콩과, 백합과 순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preserve the data of plants, tracheophytes were surveyed on 55 uninhabited islets surrounding Jeju and Chuja Island. A total number of 316 species in 91 families of tracheophytes were found in this study. Among these islets, the most number of species were found in the Saeseom in which 112 species were detected. Total 41 species including Juniperus chinensis and Hylotelephium erythrostictum were observed only in the islets near Chujado whereas total 125 species including Pteris dispar and Cladium chinensis were observed only on the islets near Jejudo. There were no flora in the 6 islets including Napdeogi due to its small size and less than 5 species were found in the 7 islets including Geomdungyeo and Jeolmyeongi. Pinus thunbergii had the widest distribution in xylophyte followed by Euonymus japonica, Eurya emarginata and Pittosporum tobira in shrub. For herb, Carex boottiana, Miscanthus sinensis, Setaria viridis, Paederia scandens and Lysimachia mauritiana were dominant species in order of number. Carex boottiana and Miscanthus sinensis which are perennial herbs were the most observed species from among them. The most dominant family was Asteraceae containing 34 species followed by Poaceae, Leguminosae and Liliaceae.

      • KCI등재

        제주도 문섬 산호서식지 주변의 생물생태학적 특성 - III. 젤라틴성 동물플랑크톤 생물량의 계절 및 일 변동

        오봉철,이준백,좌종헌,고유봉,Oh, Bong-Cheol,Lee, Jun-Back,Chwa, Jong-Hun,Koh, You-Bong 한국해양학회 2000 바다 Vol.5 No.2

        동물플랑크톤 군집생산에 주요요인인 생물량의 시간적인 양적 및 질적 차이를 찾기 위해, 1996년 9월부터 1997년 8월까지 특별히 고안된 표층 채집장치에 의해 시간별로 채집된 동물플랑크톤를 대상으로 계절별 출현개체수, 현존량의 일변동, 젤라틴성 동물플랑크톤의 습중량과 건중량의 관계 및 동물플랑크톤의 체장과 체중에 의한 크기분포 등을 조사하였다. 젤라틴성 동물플랑크톤의 건중량에 대한 습중량비(W/D)는 평균 66.46(47.05${\sim}$84.64)를 나타내고, 갑각류를 중심으로 한 일반 동물플랑크톤에서는 10.89(9.21${\sim}$14.85)로 6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한편 습중량에서 일반 동물플랑크톤에 대한 젤라틴성 동물플랑크톤의 평균비(G/NG)는 0.99(0.28${\sim}$2.30)로 젤라틴성 동물플랑크톤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높았다. 이러한 값들은 계절별 일 변동폭도 매우 컸으며, 이는 구성 종의 상대 출현율의 차에 따른 것이었고, 각 그룹의 동물플랑크톤 주야수직이동의 특성과 일치하였다. 또한 체장에 의한 크기분포(250${\sim}$500 ${\mu}m$: 35.5%)와 습중량(0.I${\sim}$0.2 mg: 34.4%)과 건중량(0.025${\sim}$0.05mg: 44.8%)에 의한 크기분포 양상은 구성생물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습중량에 국한되어 조사된 대규모의 정량자료는 해역의 정확한 생물생산 추정을 통한 연안자원의 재평가를 위하여 다시 보정 ${\cdot}$ 해석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The daily fluctuations of occurrence rate and standing stock of zooplankton, the relationship between dry and wet weights of gelatinous zooplankton, and the size distributions of body length and body weight of zooplankton were investigated in the sea around Cheju Island from September 1996 to August 1997. Mean ratios of wet to dry weights were 66.46 (raging from 47.05 to 84.64) in the gelatinous zooplankton and 10.89 (raging 9.21 to 14.85) in the non-gelatinous zooplankton which consisted of crustaceans such as copepods, decapods, mysids, and ostracods etc. Rarios of gelatinous zooplankton to non-gelatinous zooplankton (G/NG) in wet weight was 0.99 (0.28-2.30), indicating high occurrence rate of gelatinous in the study area. The seasonal and diel fluctuations of the gelatinous zooplankton were very large, and G/NG ratios greatly varied with seasons and dat/night cycles. The size distributions of body length of zooplankton (250-500 urn: 35.5% in maximum), and wet (0.1-0.2 mg: 34.4%) and dry weights (0.025-0.05 mg: 44.8%) showed much difference depending composition of the zooplankton groups. These results show that quantitative estimations of zooplankton produc- tivity only based on wet weight should be corrected to better understand and evaluate marine resources in Korean waters.

      • 제주도 및 추자도 인근 무인도서의 식물상 및 분포조사

        고평열,이가은,좌종헌,송국만,송관필,전용철 제주대학교 아열대농업동물과학연구소 2013 아열대농업생명과학연구지 Vol.28 No.2

        식물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제 주도와 추자도 내에 속하는 55개의 무인도서에서 자생하는 관속식물상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본 조 사에서 확인된 전체 관속식물은 91과의 316분류 군으로 나타났고, 이중 새섬이 112분류군으로 가 장 많은 종 수가 출현하였다. 추자군도의 무인도 에서만 관찰된 식물종은 눈향나무, 꿩의비름 등 41분류군이었고, 제주도 인근 무인도에서만 관찰 되는 식물종은 반쪽고사리, 층층고랭이 등 125분 류군이었다. 섬의 규모가 작아서 식물상이 전무한 곳이 납덕이 등 6개 섬이었으며, 검둥여, 절명이 등 7곳의 섬에서는 5종 미만으로 매우 빈약한 식 물상을 보였다. 분포지역이 가장 넓은 목본식물의 경우 교목으로는 곰솔이, 관목은 사철나무, 우묵 사스래피나무, 돈나무 등의 차례로 가장 넓은 분 포를 보였다. 초본식물로는 밀사초, 참억새, 갯강 아지풀, 계요등, 갯까치수영 등의 순이었으며, 관 찰빈도가 가장 많은 식물은 다년생 초본식물인 밀사초와 참억새로 확인된다. 가장 많은 출현빈도 를 보인 분류군은 국화과로 34분류군으로 가장 많았으며, 벼과, 콩과, 백합과 순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