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절경적 2열 고정 회전근개 복원술 후의 임상 결과 및 CT 관절조영술을 이용한 건의 치유 평가

        조현철(Chris H. Jo),김제균(Je-Kyoon Kim),윤강섭(Kang-Sup Yoon),이지호(Ji-Ho Lee),강승백(Seung-Baek Kang),이재협(Jae-Hyup Lee),한혁수(Hyuk-Soo Han),이승환(Seung-Whan Rhee)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09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2 No.2

        목적: 관절경적 회전근개 복원술의 임상 결과는 관혈적 복원술의 결과에 비견될 만큼 우수하다는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복원된 건의 치유 상태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절경적 2열 고정술 후의 임상 결과와 건의 치유 상태를 전산화 단층 촬영 조영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임상 결과와 건의 치유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절경적 2열 고정술을 이용하여 회전근개 복원술을 시행받고 최소 1년 이상의 추시 관찰을 받은 환자 중 건의 치유 상태 확인을 위해 전산화 단층 촬영 조영술을 시행한 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57세였으며 남자 11명, 여자 16명이었다. 술 전 및 술 후 1년에 동통 점수, 관절 운동 범위, 전방거상력, 이환 기간, 그리고 여러 종류의 임상 점수를 측정 하였으며, 수술 중 파열의 시상면 및 관상면의 크기, 이환 건의 범위를 측정하였다. 술 전 자기공명 영상 관절 조영술, 술 후에는 전산화 단층 촬영 관절 조영술에서 극상근 및 극하근의 위축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건의 연속성을 통한 건 치유 상태를 분석하였다. 건의 치유 상태는 치유, 재파열, 그리고 건의 연속성은 있으나 부분적인 조영제 침투가 보이는 불완전 치유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또한 환자군을 전향적으로 추시하여 중, 장기적인 결과를 추시할 예정이다. 결과: 파열의 관상면 및 시상면 상 크기 중, 더 큰 것을 기준으로 파열의 크기를 분류하였고, 대상 환자 중 소파열이 1례, 중파열이 15례, 대파열 5례, 광범위 파열이 6례이었으며, 시상면에서의 평균 파열의 크기는 29.22 mm 이었다. 관상면에서의 크기는 평균 22.72 mm 이었으며, 술 전 극상근 위축이 12례에서, 극하근 위축은 2례에서 관찰되었다. 술 후 1년에 동통 점수, 관절 운동 범위, 전방 거상력, 그리고 임상 점수는 모두 의미있게 호전되었으며 술 후 전체적인 환자 만족도는 80.38점이었다. 건의 치유 상태는 치유가 48.2%, 불완전 치유가 11.1%, 재파열이 40.7%이었으며, 근위축은 극상근이 8례, 극하근이 1례로 술 전에 비하여 약간의 호전을 보였다. 결론: 2열 고정술을 이용한 관절경적 회전근개 복원술은 양호한 임상 결과를 보였으며 전체적인 환자 만족도 또한 높았다. 그러나 건이 완전 치유된 경우가 48.2%로 비교적 낮아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Our goal for this study was to prospectively evaluate the functional & structural outcomes, by means of CT arthroscopy, of arthroscopic double-row fixation for treating rotator cuff tear. We also attempted to determine the variants that affect the functional & structural outcome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seven consecutive patients underwent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with double-row fixation. The average age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was fifty six years.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examinations consisted of determining the Constant score, the score for the visual analogue scale for pain, the UCLA score, th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 as well as a full physical examination of the shoulder. Preoperative MR arthrography was used to evaluate the integrity and atrophy of the rotator cuff. We measured the intraoperative tear size in the sagittal and coronal planes. Postoperative CT arthrography was used at one year postoperatively to evaluate the integrity and atrophy of the repaired tendons and muscles. Results: Preoperative MR arthrography revealed an average 29.22 mm tear size in the sagittal plane and an average 22.72 mm tear size in the coronal plane. Twelve cases of supraspinatus muscle atrophy and two cases of infraspinatus atrophy were observed on the preoperative MR arthrography. The average clinical outcome scores all significantly improved at the time of follow-up. At a mean of one year postoperatively, CT arthrography revealed 48.1% of the shoulders had healed, 11.1% showed incomplete healing and 40.7% showed retear of the repaired tendon. Conclusion: Arthroscopic double-row repair can result in improved clinical outcomes and good patient satisfaction. However, the problems about how to enhance healing of the repaired tendon still remain.

      • KCI등재

        관상면과 시상면에서의 견봉 형태와 회전근개 파열의 연관성

        조현철(Chris H. Jo),김정택(Jung-Taek Kim),윤강섭(Kang-Sup Yoon),이지호(Ji-Ho Lee),강승백(Seung-Baek Kang),이재협(Jae-Hyup Lee),한혁수(Hyuk-Soo Han),이승환(Seung-Whan Rhee)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09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2 No.2

        목적: 견관절 자기 공명 영상에서 전방 및 외측 견봉 갈고리각을 측정하고 기존의 견봉 지표들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6월에서 2005년 12월까지 수술을 통해 진단된 충돌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동일한 시기에 충돌증후군 관련질환 이외의 원인으로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한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충돌증후군 환자군의 자기공명영상에 전방 견봉 갈고리각 (AAHA)과 측방 견봉 갈고리각 (LAHA), 그리고 견봉 갈고리지수 (AHI)를 측정하고 회전근개 파열환자군에 대해, 견봉형태, 견봉각, 전방덮임정도, 견봉경사, AAHA, 외측견봉각, 견봉염전각, 외측견봉굴곡각, LAHA, 외측덮임정도, 견봉상완거리, 견봉갈고리지수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결과: 충돌증후군 환자에서 단계가 진행할수록 AAHA, AHI는 증가하였다. 회전근개 파열환자에서 AAHA와 LAHA는 증가해 있었다. 단변량 분석에서는 견봉유형, 견봉각과 AAHA, LAHA, AHI가 회전근개 파열환자에서 대조군과 차이를 보였다. 다변량 분석에서는 성별, 연령, AAHA, 견봉각이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었고 성별이 가장 큰 연관성이 있으며 연령, AAHA, 견봉각은 유사한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 견봉의 형태는 사관상면의 특징이 회전근개 파열과 연관성을 가지므로 견봉성형술에서 견봉 측방 성형도 중요하다. Purpose: We evaluated the correlation of the anatomic parameters of the acromion those represent on the magnetic resonance image (MRI) of impingement syndrom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2004 to December, 2005, 71 cases were surgically proven to be impingement syndrome, and the anterior acromial hooking angle, the lateral acromial hooking angle (AAHA and LAHA) and the acromial hooking index (AHI: the sum of the AAHA and LAHA) were compared to 16 control cases. At the same period, 55 cases were surgically proven to be partial or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ar, and age, gender and twelve anatomic parameters, including the acromial type, the acromial angle, the anterior covering, the acromial slope, the AAHA, the lateral acromial angle, the acromial torsional angle, the lateral acromial angulation, the LAHA, the lateral covering, the acromiohumeral distance and the AHI were assessed. Results: The AAHA and AHI were increased as impingement syndrome proceeded. The acromial type and acromial angle, and the AAHA, LAHA and AHI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s and the rotator cuff tear patients on univariant analysis. On multivariant analysis, gender was most strongly correlated with rotator cuff tear. Age, AAHA and the acromial angle showed similar correlation, respectively. Conclusion: The coronal acromial shape is correlated with rotator cuff tear, and it is important to correct the lateral acromial shape when performing acromioplasty.

      • KCI등재

        자기 공명 영상의 사 시상면에서의 견봉 형태의 변화

        조현철(Chris H. Jo),김지범(Ji-Beom Kim),최혜연(Hye-Yeon Choi),고영환(Young-Whan Ko),윤강섭(Kang-Sup Yoon),이지호(Ji-Ho Lee),강승백(Seung-Baik Kang),이재협(Jae Hyup Lee),한혁수(Hyuk-Soo Han),이승환(Seung-Whan Rhee)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09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2 No.2

        목적: 견봉의 형태가 부위별로 변화한다는 가설하에 자기공명영상에서 사 시상면을 통해 부위별 견봉의 형태를 분석한 뒤 회전근 개 질환과 견봉의 형태가 연관이 있는 사 시상면을 찾고, 단순방사선 사진과 자기공명영상간의 견봉의 형태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하고 회전근 개 질환으로 관절경 수술을 받은 71명을 대상군으로 하고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회전근개 질환이 없는 16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사 시상면 영상에서 견봉의 외측단부터 4 mm까지 단면을 S1, 그 내측 8 mm, 12 mm 부분을 S2, S3로 정하고, 각 사 시상면에서 견봉의 형태를 제1형:편평형, 제2형:만곡형, 3형:갈고리형으로 형태를 파악하고 변화여부를 확인하였다. 회전근 개 질환을 점액낭염, 부분층 파열, 전층 파열로 경중도를 나누고, 견봉의 형태가 이러한 경중도를 반영하는 사 시상면을 찾아보았고, 각 사 시상면의 견봉의 형태와 단순방사선 사진에서의 견봉의 형태를 비교하였다. 결과: 54명 (76.1%)에서 견봉 형태 변화를 보였으며 (p<0.001), S1, S2에서 같고 S3에서 달라지는 경우가 22건 (31%)으로 가장 많았다. S1영상에서는 제1형 (49.3%), S2에서는 제2형 (53.5%), S3에서는 제3형 (49.3%)이 가장 많았다. S1, S2영상에서 견봉 형태와 질환의 경중도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p=0.001, 0.022). 단순방사선과 자기공명영상간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일치하지 않았다 (p>0.05). 결론: 견봉의 형태는 사 시상면마다 변하였고, 자기공명영상의 사 시상면 영상 중 외측(S1, S2) 단면에서의 형태가 회전근 개 질환의 임상 증상과 관련성이 많음을 확인하였다. 단순 방사선 영상과 자기공명영상에서 통계적인 일치성은 없었다. Purpose: On the hypothesis that the acromion morpholog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its site, we identified the morphology of the acromion on the oblique slices of MRI and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the acromial shape with the clinical stages of rotator cuff disorder on the magnetic resonance (MR) images. In addition, we compared the acromion morphology on MRI and simple X-rays. Material and Methods: The MR images of seventy one patients with rotator cuff disorder and who underwent arthroscopic surgery were compared with that of a control group of sixteen patients who didn’t have rotator cuff disorder on MRI. On three subsequent oblique sagittal slices from the lateral edge of the acromion (S1, S2 and S3), each acromion morphology on the MRI slices was classified according to Epstein et al: flat, curved or hooked. We investigated the changing parttern of the acromion shape and we compared the acromion shape on MRI and that on simple X-rays. We classified the rotator cuff tear by the severity: bursitis, partial thickness tear or full thickness tear. We investigated which acromial type on the MRI oblique slice was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rotator cuff disease. Results: Changes of the acromial shape occurred in 54 patients (76.1%). The most frequent pattern was that the types are same on S1 and S2 and different on S3 (22 cases, 31.0%). The acromial type on S1 and S2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rotator cuff disorder (p=0.001 and 0.022), respectively. There was no reliability of the acromial shape on MRI and roentgenography (p>0.05). Conclusion: The type of acromion changed from lateral to medial. Among the three positions, the shape of the acromion on S1 and S2 had meaningful correlation with the clinical stage of rotator cuff disorder. There was no statistical correlation of the acromial shape between MRI and simple X-ray.

      • KCI등재

        건 재생을 위한 중간엽줄기세포 치료법의 비임상 및 임상연구의 최신 동향

        윤영주(Young-Joo Yun),조현철(Chris Hyunchul Jo) 대한정형외과학회 202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8 No.6

        건의 근본적인 재생을 도모하고자 줄기세포를 이용한 생물학적치료 중심의 비임상 및 임상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특히 중간엽줄기세포는 타 줄기세포에 비하여 분리가 쉽고, 생명윤리의 심각성 및 발암가능성 문제가 적기 때문에 재생의학연구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본 종설에서는 건 재생을 위한 중간엽줄기세포치료에 대하여, PubMed 데이터 베이스에 최근 3년 내 발표된 비임상 및 임상연구의 효능을 비교 분석하여 그 가능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비임상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체내이식 후 소실문제를 개선하고 재생능을 향상시키고자 1) 줄기세포시트 2) 인체유래 세포 외 기질 또는 제대 와튼젤리와 같이 면역원성이 낮은 생체소재나 삼차원 프린팅과 같은 혁신적인 기술로 제작된 지지체 활용 3)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직접 이식하는 연구가 진행되었고, 단순복원술에 비하여 이들을 병행하여 복원술이 시행된 경우 건 재생이 개선되는 것이 다양한 회전근개 질환동물모델에서 확인되었다. 또한, 건 재생에 대한 임상연구연구동향은 크게 배양과정을 통하여 확인된 의약품으로서의 중간엽줄기세포 치료제(stem cell drug)를 투여하는 방법과 배양과정 없이 중간엽줄기세포가 포함되었으리라 예상되는 생체재료를 수술 중 획득하여 이식하는 술식(stem cell procedure) 두 가지의 방향으로 진행이 되고 있다. 중간엽줄기세포치료는 해결해야 할 심각한 문제점들이 여전히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 재생에 대한 효능은 비임상 및 임상연구들을 통해 반복적으로 보고되어 왔으며 최근 다른 공학분야의 발전과 함께 세포나 생체재료의 획득 및 이식법에 대한 새로운 대안들이 제시되면서 그 가능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Stem cell-based biological treatments are steadily progressing as an approach to promote the fundamental regeneration of tendons. In particular, mesenchymal stem cells (MSCs), which have the least severity of bioethics and carcinogenicity and can be separated relatively easily, have been applied widely. In this review, the efficacy of MSC therapy for tendon regeneration was compared and analyzed in nonclinical and clinical studies published in PubMed data base within the last three years, and the possibility was considered. In light of nonclinical study trends, to improve loss problems after cell transplantation and regeneration, 1) stem cell sheets, 2) use of scaffolds made with biomaterials of low immunogenicity, such as human-derived extracellular matrix and umbilical cord Wharton jelly, or innovative technologies such as three-dimensional printing, 3) stem cell-derived exosomes were directly injected into the body. Various animal models of rotator cuff tear have shown that tendon regeneration was improved when repair combined with these methods compared to a simple repair. In light of clinical study trends, efficacy, and safety evaluation were conducted by administering MSCs obtained through an expansion culture process (stem cell drug) or directly transplanting fresh biomaterials containing MSCs obtained during surgery without an expansion culture process (stem cell procedure). Although MSC therapy has many unresolved problems, the efficacy of MSCs for tendon regeneration has been reported repeatedly through numerous non-clinical and clinical studies. In addition, as new alternatives for the acquisition and transplantation of cells or biological materials have been proposed with the developments in other engineering fields, the possibilities are further increasing.

      • KCI등재

        혈소판 풍부 혈장의 주사치료

        윤정용(Jeong yong Yoon),조현철(Chris Hyunchul J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5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rich plasma)은 자가혈액에서 혈소판을 추출한 농축액이며, 정상 혈액보다 많은 성장인자를 포함하여 손상된 조직 치유에 도움이 된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혈소판 풍부 혈장은 다양한 근골격계 손상 및 질환에서 사용되는 치료 방법 중 하나이며 사용 시도가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과학적 근거제시가 부족한 상황이며 수준 높은 임상시험을 통한 결과보고가 적은 것이 현실이다. 또한 혈소판 풍부 혈장은 4Ds (Drug [platelet-rich plasma], Delivery [application method], Donor [patients], Disease [stage of disease])에 의한 연구 간 차이로 다양한 결과들이 나오게 되었으며, 혈소판 풍부 혈장의 주사치료에 대한 효용성에 성급한 결론을 내리는 것은 아직 이르다. 질환의 부위, 종류, 급성 또는 만성 질환 정도에 따라 최적의 적용 시기나 적용 방법이 달라야 하며, 이에 대한 혈소판 풍부 혈장의 제조상의 표준화를 이루고 각각의 분석 및 연구가 필요하다. Platelet-rich plasma (PRP) supplies numerous growth factors from concentrated platelets required to promote the healing process of injured or degenerated tissue. PRP is already a popular option to treat a variety of musculoskeletal injuries and diseases, even though the precise mechanism of action is not completely understood. Varying outcomes, from favorable to poor, after PRP injection may arise from interstudy differences with respect to 4Ds (Drug [PRP], Delivery [application method], Donor [patients], and Disease [stage of rotator cuff disease]). In addition, there is no standard treatment regimen (injection location, number, interval, volume). Therefore, precise outcome measures as well as long-term follow-up are required to accurately evaluate the 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