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를 이용한 휴머노이드 로봇의 전원시스템 개발

        조한익(Joh, Han-Ik),하태정(Ha, Tae-Jung),조재형(Cho, Jae-Hyung),김종호(Kim, Jong-Ho),채승훈(Chae, Seung-Hoon),황상엽(Whang, Sang-Youp),문상흡(Moon, Sang-Heup),하흥용(Ha, Heung-Yong),조백규(Cho, Baek-Kyu),오준호(Oh, Jun-Ho)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6 No.11

        전극 전해질 복합체가 하나로 구성된 단위전지는 전기출력이 낮아 원하는 전기출력을 얻기 위하여 단위전지를 여러 장 직렬로 쌓아 스택을 구성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400W급 직접메탄을 연료전지 스택을 제조하여, 운전 조건의 최적화를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고, 한국형 휴머노이드 로봇인 Hubo에 적용하여 그 동특성을 평가하였다. 0.8M 메탄을 용액은 260 ml/min의 유량을, 공기는 42LPM을 스택에 주입하여 400W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연료전지 스택의 온도와 전압의 편차는 작았으며 정상 운전시스템의 온도는 약 70?C를 유지하였다. 로봇의 필요 전력이 높을 경우, 배터리와 연료전지가 동시에 부하 변동에 대응하였다 방전된 배터리는 로봇의 필요 전력이 낮아질 경우, 충전되어 이후의 방전 상황에 대비하였다. 연료전지 시스템 적용 결과 로봇의 성공적인 운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대학생용 스마트폰 의존도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조한익 ( Han Ik Cho ),김미점 ( Mi Jum Kim ),김영숙 ( Young Suk Kim ),조은실 ( Eun Sil Jo )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4 현대교육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의존도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남학생 79명, 여학생 128명 총 207명이다. 본 연구의 타당화를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주축요인분석과 베리맥스 회전을 한 결과 SNS 메신저 의존, 정보습득의존, 강박/불안. 몰입, 스마트폰 과다사용의 5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요인별 설명량을 살펴본 결과 각각 14.308%, 10.165%, 9.736%, 8.825%, 6.957%이고 전체 설명량은 49.990%로 나타났다. 최종 선정된 문항은 SNS 메신저 의존 6문항, 정보습득의존 5문항, 강박/불안 4문항, 몰입 3문항, 과다사요 3문항으로 총 21문항이다. 이들 문항들의 신뢰도를 SNS 메신저 a계수는 .818, 정보습득의존도는 .760, 강박/불안은 .796, 몰입은 .755, 과다사용은 .704로 나타났다. 이후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고식 태도검사 등에서 문항의 보수치를 살펴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등급 반응모형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Samejima의 등급반응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문항변별도 모수는 모두 1이상으로 나타났고 문항난이도 범주의 위치모수는 위치모수의 간격이 고르고 극단적인 위치모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난 안정적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과의 관련성,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mart phone dependency scale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study were 79 male and 128 female students, which were summed up 207 college students. To obtain the validity of item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with principal axis factor analysis and varimax rotation. In the scree table five factors had eigenvalues over 1 so the researchers named these as smart phone dependency, acquisition of information, obsession and anxiety, immersion, and excessive use of smart phone. The explanation percentage of the factors were 14.308%, 10.165%, 9.736%, 8.825% and 6.957% respectively. The final scale of smart phone dependency was composed of 21 items which were 5 items on smart phone dependency, 5 items on acquisition of information, 4 items on immersion, and 3 items on excessive use of smart phone. The reliabilities of Cronbach`s a were .818(smart phone dependency), .760(acquisition of information), .796(obsession and anxiety), .755(immersion), and .704(excessive use of smart phone). After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Samejima`s graded response modeling was performed to know the group invariance of item parameters in polytomous data. Each items of smatt phone dependency scale had over 1 discrimination parameters and location parameters had equl interval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phone dependency scale were discussed.

      • KCI등재

        성취목표지향성, 희망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분석

        조한익(Han Ik Cho) 한국교육심리학회 2010 敎育心理硏究 Vol.24 No.4

        본 연구는 성취목표지향성, 희망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별에 따라서 잠재평균은 어떠한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남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326명으로 측정도구는 성취목표지향성, 희망 검사이고 학업성취도는 도학력평가 결과를 활용하였다. 변인간의 관련성은 상관분석을 하였고 정규분포의 가정, 연구모형의 적합도, 경로계수 및 직·간접효과, 잠재 평균은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숙달접근 목표지향성은 희망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있었고, 희망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수행접근 목표지향성은 희망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숙달회피와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희망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학생 집단간에 성취목표지향성, 희망 및 학업성취도의 잠재평균을 살펴보기 위해서 형태동일성, 측정동일성, 절편동일성, 요인분산동일성을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른 동일성 이 모두 입증되었다. 잠재평균분석을 한 결과 남학생 집단은 여학생 집단보다 성취목표지향성, 희망 및 학업성취도에서 잠재평균과 효과크기가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op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o it, the study was to analyze latent mean analysis of the variables. The subjects were 326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these wer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ope, and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achievement scores were from the final achievement test administered by the Chungnam Office of Education. Mastery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hope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had a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y the mediation of hope.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y the mediation of hope. However, mastery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s had no effect on hope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 was no configural invariance, metric invariance, and scalar invariance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Given the three types of invariance satisfied, latent mea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mean differences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ope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latent mean analysis where female group was used as reference group, male students showed lower latent mean values in three latent variables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 KCI등재

        초등학생의 정서, 성취정서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조한익 ( Han Ik Ch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정서, 성취정서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6학년 744명이며 남학생은 369명, 여학생은 375명이다. 측정도구는 정서와 성취정서 검사이며 학업성취도는 도학력평가 결과를 활용하였다. 수업상황에서 정적정서는 즐거움 성취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불안감과 지루함 성취정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부적정서는 불안감과 지루함 성취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즐거움 성취정서는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불안감 성취정서는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숙제상황에서 정적정서는 즐거움 성취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불안감과 지루함 성취정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부적정서는 불안감과 지루함 성취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시험상황에서 정적정서는 즐거움 성취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불안감 성취정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부적정서는 불안감 성취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불안감 성취정서는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s, achievement emo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744 students in which boys were 369 and girls were 375.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emotion and achievement emotion scale. Academic achievement tests were korean, math, social studies, science, and english administered by the Education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Statistical methods are correlation and descriptive statistics by SPSS 21.0 program. Model fit and mediation effects of research model was analyzed by Mplus 6.0 program. In the class-related circumstance, positive emotions positively effected on enjoyment, but negatively effected on anxiety and boredom. Negative emotions positively effected on anxiety and boredom. Enjoyment, positively effected on academic achievement but anxiety negatively effected o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homework-related circumstance, positive emotions positively effected on enjoyment, but negatively effected on anxiety and boredom. Negative emotions positively effected on anxiety and boredom. In the test-related circumstance, positive emotions positively effected on enjoyment, but negatively effected on anxiety. Negative emotions positively effected on anxiety and anxiety lower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achievement emotions and its related variabl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우리나라 아동들의 행복과 우울수준

        조한익 ( Han Ik Cho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들의 행복과 우울수준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소(NYPI)에서 조사한 초등학교 1학년과 4학년패널자료를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주관적 안녕감과 우울 척도이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아동들은 초등학교 시기에는 행복이 높아지지만 중학교로 올라가면서 행복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행복은 여학생의 행복보다 전반적으로 높으며 초등학교 6학년 때에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중학교로 올라가면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행복은 청소년기가 시작되는 초등학교 5학년때부터 중학교 때까지 계속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아동들의 우울도 학년이 올라갈수록 계속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우울은 남학생의 우울보다 높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계속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아동들의 행복과 우울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살펴보았고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happiness and depression during childhood. The longitudinal data were collected from 2 panel data, first one is 1st to 5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second one is 4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to 2nd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s by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The subjects evaluated in the study included 2,342 children in panel 1 and 2378 children in panel 2 data.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subjective well-being and depression. In the result,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s were higher on happiness, however, when they went up to middle schools their happiness dropped down. Boys’ happiness was high in elementary school period, however, when they came into middle schools their happiness showed falling curve. Girls’ happiness dropped from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s to 2nd year of middle schools. Dep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higher in the initial stage and went up through middle school period. Girls’ depression was higher than that of boys in elementary schools and continued to rise.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related to the literature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학업낙관성, 교사열정 및 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조한익 ( Han Ik Ch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5 초등교육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학업낙관성과 교사열정, 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5-6학년 학급 담임교사 67명과 이들 학급에 속한 남학생 792명, 여학생 710명 총1502명이다. 측정도구는 교사용 학업낙관성과 교사열정척도, 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척도이며 학업성취도는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성적이다. 본 연구에서 학생차원은 학업성취도와 성취목표지향성이고 교사차원은 학업낙관성과 교사열정이다. 다층분석은 HLM 7.01(Hierarchical Linear and Nonlinear Modeling)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교사의 학업낙관성과 교사열정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주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학업낙관성과 교사열정은 숙달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 목표지향성과 상호작용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낙관성은 수행회피 목표지향성과 상호작용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부적인 기울기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교육적의의, 연구의 제한점 등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s’ enthusiasm, academic optimism, and students’ achievement on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were 1502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67 classroom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he students.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teacher enthusiasm, academic optimism,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ademic achievements were Korean, math, social studies, science, and English implemented by each schools at the end of the 2014. Statistical method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with SPSS 21.0 and multi-level modeling analysis with HLM 7.01 program. There were no direct effects of teacher enthusiasm and academic optimism on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eacher enthusiasm and academic optimism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with the interaction of the slope of mastery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Also, academic optimism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y decreasing the slope of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related to the literature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자기결정성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조한익 ( Han Ik Cho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2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자기결정성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2013년까지 이루어진 국내의 학위논문과 학술논문 총 23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효과크기의 수는 295개이다. 자기결정성은 자기결정성 분류 형태인 내재적 동기, 확인/통합동기, 부과된 동기, 외적 동기, 무동기로 나누었다. 자기조절학습도 일반적인 분류 형태인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로 나누었다. 두 변인간의 관계에 관한 출판편의를 Orwin의 fail-safe N과 Egger의 회귀절편으로 분석한 결과 출판편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내재적 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486, 확인/통합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544, 부과된 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379, 외적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046, 무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395로 나타났다. 이 효과크기들은 모두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는 논문형태, 학교급별과 관련되는 독립변인들이 이질성의 원인이라고 판단하여 분석을 하였다. 논문형태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내재적 동기-자기조절학습, 외적동기-자기조절학습에서는 학위논문의 효과크기가 학술논문의 효과크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내재적 동기-자기조절학습, 확인/통합동기-자기조절학습, 부과된 동기-자기조절학습, 외적동기-자기조절학습, 무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s to synthesize the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by meta-analysis. For the study 295 effect sizes from 23 studies were analyzed by CMA2 Program. Self-determination was divided by intrinsic, identified/integrated, introjected, extrinsic motivation and amotivation along the self-determination continuum. Self-regulated learning was divided by cognition, motivation, and behavior regulation. Publication biases were analyzed by Orwin`s fail-safe N and Egger`s regression intercept. By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re were low possibilities of the publication bias.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 size, intrinsic-SRL was .486, identified/integrated-SRL was .544, introjected-SRL was .379, external-SRL was -.046, and amotivation-SRL was -.395. There were heterogeneities in the effect sizes of subgroups, so the researcher thought these were attributed by the moderator variables such as published or unpublished studies and school classe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of the effect sizes between published and unpublished studies on intrinsic-SRL and extrinsic_SRL.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of the effect sizes of school classes on intrinsic-SRL, identified/integrated-SRL, introjected-SRL, external-SRL, and amotivation-SRL. The significance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성취정서,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의 구조적 관계 분석

        조한익(Han Ik Cho)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4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성취정서,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54명이며, 측정도구는 성취목표지향성, 성취정서,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이다. 기초자료는 상관과 회귀분석이며, 구조방정식 모형에서는 모형의 적합도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수업, 숙제 및 시험관련 상황에서 숙달접근과 수행접근 목표지향성은 즐거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수행회피와 숙달회피 목표지향성은 불안감과 지루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즐거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즐거움은 학업성취도와 주관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불안감과 지루함은 학업성취도와 주관적 안녕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업, 숙제, 및 시험상황에서 숙달접근 목표지향성은 즐거움, 불안감, 지루함의 성취정서를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숙달회피와 수행회피 목표지향성도 성취정서를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이 있었다. 숙달접근과 수행접근 목표지향성은 성취정서와 학업성취도를 매개로 하여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그러나 수행회피와 숙달회피 목표지향성은 성취정서와 학업성취도를 매개로 하여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성취목표지향성과 성취정서,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까지 연결하여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성취정서를 구조적인 관련 속에서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hievement emo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on subjective well-being. The subjects were 454 students of grade 6 in elementary schools. The instruments used for the study wer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hievement emotion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researcher analyzed the scores of academic achievements administered by the education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Statistical methods are correlation and regression by SPSS program, and model fit and mediation effects by AMOS program. Related to the class, homework, and test, mastery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enjoyment and performance and mastery avoidance goal orientations had positive effects on anxiety and boredom.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enjoyment. Enjoyment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but anxiety and boredom had nega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In the test related circumstance, academic achievement an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By the analysis of the mediation effect in the class, homework, and test related circumstance, mastery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y the mediation of achievement emotions, but performance and mastery avoidance goal orientations had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y the mediation of achievement emotions. Mastery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by the mediation of academic emo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Mastery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by the mediation of academic emo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사회적 지지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검증

        조한익 ( Han Ik Ch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9 초등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744명이며 사회적 지지, 희망 및 학업성취도 검사를 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한 검증 결과 사회적 지지는 희망과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와 희망도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을 통해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구체적으로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모형이 완전매개모형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회귀분석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사회적 지지는 희망과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사회적 지지도 희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 중 부모지지와 친구지지는 희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학업성취도에는 부모지지만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희망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지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희망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보다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사회적 지지가 희망을 통해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보다 높게 나타났다. 희망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도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에서 부모지지는 친구지지보다 희망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hop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744 students from the upp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Questionnaires were social support, hope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 By the analysis of regression, social support had an effect on hop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o it, social support and hope significantly effected on academic achievement. By the analysis of the equation suggested by Sobel(1982) the Z test between b1, the effect of the independent variable on dependent variable, and B2, the effect of the mediation effect on dependent variabl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So the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partially mediated by hope. By the result of the stevetural equation model, partial mediation model of hope was better than full medication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ly effected on hope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hope was significantly effected on academic achievement. When analyzed the relativ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hope on academic achievement, social support had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indirect effect by the mediation of hope on academic achievement. Hope also had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friend support and family support, family support effected more on academic achievement than friend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