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earching for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Alphabetical Acrostics in Lamentations

        조휘 ( Cho Hwi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18 ACTS 신학저널 Vol.37 No.-

        애가서 해석을 위해 해석자는 예레미야서를 참고해야 한다는 견해가 있어왔다. 하지만 애가서 해석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애가서 자체와 애가서의 구성이다. 저자는 생산자로서 그의 의도와 목적에 따라 책을 저술하고 문학적 기교, 단어, 구조와 배열 등의 선택을 통해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특히 애가서의 알파벳 시는 뚜렷한 문학적 기교이다. 왜냐하면 총 다섯 개의 시 중에서 네 개의 시가 알파벳 시 형식을 취하기 때문이다. 즉 알파벳 시는 구성기교로서의 역할을 감당한다. 따라서 알파벳 형식에 대한 분명한 고려와 분석이 필요하다. 하지만 애가서가 흔히 통제되지 않고 쏟아져 나오는 인간의 고통과 감정을 가장 정형화되고 절제된 알파벳 시 형식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사실은 해석자에게 이에 대한 적절한 설명을 요구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질문이 제기되어 왔다. 저자는 알파벳 시로 독자에게 어떤 인상 즉 어떤 효과를 의도하고 있는가? 알파벳 시가 애가서에 어떤 의미론적 공헌을 하는가? 이 질문에 대해 총괄성 또는 포괄성의 개념과 교육적-교훈적 목적이 제시되었다. 본 소논문은 세 개의 추가적인 의미론적 기능(공헌)을 제시하고자 한다: (1) 통제된 감성의 개념; (2) 시작과 끝의 시각화; (3) 여호와 주권 하에 있는 질서정연함. In order to interpret the book of Lamentations, it has been said that the interpreter needs to consult the book of Jeremiah. Yet, what plays the more important role for deciphering the meaning of Lamentations is the book itself and its composition. The author as the producer of the book composed the whole book according to his intention and purpose and delivered his message by his choices of literary devices and techniques, words, and structural arrangements. Especially the alphabetical acrostics are conspicuous in Lamentations in that four chapters out of five are composed in acrostic form. Acrostic serves as a compositional technique. Due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he acrostics. However, a challenge for the interpreter is to provide proper explanations on the fact that the book of Lamentations delivers human’s pain and suffering over loss, which in most cases are unrestrained and outburst, through the most articulated form of the alphabetical acrostics in the Hebrew poetry. Thus the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raised. What impact or effect did the poet intend on the reader with the acrostic form? What is its semantic contribution to the book? To these questions, the notion of totality and educational-didactic purpose have been suggested. The present article adds three more purposes for employing the alphabetical acrostics in Lamentations: (1) notion of the controlled pathos; (2) visualization of the beginning and ending and (3) notion of orderliness under Yahweh’s sovereignty.

      • KCI등재

        구약성경 석의와 텍스트언어학 적용의 예(시편 23편) : 그 유용성을 찾아서

        조휘 ( Cho Hwi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19 ACTS 신학저널 Vol.39 No.-

        텍스트언어학은 1960년대 이후 등장해서 상당히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여전히 다양한 이론과 접근이 시도되고 있는 언어학 연구 분야이다. 간단히 설명하면 텍스트언어학은 텍스트(본문) 차원에서 언어의 활용과 규칙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전의 언어연구는 단어와 문장 단위에 집중했던 반면에 텍스트언어학은 텍스트 단위의 언어연구에 집중한다. 텍스트언어학이 등장하기 전까지 언어학은 주로 문장의 결속구조와 의미구조를 연 구했다. 하지만 텍스트언어학의 등장으로 언어학의 연구범위가 문장 이상의 텍스트로 확장된다. 특히 텍스트언어학은 의사소통을 위한 텍스트의 생성과 사용 및 수용에 작용하는 기준(또는 법칙)과 요인들을 규명하려는 시도에 집중해 왔다. 이와 더불어 텍스트를 유형화하는 기준을 파악하는 것 역시 텍스트언어학의 주요 관심이다. 일반 언어학계의 관심은 텍스트성, 텍스트유형, 텍스트의 규칙성과 정형성을 규정하려고 한다. 반면에 성경신학에서 텍스트언어학적 접근은 텍스트언어학 연구의 결과물을 성경본문 해석에 적용하고 그 유용성을 언급하려고 한다. 물론 구약성경이나 신약성경에 등장하는 텍스트의 유형 및 개별유형의 규칙성과 정형성을 발견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본 소고에서는 텍스트언어학의 기본개념과 연구 결과물에 따른 석의적 적용을 시도하고 그 유용성을 언급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1) 텍스트언어학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본문성(Textuality)의 주요요소인 결속성에 대해 언급하고, (2) 결속성 분석 방법에 따라 시편 23편의 결속성을 살피고, (3) 텍스트언어학의 관점에서 시편 23편을 주해할 것이다. 달리 말하면 구문론(syntactics), 의미론(semantics), 화용론(prgamatics)의 차원에서 시편 23편을 분석하여 적용의 예를 제시하고 텍스트언어학의 유용성을 서술할 것이다. Since textlinguistics was introduced in 1960’s, a significant amount of researches have been done, yet various theories and approaches are still suggested. Before the emergence of textlinguistics, linguistics has focused on lexeme and the syntactic and semantic connectivity of sentences. Yet with textlinguistics the area of linguistic investigation has extended to the area beyond the sentence, that is, the text. Especially textlinguistics has attempted to define the regularities, rules, and elements working in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of the text for communication. It also has identified the standards for the classification and function of texts. While secular textlinguists have been concerned with the research on textuality, text types and function, and the regularity of the text, biblical textlinguists apply the results and contributions of textlinguistics to biblical exegesis and present its usefulness. In the present article, we present an example of the exegesis on Psalm 23 according to the textlinguistic concepts and approaches, and then comment on the usefulness of textlinguistics. In so doing, we will briefly explain the concept of connectivity which is the main element of textuality, examine the connectivity of Psalm 23 on the surface level as well as the deep level according to analytical methods, and exegete Psalm 23 from the textlinguistic perspective. In other words, Psalm 23 will be exegeted in the realms of syntactics, semantics, and pragmatics in order to provide an example. Textlinguistics is useful for biblical exegesis in providing a systematic and holistic analysis, appreciating pragmatic elements, focusing on authorial meaning, and appreciating pragmatic elements and the author’s characteristics.

      • KCI등재

        선지서의 “여호와의 날” 개념으로 본 ACTS 신학공관운동의 타당성과 제언

        조휘 ( Cho Hwi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ACTS 신학저널 Vol.48 No.-

        ACTS 신학공관(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神學共觀)’은 1998년부터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의 교수진이 추진해 온 공동연구작업으로서 ACTS의 신학적 입장과 선교적 사명을 명확하게 밝히고 실천하려는 신학운동이다. 이 운동은 ‘기독교의 중심진리’를 우선적으로 강조하고 모든 신학 연구와 학문연구의 근간이 돼야함을 주장한다. 왜냐하면 구약과 신약이 동일하게 복음신앙으로 말미암아 구원 얻는 기독교의 중심진리를 선포하고 있다는 확신 때문이다. 그렇다면 구약의 관점에서 이 중심진리가 어떻게 선포되고 있는지를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소고는 스바냐서를 중심으로 “여호와의 날”(הה םוֹי)의 기원, 의미, 성격을 살펴서 구약의 선지자들이 선포한 “여호와의 날”이 중심진리를 담아내는 반향(an echo)임을 논하려고 한다. 선지자들은 창조목적의 회복과 성취를 위한 구속사의 전개과정과 완성을 “여호와의 날”로 선포하면서 기독교의 중심진리를 전달한다. 이는 ACTS 신학공관운동의 타당성을 지지해준다. 또한 이 운동의 효과적인 실현을 위해 세 가지 제한적 이해를 극복할 것을 제안한다: (1) 중심진리에 대한 제한적 이해; (2) 중심진리를 해석원리로 간주하는 제한적 이해; (3) 공관에 대한 제한적 이해.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is a joint research project which has been carried out by the faculty since 1998. Its purpose is to clarify and articulate the theological position and missional task of ACTS. With a primary emphasis on “the central truth of Christianity” in all areas of theory and practice of Christian theology, this movement intends to propose a way to apply and embody this truth in all aspects of Christian faith and life. This intention is based on the conviction that both of the OT and the NT proclaim the central truth of Christianity. Therefore, one area of need is the examination of how the central truth is proclaimed from OT perspective. The present article contends that "the Day of the Lord"(הה םוֹי), which OT prophets proclaimed, is an echo that expresses the central truth by identifying its origin, meaning, and character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book of Zephaniah. OT prophets delivered the central truth of Christianity by proclaiming the unfolding process and fulfillment of the redemptive history, which restores and fulfills God's creation purpose, as the concept of "the Day of the Lord." This understanding supports the relevance of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For the movement's effective implementation in ACTS community, the writer proposes to overcome three limited understandings which have hindered this movement from being more practical: (1) limited understanding on the central truth; (2) taking the central truth as hermeneutic principle or method; (3) limited understanding on "synoptic."

      • KCI등재

        쿰란나훔주석(4QpNah)의 해석적 경향 연구

        조휘 ( Hwi Cho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3 ACTS 신학저널 Vol.18 No.-

        The aims of the present article are twofold: (1) to introduce Qumran community’s interpretation on the book of Nahum based on the extant fragments of 4QpNah; (2) to evaluate the interpretive tendency of Qumran community. For these aims, firstly, general introductory information on Qumran commentary (pesharim) and its forms will be briefly mentioned. Secondly, the content of 4QpNah will be elaborated referring to Qumran scholars’ analyses and restorations of Nahum commentary fragments. Lastly, theinterpretive tendency of 4QpNah will be investigated in comparison with general interpretive tendencies which are found in other Qumran commentaries and scrolls. In the conclusion part, the differences between NT writers`` interpretation of the OT between Qumran community``s will be briefly touched on.

      • KCI등재후보

        말라기서에 언급된 십일조 권면(3:6-12)의 신학적 의미

        조휘(Hwi Cho)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1 신학논단 Vol.64 No.-

        The most well known passage in the book of Malachi is 3:6-12, which mentions tithe exhortation and blessings, since this text is most quoted in the church. Malachi 3:6-12 states the promise of the blessings for the faithful tithe more clearly than any other passages in the Old Testament. More practical reason for quoting this passage often is prob-ably that we can hear what we want to hear from this passage. Is it a proper understanding of Malachi’s exhortation of tithe? What is he doing by encouraging to offer the faithful tithe? What does tithe mean to God’s people and what is it for? This article attempts to answer these questions by presenting the theological meaning of tithe in the book of Malachi. First, the analytical trends and the meaning of Malachi’s tithe exhortation will be reviewed. Second, the structure of the book of Malachi will be discussed, which is the basis of the exegetical analysis. Third, the peri-cope of tithe exhortation passage will be demarcated (3:6-12 vs. 3:7-12). Fourth, the tithe passage will be exegeted in relation to the flow of the book of Malachi. Fifth, the theological meaning of Malachi’s tithe ex-hortation will be given on the basis of the foregoing analyses and discussions. This article claims that Malachi’s tithe exhortation is not a propositional command which creates the formula that offering title must entail sure, abundant blessings as promised, but a relational command that encourages to maintain the renewal of the covenantal relationship with Yahweh‘ In other words, Malachi’s tithe exhortation is relational be-tween Yahweh and his people as well as between man and man. The preliminary premises for this thesis are (1) tithe exhortation must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covenantal relationship between Yahweh and his chose people, and (2) tithe exhortation must b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related passages in the book of Malachi, not isolated from the book. The most well known passage in the book of Malachi is 3:6-12, which mentions tithe exhortation and blessings, since this text is most quoted in the church. Malachi 3:6-12 states the promise of the blessings for the faithful tithe more clearly than any other passages in the Old Testament. More practical reason for quoting this passage often is prob-ably that we can hear what we want to hear from this passage. Is it a proper understanding of Malachi’s exhortation of tithe? What is he doing by encouraging to offer the faithful tithe? What does tithe mean to God’s people and what is it for? This article attempts to answer these questions by presenting the theological meaning of tithe in the book of Malachi. First, the analytical trends and the meaning of Malachi’s tithe exhortation will be reviewed. Second, the structure of the book of Malachi will be discussed, which is the basis of the exegetical analysis. Third, the peri-cope of tithe exhortation passage will be demarcated (3:6-12 vs. 3:7-12). Fourth, the tithe passage will be exegeted in relation to the flow of the book of Malachi. Fifth, the theological meaning of Malachi’s tithe ex-hortation will be given on the basis of the foregoing analyses and discussions. This article claims that Malachi’s tithe exhortation is not a propositional command which creates the formula that offering title must entail sure, abundant blessings as promised, but a relational command that encourages to maintain the renewal of the covenantal relationship with Yahweh‘ In other words, Malachi’s tithe exhortation is relational be-tween Yahweh and his people as well as between man and man. The preliminary premises for this thesis are (1) tithe exhortation must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covenantal relationship between Yahweh and his chose people, and (2) tithe exhortation must b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related passages in the book of Malachi, not isolated from the book.

      • KCI등재후보

        모세는 지면의 모든 사람보다 온유한 사람이었는가? - 민수기 12:3의 □□번역 논의

        조휘 ( Cho Hwi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7 ACTS 신학저널 Vol.34 No.-

        민수기 12장 3절의 □□를 공동번역, 새번역, 현대인의 성경, 우리말성경은 일관되게 “겸손한 사람”으로 번역하고 있다. 영어성경에서는 “a very humble man” (“매우 겸손한 이”)또는 “meek”(“온유한”)으로 번역한다. 한글번역과 영문번역은 모세의 겸손한 또는 온유한 성품을 묘사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런데 히브리어 □□는 “온유함,” “겸손함”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비천함,” “억눌림,” “고난당함,” “가난함” 등의 의미를 갖기도 한다. 따라서 이 단어의 의미는 본문의 문맥에 따라 규정된다. 전통적으로 대부분의 번역본들은 민수기 12:3의 □□를 민수기 12장의 문맥에서 “온유함” 또는 “겸손함”으로 그 의미를 규정한다. 하지만 이 본문의 저자를 모세로 고려할 때 한 가지 의문이 제기된다. 모세가 자기 자신에 대해 “지면의 모든 사람보다” 더 온유하거나 겸손하다고 말하는 것이라면 그를 과연 겸손하다고 할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번역을 유지하면서 3절은 모세가 아닌 다른 이에 의해 후대에 삽입된 기록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3절의 □□는 단순히 번역의 문제만 아니라 저작의 문제에도 연관된다. 따라서 본 소논문은 □□의 의미를 민수기 12장의 문맥과 넓게는 모세오경의 문맥에서 재규정하는 것을 시도한 후 3절의 저작권에 관한 타당한 설명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가 모세오경과 민수기의 문맥에서 전통적 번역과는 달리 “고난당함”으로 번역될 가능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이는 모세의 저작권에 대한 더 적절한 설명을 제공한다. The traditional translation of the word □□ in Num 12:3 is “humble,” or “meek.” This translation reflects the understanding that the verse describes Moses’ character. Modern English and Korean versions follow this traditional translation and its understanding. However, the lexical meanings of the word include not only “humble,” “meek,” and “poor,” but also “afflicted” and “oppressed.” The word itself is open to other translation. Therefore the context is the key to defines its specific meaning. The extended context of the word, that is, Numbers 11-12 as well as the Pentateuch, leads us to rethink the meaning of the word □□ in Num 12:3. In addition, when Moses is considered as the author of the verse along with the traditional translation, a question would be raised, that is, how could Moses himself describe so, if he was really humble? With this question, the Mosaic authorship has been challenged. The word □□ in Num 12:3 is related not only to the issue of meaning, but also to the matter of its authorship. Taking these issues into consideration, the present article attempts to read and redefine the word □□ in the context of Numbers as well as in the context of the Pentateuch centering upon the life of Moses.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afflicted” is more suitable meaning of the □□ in Num 12:1-16 and that verse 3 describes not Moses’ character, but his overall situation.

      • 선지서의 신적 신탁에 등장하는 “여호와께서”와 “여호와가”의 한글번역에 관한 제언 -개역개정을 중심으로

        조휘 ( Hwi Cho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5 ACTS 신학저널 Vol.26 No.-

        구약 선지서의 신탁형식 중의 하나인 신적 신탁은 여호와의 신탁을 직접인용하면서 여호와를 l인칭의 화자로 등장시킨다. 이 직접인용문에서 화자인 여호와가 l인칭 대명사를 사용하는 대신에 자신의 이름인 “여호와”를 표기하여 문장을 서술하는 경우가 있다. 주로 그 이름의 속성 및 권위를 강조하고 전달하는 신탁을 확언하고자 할 때 그러하다. 이러한 현상을 “객관화 기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객관화 기법을 사용하고 있는 신적 신탁을 번역함에 있어서 개역개정(2005)의 일부에서 세 가지 문제점을 볼 수 있다. 첫째, 한글의 높임법, 구체적으로는 주체높임법을 잘못 사용하여 부적격한 문장으로 번역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앞의 문제로 인해 화자가 불분명해지거나 여호와와 선지자가 직접인용문의 화자로 혼용되는 것이다. 셋째, 신탁에 의도된 객관화를 반영하지 못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은 한글 어법에 맞지 않는 번역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신탁을 해석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주게 된다. 따라서 본 소논문은 네 가지 객관화의 유형을 소개한 후, 각 유형별로 볼 수 있는 개역개정의 번역의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신적 신탁에 사용된 “객관화 용법”의 의미와 중요성이 확인될 것이다. Divine oracle, which is one of the oracular forms in Old Testament prophetical books, quotes the oracle of Yahweh as presenting him as first person speaker. In this direct quotation, Yahweh the speaker states a sentence whose subject is mentioned as “Yahweh,” not the first person pronoun. It happens when it is intended to emphasize the attributes and authority of that name and to affirm the solemnity of what is announced in the oracle. This phenomenon can be understood as “objectification device.” As translating the oracles that contain objectification device, some of New Korean Revised Version (200s) reveals three problems. First, Korean honorific mood, specifically speaker honorific system, is used in wrong way. Second, unqualified translations to the mood creates the ambiguity and confusion of the speakers. Third, the objectification intended in the oracle is net reflected in the translation. As a result, NKHV offers unfitting translations and creates difficulties in interpreting divine oracles. Therefore, after introducing four types of objectification in divine oracles, the present article will point out the translation problems in NKRV according to the objectification types. In turn, it will confirm the importance of objectification device used in the prophetical books.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