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광원을 이용한 복잡한 배경의 잠재지문 시각화 및 증강에 관한 연구

        조형우(Hyeong-Woo Cho),고현서(Hyun-Seo Koh),한상균(Sang-Gyoun Han),유제설(Je-Seol Yu)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3

        범죄 현장에서 발견되는 증거물에서 지문을 현출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다양한 기법 중에 증거물의 상태와 조건에 따라 가장 적합한 것을 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색상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배경의 표면에 유류된 지문을 현출할 수 있는 법광원 이용 기법 세 가지를 비교하여 보았다. 색상, 표면의 모양, 표면의 질감에 따라 다양한 검체를 선정하였으며 형광 분말, 적외선 사진 촬영, 에피스코픽 동축 조명을 이용하여 잠재지문을 현출하였다. 형광 분말은 모든 표면에서 지문과 배경의 대조비가 커서 좋은 결과를 보였고 IR사진 촬영은 지문과 배경의 대조가 뚜렷하게 관찰되었으나 검정색이 포함된 배경에서는 대조비가 떨어졌다. 에피스코픽 동축 조명 촬영은 광택이 있는 평면 표면에서만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형광 분말이 표면의 특성에 관계없이 지문 현출 효과가 우수하였으나 특정 표면에서는 IR사진 촬영이 더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re are various methods of developing latent fingerprints from evidence found at crime scenes. Crime scene investigators should choose appropriate techniques among them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evidence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three methods using forensic light sources to develop latent fingerprints on multi-colored surfaces. We selected the various samples according to color, shape and texture of the surfaces and developed the latent fingerprints using fluorescent powder, IR(Infrared) photography and Episcopic Co-axial Illumination. Fluorescent powder was highly effective on all surfaces. IR photography was also effective, but only on the not dark surfaces. Episcopic Co-axial Illumination was effective only on the flat and polished surfaces. Although fluorescent powder was fine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s, IR photography was better on certain surfaces.

      • KCI등재

        Home range of mallard (Anas platyrhynchos) and spot-billed duck (Anas poecilorhyncha) during the 2014/15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epidemics in the Republic of Korea

        김으뜸(Eu-Tteum Kim),조형우(Hyeong-Woo Cho),박선일(Son-Il Pak) 한국예방수의학회 2021 예방수의학회지 Vol.45 No.4

        The mallard and spot-billed duck are representative migratory bird species wintering in the Republic of Korea. They can be a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virus carrier during their wintering movement. From September 2014 to June 2015, 162 poultry farms were confirmed to have a HPAI infection. The current study estimated the home range of the mallard and spot-billed duck during the 2014/15 HPAI epidemic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ntering site of the migratory birds and the geographical locations of HPAI-infected farms. A Brownian bridge movement model was applied to estimate the home ranges of 13 mallards and three spot-billed ducks. As a result, 22 HPAI-infected poultry farms were located geographically in the 99% cumulative probability contour of the home range of the mallard, but no HPAI-infected poultry farm was found in spot-billed duck’s home range. In the case of one spot-billed duck, however, it has two wintering sites: Chungcheongnam-do and Jeollanam-do. Considering that migratory birds can be a major driven factor in HPAI virus transmission from wild birds to poultry farms, it is recommended for poultry farms located within the home range of migratory birds to increase their biosecurity level during wintering season of migratory birds.

      • KCI등재

        지문 분말의 자착성(auto-adhesion)에 관한 연구

        김채원(Chae-Won Kim),조형우(Hyeong-Woo Cho),이상아(Sang-A Lee),송동하(Dong-Ha Song),유제설(Je-Seol Yu)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8

        비다공성 표면에 유류된 지문을 현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분말법은 실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기법 중 하나이다. 하지만 분말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각각의 분말마다 권장되는 붓질(stroke) 횟수가 정해져 있지 않아 숙련된 과학수사요원이 잠재지문의 현출정도를 파악하면서 붓질을 해야 하며 현출한 결과물 또한 개개인마다 다르다. 지문 분말은 원료배합과 제조방법에 따라 분말 입자간 서로 붙는 성질이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성질을 자착성(auto-adhesion)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지문 분말의 자착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슬라이드 글라스에 지문을 유류한 후 분말을 각각 1회, 3회, 5회, 10회 적용하여 현출된 지문을 광학현미경으로 배율을 달리하여 관찰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일부 분말은 붓질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지문 융선이 더 진하게 현출되는 결과를 보였고 반대로 일부 분말은 약한 자착성으로 인해 붓질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지문이 흐려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각 분말들이 갖는 자착성의 다양함은 분말마다 브러쉬의 사용방법이 달라져야 한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Powder method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techniques for developing latent fingerprints on non-porous surfaces. While fingerprint powders become more diverse, there is no standard for the number of stroking a brush. For this reason, crime scene investigators need to stroke a brush as they try to figure out how much latent fingerprints are developed. Also, results vary from individual to individual.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material and manufacturing, there are various results that powder particles hold together. It is called auto-adhesion which means the interaction between powder particles. This study showed auto-adhesion of 13 kinds of fingerprint powders expanding the number of stroking time. Consequently, some fingerprint powders had strong auto-adhesive property and others had weak auto-adhesion. Furthermore, the others did not change.

      • KCI등재

        특수 종이 표면에서 ninhydrin 계열 시약의 적용 및 효과성 비교에 관한 연구

        김청(Chung Kim),조형우(Hyeong-Woo Cho),고현서(Hyun-Seo Koh),유제설(Je-Seol Yu)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9

        해외의 연구들에 의하여 몇 가지 종이류에서는 ninhydrin 및 유사체 시약들의 잠재지문 현출 효과가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특수지에 대해 우리나라 실험 조건에서의 ninhydrin 계열 시약들의 효과는 어떤지 알아보았다. 이전 연구들을 토대로 6종의 종이류를 선택하였으며, 이들 종이류에 남겨진 잠재지문을 ninhydrin 계열 시약들의 4가지 기법을 적용하여 현출한 뒤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6종의 종이류 중에서 신문지가 실험에서 사용된 잠재지문 현출 기법들의 효과가 가장 떨어지는 표면이었으며 시약 중에서는 `1.2-IND/Zn`가 전체 표면에서 가장 높은 대조비의 지문을 현출해 내어 가장 뛰어난 시약으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현장에서 발견된 특수지의 경우에 잠재 지문 현출 시약으로 `1.2-IND/Zn`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Some previous studies had proven that ninhydrin or its analogues qre not effective in developing fingermarks on some type of paper. This study has evaluated the efficiency of four reagents for detecting latent fingermarks on six unusual paper surfaces. Among the six types of paper surfaces, none of the reagents worked on the newspaper. The 1.2-IND/Zn developed fingermarks on most of the surfaces tested.

      • KCI등재

        장기간 발효 김치인 묵은지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sakei JK-17의 기능성 조사

        김동선(Dong-Seon Kim),조형우(Hyeong-Woo Cho),김대한(Dae-Han Kim),오계헌(Kye-Heon Oh) 한국생물공학회 2013 KSBB Journal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investigate the several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sakei JK-17 isolated from long-term fermented kimchi, Muk Eun Ji. Initially, phylogenetic analysis using 16S rRNA sequencing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solate JK-17, and the strain could be assigned to Lactobacillus sakei and designated as L. sakei JK-17. The strain was registered in GenBank as [JX841311]. The changes of bacterial growth and residual organic acids were monitored and HPLC was used to measure quantitatively two organic acids, lactic acid and acetic acid, produced in the culture during 84 hours of incubation.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several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 sakei JK-17 were examined. L. sakei JK-17 culture depleted nitrite concentration 94.75%. Antioxidant activity of cultural supernatants of L. sakei JK-17 was approx. 53.8%, and β-galactosidase activities were 0.243 units/mL at pH 7.0 and 0.387 units/ mL at pH 4.1, respectively.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food-poisoning causing bacteria were examined with 20-fold concentrated culture supernatants from L. sakei JK-17 and the antibacterial effects were clearly observed against all bacteria tested in this work.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