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건분야 국제개발협력과 국제보건 핵심역량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인식 연구

        조원겸(Cho Wongyeum),조연교(Cho Yeongyo)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21 글로벌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이해도 및 국제보건 핵심역량에 대한 효능감과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위해 본 연구에서는 2개 도시의 간호대학 학부생 2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대학생들의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이해도는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다만 학년이 높을수록, 국제 교류 경험이 있는 경우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국제 사회에서의 건강보건활동, 보건학 연구 및 기금, 국제 보건과 관련 기구 및 아젠다 관련하여서는 이해와효능감이 현저히 낮았다. 셋째, 국제보건 핵심역량에 대한 교육 필요성 인식과 관련하여서는 대부분의 학생이 높은 교육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를바탕으로 교육단계별 교육내용 구성, 교과·비교과를 아우르는 다양한 교류 경험 제공, 국제 보건 이해 교육, 개도국의 맥락과 연관된 보건 이해 교육 등이 제언으로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the sense of efficacy and need for international health core competencies for nursing students. To do this,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287 undergraduate students of nursing colleges in two citi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mong nursing students was generally low. Second, most of the efficacy of core international health competences, which students feel was not high. Third, with regard to th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core competencies in international nursing cooperation, most of the students recognized the high need for most competencies. Regarding the results of this thesis, the composition of educational content for various levels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vision of various exchange experiences covering subjects and comparative subjects, education for understanding international health, and education for understanding health related to the context of developing countries were presented as suggestions

      • KCI등재

        대학 융복합교육 전략으로서 코티칭 사례연구 : D 대학의 토론기반 코티칭 수업을 중심으로

        조원겸(Cho Wongyeum),오지영(Oh Ji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본 연구는 D 대학의 토론기반 코티칭 융복합교육의 사례를 통하여 그 실제와 특징을 분석하고, 토론기반 코티칭을적용한 융복합교육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탐색을 통하여 개선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업계획서, 학생 과제, 수업 동영상 등의 자료를 내용 분석하고 교수자, 학습자, 운영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D 대학의 토론기반 코티칭 융복합교육의 실제를 제시하였고 그 특징을 학제성의 원칙에 기반한 융복합 교육, 교수자간 상호토론 방식의 코티칭, 학생 토론을 통한 사고의 확장으로 제시하였다. 또 구성원의 인식을 교육목적의 설정, 교육과정의 편성, 교육과정 운영의 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교과목 특성에 맞는 개발역량 설정과 개발역량에 적합한교육 내용 구성, 토론 주제 및 방향성에 대한 제고, 구성원 이해 및 인식 증진, 많은 수업 준비, 수업 점검 및 환류 체계마련 등이 제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ality and characteristics of D University’s discussionbased co-teaching convergence education case, and to find implications through members’ perceptions of convergence education applying discussion-based co-teaching. To this end, content such as lesson plans, student assignments, and class videos were analyz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nstructors, learners, and operat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ality of D University’s discussion-based coaching convergence education was presented,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presented as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interdisciplinary nature, co-teaching in the form of mutual discussion between professors, and expansion of thinking through student discussion.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members was divided into the stages of setting the educational purpose, organizing the curriculum, and operating the curriculum. They are also proposed to set development competency suitable for subject characteristics, organize educational content suitable for development competency, improve discussion topics and directions, enhance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members, prepare for many classes, check classes and prepare a feedback system.

      • KCI등재

        글로벌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 개도국 연수생의 요구를 중심으로

        김상미(Kim, Sangmi),조원겸(Cho, Wongyeum),김은라(Kim, Eunra)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21 글로벌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국제개발협력에서 다양한 주체에 의해 범 분야에서 시행되고 있는글로벌 연수 프로그램의 시행 확대와 변화 요구에 주목하여 학습자, 즉 개도국 연수생들의 요구를바탕으로 연수 설계,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본 연구에서는 정부 추천 우리나라 국제 초청 연수 참여 경험이 있는 21개국 50명의 개도국공무원·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수 프로그램설계 단계에서 응답자들은 학습자 대상 사전 요구 분석의 중요성을 가장 강조하였고, 연수 참여목표와 중장기 기대 성과에서는 개인 차원에서의 지식·기술 습득과 기관·조직 차원에서 역량강화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조사 참여자들은 연수 프로그램 사전 교육단계에서 연수 목표와프로그램에 관한 명확한 이해가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습 유형과과업 수행 방식에서는 팀 기반 문제 중심 학습을 통한 실질적인 해결방안 도출에 관한 선호도가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후 교육에서는 멘토 및 연수생들과의 지속적인 교류와 성과 공유에 대해중요하게 강조하였고, 이를 위한 온라인 지원 시스템 등의 지원 도구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상기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역량 개발을 위한 글로벌 연수 프로그램의 목적에 기반하여 국제이동성의 축소와 비대면 형식의 새로운 국제교육·훈련 모델 개발에서 고려해야 할 글로벌 연수의 향후 방향에 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ore systematic design, development and operation ways of international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need analysis targeting global training program participants in developing countrie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50 experts from 21 countries who have participated in overseas invitation training in Korea,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training program design stage, respondents great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ior demand analysis for learners. With regard to the goal of participating in training, knowledge and technology acquisition were answered most at the individual level and capacity enhancement at the institution and organization level showed a high response rate. During pre-training phase in the training program, the clear understanding of goals and objectives of training programs appeared to be an important key factor, while in the learning type and task performance method, the preference for eliciting practical solutions through team-based problem-based learning was the highest. In post-training, there was a high demand for continuous exchanges and performance sharing with mentors and trainees, and the need for support tools for online support systems was emphasized. Final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s of international training to be considered in the era of reducing international mobility and demanding new intern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models in a non-face-to-face format.

      • KCI등재

        글로벌 교육의제에 반영된 학습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교육의제에‘학습’은 어디에 있는가?

        김진희(Kim JinHee),조원겸(Cho WonGyeum)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교육의제들 속에서 드러나고 있는 학습 및 학습 성과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변해 왔는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교육 개발협력이 나아갈 방향성과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제교육계의 3대 글로벌교육회의라 일컬어지는 1990년 좀티엔 세계교육회의, 2000년 다카르 세계 교육포럼, 그리고 2015년 인천 세계교육포럼으로 줄기를 잇는 국제 선언을 분석의 축으로 삼고자 한다. 여기서 다루어진 핵심 내용과 방향이 무엇이고 학습을 다루는 목적과 위상, 그리고 한계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글로벌교육의제에서 학습 담론이 거의 생략되어왔고, SDGs 교육의제 하에서의 학습 담론도 개념의 모호 성으로 인해서 개발도상국에서 제대로 수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드러났다. 또한 ‘학습성과’를 ‘학습평가’로 등식화하면서 양질의 교육을 보장하기 위해서 ‘평가’에만 몰입하는 방향이 나타나는 모순적 상황이 한계로 드러났다. 이에 앞으로의 국제 교육개발협력사업은 첫째, 선진국의 교육 시스템 및 기존 지식 제공 방식이 아니라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그리고 학습자 중심주의의 교육적 접근을 통하여 추진되어야 한다. 둘째, 일회성의 국제교육개발협력사업이 아닌 개발도상국 학습자의 성장을 지속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방식으로 전체 틀이 다시 설계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셋째, 앞으로의 교육개발사업은 그 발굴단계에서 하드웨어가 아니라 학습자의 학습 과정과 성취를 고려한 소프트웨어 개발 중심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 이제 학습 주의와 교육학의 전문적 지식을 사업 발굴 단계 및 진행과정에 연계하여 국제교육 개발협력에서 ‘교육적’ 의미를 높일 수 있는 방향이 무엇인지 깊은 성찰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debates on learning and learning outcomes in global education agendas have changed and to understand the discourses and issues about learning under the agendas , and finally based on the understanding, to know what is the implication we should take in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in Korea. To do this,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d 1) what is the main features and directions, and 2) the method and limitation in handling learning concept on three major global education forums which are Jomtien global education forum in 1990, Dakar in 2000, and Incheon in 2015. Major finding shows that there are little learning concept discussed in Jomtien and Dakar forums and in SDGs education agenda, learning is vaguely defined and discussed and there are problems of too much focus on learning outcomes itself and absence of study on proper assessment system. Major lessons and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could be stated that postcolonial perspectives and learner centered approaches is required in developing countries’s education ecology. And continuous suppor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r learners’ capacity should be underlined. We needs to focus on developing software not hardware from the first of educational ODA. Finally, it is needed to embed within pedagogical approa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